구름
카테고리 없음

한문 사자성어 (1) ⭕️

by 구름과 하늘 7 2024. 6. 15.
반응형

* 可呵(가가)*: 주로 편지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呵呵大笑(가가대소)*: *소리*를 내어 크게 웃음.
"* 呵呵大笑(가가대소)*: 소리를 내어 크게 *웃음*.
#일 #표현 #소리 #모양 #*웃음*"
"* 家家戶戶(가가호호)*: (1)한 집 한 집. (2)한 집 한 집마다.
#집집 #집"
* 可居之地(가거지지)*: 머물러 살 만하거나 살기 좋은 곳.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 佳境(가경)*: (1)한창 재미있는 판이나 고비. (2)경치*가* 좋은 곳.
#고비 #한창 #창 #경치"
"* 家鷄野鶩(가계야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 家鷄野鶩(가계야목)*: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 家鷄野雉(가계야치)*: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家鷄野雉(가계야치)*: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可高可下(가고가하)*: 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倨慢)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직위(職位)의 고하를 가리지 않음."
"* 可高可下(가고가하)*: 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倨慢)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직위(職位)의 *고하*를 가리지 않음.
#*고하* #직위 #인자 #거만 #벼슬"
* 架空妄想(가공망상)*: 터무니없는 상상이나 근거 없는 *생각*.
* 可觀(가관)*: (1)*행동*이나 모습 등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우스운 상태를 비웃는 말. (2)경치 따위가 꽤 볼만함.
* 可觀(가관)*: (1)행동이나 모습 등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우스운 *상태*를 비웃는 말. (2)경치 따위가 꽤 볼만함.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 家君(가군)*: (1)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2)남에게 자기 *남편*을 이르는 말. (3)남의 *남편*을 이르는
말."
* 家給人足(가급인족)*: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 家給千兵(가급천병)*: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군사 #*제후* #집 #나라 #호위"
"* 家給千兵(가급천병)*: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군사* #제후 #집 #나라 #호위"
* 可欺以方(가기이방)*: 그럴듯한 말로써 남을 속일 수 있음.
* 街談(가담)*: 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젯거리.
* 街談巷說(가담항설)*: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 街談巷語(가담항어)*: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길 #나중 #*임시* #나라"
* 假道滅虢(가도멸괵)*: 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 家徒壁立(가도벽립)*: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家徒壁立(가도벽립)*: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살림 #말 #빈한 #집 #살이 #구차 #집안 #*가난*"
"* 家徒壁立(가도벽립)*: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家徒四壁(가도사벽)*: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형편 #*집안*"
"* 家徒四壁(가도사벽)*: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형편* #집안"
"* 家徒四壁(가도사벽)*: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형편 #집안"
* 家豚(가돈)*: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可東可西(가동가서)*: 이렇게 할 만도 하고, 저렇게 할 만도 함.
"* 街童走卒(가동주졸)*: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일 #*아이* #사람 #병졸 #일정 #주관 #무식 #길거리 #상식 #사람들 #거리 #길 #주견 #*아이*들"
* 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 家母(가모)*: (1)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한 집안의 주부.
* 家母(가모)*: (1)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한 *집안*의 주부.
"* 家母(가모)*: (1)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한 집안의 주부.
#말 #앞 #어머니 #주부 #집안"
* 假母(가모)*: 자기가 핏줄을 받지 않은 *어머니*. 양모나 계모 또는 아버지의 첩을 이른다.
* 假母(가모)*: 자기가 핏줄을 받지 않은 어머니. 양모나 계모 또는 *아버지*의 첩을 이른다.
"* 假母(가모)*: 자기가 핏줄을 받지 않은 어머니. 양모나 계모 또는 아버지의 첩을 이른다.
#첩 #어머니 #핏줄"
"* 家無擔石(가무담석)*: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항아리 #말 #재물 #집 #여유 #조금"
"* 歌舞音曲(가무음곡)*: *노래*와 춤과 음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음악 #춤 #*노래*"
* 歌舞音曲(가무음곡)*: 노래와 춤과 음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家無二主(가무이주)*: 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君臣)의 다름을 이르는 말.
"* 家無二主(가무이주)*: 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君臣)의 다름을 이르는 말.
#*주인* #군신 #집안"
"* 可聞說話(가문설화)*: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가*치"
* 家父(가부)*: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家父(가부)*: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궁 #말 #집 #때 #생각 #*관리* #형편 #집이 #가난 #아내"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假夫子(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 假夫子(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말 #사람 #성인 #성 #공부 #가짜 #골몰 #유생 #孔子 #언행 #옛날 #*공자* #사이"
"* 假夫子(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 葭莩之親(가부지친)*: 갈대의 줄기에 붙어 있는 갈대청같이 엷게 붙어 있는 *친척*이라는 뜻으로, 촌수가 먼 인척(姻戚)을 이르는
말.
#갈대 #대청 #대의 #*친척*"
"* 家貧落魄(가빈낙탁)*: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 家貧落魄(가빈낙탁)*: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집 #관리 #의미 #생각 #*지경* #집이 #가난 #아내 #훌륭"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집 #*관리* #의미 #생각 #지경 #집이 #가난 #아내 #훌륭"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재상* #집 #생각함 #나라 #생각 #집이 #가난 #아내"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 家貧親老(가빈친로)*: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家貧親老(가빈친로)*: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家貧親老(가빈친로)*: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家書萬金(가서만금)*: 가서는 만금의 *값*어치가 있다는 뜻으로, 자기 집에서 온 편지의 반갑고 소중함을 이르는 말.
#*값* #가족 #타향 #집 #고향 #때 #준말 #금 #의미 #소중 #소식 #황금"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말 #가족 #값 #타향 #고향 #때 #소중 #*소식* #황금"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말 #가족 #*값* #타향 #고향 #때 #소중 #소식 #황금"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말 #가족 #값 #타향 #고향 #때 #소중 #소식 #황*금*"
* 可惜身命(가석신명)*: 몸과 *목숨*을 애틋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몸과 *목숨*을 소중하게 여김을 이르는 불가의 말씀.
* 街說巷談(가설항담)*: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 加膝墜淵(가슬추연)*: 무릎에 앉혀 귀여워하거나 연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氣分)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言行)이 예에 벗어남을 이르는 말."
"* 加膝墜淵(가슬추연)*: 무릎에 앉혀 귀여워하거나 연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氣分)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言行)이 예에 *벗*어남을 이르는 말."
* 嘉言善行(가언선행)*: 좋은 말과 착한 행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可與樂成(가여낙성)*: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일 #*성공*"
* 可與樂成(가여낙성)*: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일 #부정 #남편 #아내 #가정"
* 家喩戶曉(가유호효)*: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
* 家喩戶曉(가유호효)*: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
"* 家喩戶曉(가유호효)*: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
#집집 #누구"
"* 佳人薄命(가인박명)*: *미인*은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요절하는 일이 많음.
#용모 #일 #여자 #말 #불행 #*미인* #아름 #운명 #목숨 #의미 #삶 #사람"
"* 佳人薄命(가인박명)*: 미인은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요절하는 일이 많음.
#용모 #일 #여자 #말 #불행 #미인 #아름 #운명 #목숨 #의미 #삶 #사람"
* 家慈(가자)*: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家慈(가자)*: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어머니*"
* 家慈(가자)*: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柯亭(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서까래 #채옹 #피리 #때 #옛일 #중국 #고사 #*유래* #대나무"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백성 #궁 #말 #왕 #범 #*호랑이* #비유 #의미 #폐해 #가혹 #백성들 #정치"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백성 #궁 #말 #왕 #범 #호랑이 #비유 #의미 #폐해 #가혹 #백성들 #정치"
* 家祖(가조)*: (1)한 *집안*의 조상. (2)남에게 자기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家醜不外揚(가추불외양)*: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家親(가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可痛之事(가통지사)*: 통탄할 만한 일.
#일"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가호위)*: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虎威狐(가호위호)*: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백성 #빌어 #말 #신하 #우화 #범 #위세 #여우 #권세 #약자 #강자 #비유 #*세력* #짐승 #군주"
"*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일 #만사 #의미 #*집안* #가정 #화목"
*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일 #*만사* #의미 #집안 #가정 #화목"
"* 刻苦勉勵(각고면려)*: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일 #몸 #마음 #정성 #노력 #심신 #*고생*"
"* 刻苦勉勵(각고면려)*: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일 #몸 #마음 #정성 #*노력* #심신 #고생"
"*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새 #그것 #성 #성현 #정진 #말 #노력 #완전 #선 #*실패* #학업 #조각 #고니 #성과 #선인 #정도 #비슷 #학 #집오리"
"*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새 #그것 #성 #성현 #정진 #말 #노력 #완전 #선 #실패 #학업 #조각 #고니 #*성과* #선인 #정도 #비슷 #학 #집오리"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그것 #새 #성현 #정진 #성 #말 #완전 #선 #실패 #학업 #고니 #*성과* #선인 #정도 #비슷 #학"
"*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 刻骨難忘(각골난망)*: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 刻骨銘心(각골명심)*: 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 刻骨銘心(각골명심)*: 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일 #뼈 #정도 #마음속"
"* 刻肌削骨(각기삭골)*: 살을 에고 뼈를 깎는 다는 뜻으로, *고통*(苦痛)이 극심(極甚)함을 이르는 말.
#뼈 #*고통* #극심"
"* 脚踏實地(각답실지)*: 다리로 실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발로 뛰며 현장을 확인하는 성실한 *태도*를
이르는 말."
"* 各得其所(각득기소)*: 모든 것이 그 있어야 할 곳에 있게 됨. 원래(原來) 사람들이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맞게 하고 싶은
일을 해도 후(後)에는 각자의 능력(能力)과 적성(適性)에 맞게 적절(適切)한 배치(配置)를 받게 되는 것을 말함.
#일 #말 #원래 #*분수* #적절 #능력 #각자 #사람"
"* 各得其所(각득기소)*: 모든 것이 그 있어야 할 곳에 있게 됨. 원래(原來) 사람들이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맞게 하고 싶은
일을 해도 후(後)에는 각자의 *능력*(能力)과 적성(適性)에 맞게 적절(適切)한 배치(配置)를 받게 되는 것을 말함.
#일 #말 #원래 #분수 #적절 #*능력* #각자 #사람"
"* 刻露淸秀(각로청수)*: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형용 #맑고 #경치 #모양 #나뭇잎 #모습 #*가을* #아름다움"
"* 刻露淸秀(각로청수)*: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형용 #맑고 #경치 #모양 #나뭇잎 #모습 #가을 #*아름다움*"
"* 刻鏤心骨(각루심골)*: 마음속 *깊이* 새겨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
#마음속"
* 刻木爲吏(각목위리)*: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 刻木爲吏(각목위리)*: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나무 #형상 #*관리*"
"* 各房居處(각방거처)*: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한집 #가족 #방 #*부부* #생활"
"* 各房居處(각방거처)*: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한집 #가족 #*방* #부부 #생활"
"* 各房居處(각방거처)*: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한집 #가족 #방 #부부 #*생활*"
* 各散盡飛(각산진비)*: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 刻船求劍(각선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刻船求劍(각선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各樣各色(각양각색)*: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빛깔.
"* 各樣各色(각양각색)*: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빛깔*.
#의미 #각각 #*빛깔* #모양"
* 各自圖生(각자도생)*: 제각기 살아 나갈 *방법*을 꾀함.
* 各自圖生(각자도생)*: 제각기 살아 나갈 방법을 *꾀*함.
"* 角者無齒(각자무치)*: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재주 #재능 #복 #사람 #이빨 #의미 #*짐승* #뿔"
* 角者無齒(각자무치)*: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 各自爲心(각자위심)*: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 各自爲心(각자위심)*: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 各從其類(각종기류)*: 각각 그 유를 따른다는 뜻으로, 만물은 다 동기(同氣) 동류(同類)끼리 *서로* 따름을 이르는 말. .
"* 刻舟求劍(각주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에 나오는 말이다."
"* 刻舟求劍(각주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에
나오는 말이다.
#나중 #초나라 #생각 #현실 #사리 #표시 #융통성 #고집 #비유 #강물 #유래 #세상 #사람 #*춘추* #금 #고지식 #배 #말 #물속 #판단력 #칼 #물 #여씨*춘추* #
위치 #세상일 #자리"
"* 却之不恭(각지불공)*: 주는 것을 거절하여 물리치는 일은 *공손*하지 못함.
#일 #*공손* #말"
* 却之不恭(각지불공)*: 주는 것을 거절하여 물리치는 일은 공손하지 못함.
"* 刻燭爲詩(각촉위시)*: 촛불이 한 치 타는 *동안*에 詩(시)를 지음.
#*동안* #촛불 #지음"
* 角逐(각축)*: *서로* 이기려고 다투며 덤벼듦.
"* 角枕粲錦禽爛(각침찬금금란)*: 각침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의 금침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찬란 #이불 #금 #신혼 #*비단* #침 #아름다움"
* 角枕粲錦禽爛(각침찬금금란)*: 각침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의 *금*침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角枕粲錦禽爛(각침찬금금란)*: 각침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의 금침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찬란 #이불 #금 #신혼 #비단 #침 #*아름다움*"
"* 閣筆(각필)*: 글 쓰는 *붓*을 깍지에 꽂는다는 뜻으로, *붓*을 놓음을 이르는 말.
#*붓*"
"* 刻畵無鹽(각화무염)*: 아*무리* 꾸며도 무염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여자 #미인 #화장 #비교 #얼굴"
"* 刻畵無鹽(각화무염)*: 아무리 꾸며도 무염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여자 #미인 #화장 #비교 #*얼굴*"
"* 刻畵無鹽(각화무염)*: 아무리 꾸며도 무염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여자* #미인 #화장 #비교 #얼굴"
"* 刻畵無鹽(각화무염)*: 아무리 꾸며도 무염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여자 #*미인* #화장 #비교 #얼굴"
* 間氣人物(간기인물)*: 여러 세대에 걸쳐 드*물*게 뛰어난 기품을 타고난 인*물*.
"* 間氣人物(간기인물)*: 여러 세대에 걸쳐 드물게 뛰어난 기품을 타고난 *인물*.
#기품 #세대 #*인물* #기운 #호걸 #세상"
* 艱難辛苦(간난신고)*: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
"* 艱難辛苦(간난신고)*: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
#의미 #*고생* #고통"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참혹 #땅 #곤경 #모습 #죽음 #나라 #*목숨* #의미 #뇌 #힘 #간장 #활용"
"* 肝腦塗地(간뇌도지)*: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참혹 #땅 #곤경 #모습 #죽음 #나라 #목숨 #의미 #뇌 #힘 #간장 #활용"
"* 肝膽楚越(간담초월)*: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肝膽楚越(간담초월)*: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고대 #말 #사이 #쓸개 #초나라 #나라 #거리 #*중국* #가까이 #비슷 #월나라"
"* 肝膽楚越(간담초월)*: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肝膽胡越(간담호월)*: *사물*(事物)은 보기에 따라 몹시 닮은 것도 서로 다르게 보임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竿頭(간두)*: (1)장대나 대막대기 따위의 끝. (2)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장대 #끝 #*지경* #백 #따위"
* 竿頭過三年(간두과삼년)*: 대 끝에서도 3년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괴로움을 오랫*동안* 참고 지낸다는 말.
"* 竿頭之勢(간두지세)*: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말 #극도 #표현 #위태 #때 #위험 #장대 #비유 #끝 #어려움 #백 #*형세*"
"* 干祿(간록)*: (1)*행복*을 구함. (2)관리가 되어 녹봉을 구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고자 함을 이르는 말.
#벼슬 #*행복* #관리 #녹봉"
"* 干祿(간록)*: (1)행복을 구함. (2)*관리*가 되어 녹봉을 구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고자 함을 이르는 말.
#벼슬 #행복 #*관리* #녹봉"
"* 干名犯義(간명범의)*: 명분을 거스르고 *의리*를 어기는 행위.
#죄인 #죄 #행위 #은혜 #*의리* #아들 #명분 #배반 #따위"
"* 干名犯義(간명범의)*: 명분을 거스르고 의리를 어기는 행위.
#죄인 #죄 #행위 #은혜 #의리 #아들 #명분 #배반 #따위"
* 簡髮而櫛(간발이즐)*: *머리*를 한 가닥씩 골라서 빗는다는 뜻으로, 몹시 좀스러운 것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間不容髮(간불용발)*: (1)머리카락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주도면밀하여 빈틈이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2)사태가
매우 다급하여 여유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 干城(간성)*: 방패와 성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나 *인물*을 이르는 말.
#성 #군인 #나라 #방패 #*인물* #밖 #군대"
"* 干城之將(간성지장)*: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장군*.
#*장군* #나라"
"* 干城之材(간성지재)*: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
#구실 #성 #방 #국가 #나라 #방패 #의미 #*인재* #호위 #성의"
* 奸細之輩(간세지배)*: 간사한 짓을 하는 나쁜 사람의 *무리*.
"* 奸細之輩(간세지배)*: 간사한 짓을 하는 나쁜 사람의 무리.
#소인 #의미 #소인배 #무리 #간사 #사람"
"* 間世之材(간세지재)*: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인재*.
#세대 #*인재*"
"* 看晨月坐自夕(간신월좌자석)*: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
"* 看晨月坐自夕(간신월좌자석)*: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
#속담 #달 #새벽"
"* 看晨月坐自夕(간신월좌자석)*: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자식 #*신하* #거역 #부모 #간사"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 奸臣賊子(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자식* #신하 #거역 #부모 #간사"
* 奸惡無道(간악무도)*: 간사하고 악독하며 *도리*에 어긋나는 데가 있음.
"* 間於齊楚(간어제초)*: 약자가 강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제나라 #주나라 #강 #약자 #초나라 #나라 #강자 #의미 #*중국* #겪음 #유래 #괴로움 #사이"
"* 間於齊楚(간어제초)*: 약자가 강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
*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間於齊楚(간어제초)*: 약자가 강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間於齊楚(간어제초)*: 약자가 강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제나라 #주나라 #강 #약자 #초나라 #나라 #강자 #의미 #중국 #겪음 #*유래* #괴로움 #사이"
"* 看雲步月(간운보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밤 #빛 #달 #아래 #달빛 #집 #고향 #생각 #간절 #의미 #*구름* #하늘 #낮 #객지 #쪽"
"* 看雲步月(간운보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밤 #빛 #달 #*아래* #달빛 #집 #고향 #생각 #간절 #의미 #구름 #하늘 #낮 #객지 #쪽"
"* 看雲步月(간운보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밤 #빛 #달 #아래 #달빛 #집 #고향 #생각 #간절 #의미 #구름 #하늘 #낮 #*객지* #쪽"
* 看雲步月(간운보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 干雲蔽日(간운폐일)*: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말 #나무 #침범 #비유 #*구름* #하늘"
* 干雲蔽日(간운폐일)*: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 干雲蔽日(간운폐일)*: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 干雲蔽日(간운폐일)*: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 干將莫邪(간장막사)*: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만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性品)도 원래(原來)는 악하므로 노력(努力)을
기울여야 선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意味).
#원래 #노력 #선 #의미 #가야 #악 #*성품* #사람"
"* 干將莫邪(간장막사)*: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만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性品)도 원래(原來)는 악하므로 *노력*(努力)을
기울여야 선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意味).
#원래 #*노력* #선 #의미 #가야 #악 #성품 #사람"
"*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춘추 #왕 #칼 #시대 #음양 #장인 #중국 #*자루* #아내 #간장 #오나라"
"* 干將莫耶(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干戚(간척)*: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병란 #때 #창 #전쟁 #비유 #방패 #병 #*도끼*"
"* 干戚(간척)*: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병란 #때 #창 #*전쟁* #비유 #방패 #병 #도끼"
* 葛巾野服(갈건야복)*: 갈건과 베옷이라는 뜻으로, 은사(隱士)나 처사(處士)의 거칠고 소박한 옷차림을 이르는 말.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견해 #때 #소설 #선택 #복잡 #개념 #기회 #사이 #일 #목표 #비유 #인물 #*이해* #힘 #방향 #충돌 #개인 #정신 #차이 #사정 #근본 #요구 #따위 #상태 #환경 #
대립 #*이해*관계 #모순 #집단 #화합 #내부 #이상"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견해 #때 #소설 #선택 #복잡 #개념 #기회 #사이 #일 #목표 #비유 #*인물* #이해 #힘 #방향 #충돌 #개인 #정신 #차이 #사정 #근본 #요구 #따위 #상태 #환경 #
대립 #이해관계 #모순 #집단 #화합 #내부 #이상"
"* 葛藤(갈등)*: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견해 #때 #소설 #선택 #복잡 #개념 #*기회* #사이 #일 #목표 #비유 #인물 #이해 #힘 #방향 #충돌 #개인 #정신 #차이 #사정 #근본 #요구 #따위 #상태 #환경 #
대립 #이해관계 #모순 #집단 #화합 #내부 #이상"
"* 渴民待雨(갈민대우)*: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백성 #때 #농민 #기다림 #가뭄"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 喝食(갈식)*: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喝食(갈식)*: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탕 #심부름 #*아이* #소임 #대중 #때 #밥 #종류 #반찬 #큰소리 #식사"
"* 渴者易飮(갈자이음)*: 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뜻으로, 곤궁(困窮)한 사람은 *은혜*(恩惠)에 감복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곤궁 #비유 #무엇 #*은혜* #사람"
"* 竭忠報國(갈충보국)*: *충성*을 다하여서 나라의 은혜를 갚음.
#*충성* #보답 #나라 #의미 #갚음 #은혜"
* 竭忠報國(갈충보국)*: 충성을 다하여서 나라의 *은혜*를 갚음.
"* 竭澤而漁(갈택이어)*: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욕심* #때문 #물 #생각 #일시적 #장래 #연못"
* 竭澤而漁(갈택이어)*: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 感慨無量(감개무량)*: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
"* 感慨無量(감개무량)*: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
#사물 #일 #마음속 #탄식 #*감동* #끝 #회포 #깊이 #느낌 #정도"
"* 敢怒不敢言(감노불감언)*: 감히 성나지만 감히 말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화가* 나지만 말을 못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
#말 #성 #화 #*화가* #상황"
"* 敢怒不敢言(감노불감언)*: 감히 성나지만 감히 말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화가 나지만 말을 못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
#말 #성 #화 #화가 #*상황*"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 邯鄲之夢(한단지몽)*: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일생 #허무 #여옹 #침 #인생 #영고성쇠 #메조 #노생 #꿈속 #유래 #인간 #일장춘몽 #*부귀*영화 #베개 #동안 #80년 #말 #꿈 #한단 #밥 #영화 #*부귀* #잠"
"* 邯鄲之步(한단지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말 #흉내 #행위 #그곳 #분수 #도시 #유래 #한단 #장자 #비유 #시골 #본분 #본래 #고사 #예전 #*걸음*걸이 #사람"
"* 邯鄲之步(한단지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말 #흉내 #행위 #그곳 #분수 #도시 #유래 #한단 #장자 #비유 #시골 #본분 #*본래* #고사 #예전 #걸음걸이 #사람"
"* 邯鄲之步(한단지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말 #흉내 #행위 #그곳 #분수 #도시 #유래 #한단 #*장자* #비유 #시골 #본분 #본래 #고사 #예전 #걸음걸이 #사람"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때 #여옹 #인생 #생활 #사이 #메조 #노생 #년간 #유래 #도사 #땅 #소년 #베개 #80년 #꿈 #한단 #밥 #나라 #영화 #중국 #잠 #고사"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邯鄲之枕(한단지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邯鄲學步(한단학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흉내 #행위 #그곳 #도시 #한단 #본분 #본래 #유래 #*걸음*걸이 #사람"
"* 邯鄲學步(한단학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흉내 #행위 #그곳 #도시 #한단 #본분 #*본래* #유래 #걸음걸이 #사람"
"* 邯鄲學步(한단학보)*: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甘棠遺愛(감당유애)*: *청렴*결백(淸廉潔白)하거나 선정을 베푼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선정 #*청렴*결백 #마음 #사람 #결백 #*청렴*"
"* 甘棠遺愛(감당유애)*: 청렴*결백*(淸廉潔白)하거나 선정을 베푼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선정 #청렴*결백* #마음 #사람 #*결백* #청렴"
"* 甘棠之愛(감당지애)*: 선정(善政)을 베푼 *인재*(人材)를 사모(思慕)하는 마음이 간절(懇切)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말.
#선정 #말 #마음 #비유 #간절 #사모 #*인재*"
"* 甘棠之愛(감당지애)*: 선정(善政)을 베푼 인재(人材)를 사모(思慕)하는 마음이 *간절*(懇切)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말.
#선정 #말 #마음 #비유 #*간절* #사모 #인재"
"* 鑑貌辨色(감모변색)*: *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
#마음속 #거동 #*모양* #분별"
* 鑑貌辨色(감모변색)*: 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
"* 鑑貌辨色(감모변색)*: 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
#마음속 #거동 #모양 #*분별*"
* 鑑貌辨色(감모변색)*: 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
"* 感謝無地(감사무지)*: 고마운 마음을 이루 다 *표현*할 길이 없음.
#감사 #마음 #무한 #*표현* #길"
"* 減死定配(감사정배)*: 죽을죄를 지은 죄인을 처형하지 아니하고, *장소*를 지정하여 귀양을 보내던 일.
#일 #죄인 #죄 #*장소* #귀양"
"* 減傷和氣(감상화기)*: 평온하고 즐거운 *기운*이나 분위기를 상하게 함.
#평온 #화 #*기운*"
* 減傷和氣(감상화기)*: 평온하고 즐거운 기운이나 분위기를 *상하*게 함.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일 #가짓수 #노래 #임금 #변고 #때 #재앙 #나라 #의미 #반찬 #가까이 #음식 #춤 #근신 #상의 #음악 #사고 #따위"
"* 減膳撤樂(감선철악)*: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일 #가짓수 #*노래* #임금 #변고 #때 #재앙 #나라 #의미 #반찬 #가까이 #음식 #춤 #근신 #상의 #음악 #사고 #따위"
* 甘言利說(감언이설)*: (1)‘감언이설’의 북한어. (2)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 甘言美語(감언미어)*: *달*콤하고 아름다운 말.
"* 敢言之地(감언지지)*: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거리낌 #*자리* #말"
"* 敢言之地(감언지지)*: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거리낌 #자리 #말"
"* 感應納受(감응납수)*: 사람의 불심(佛心)에 *부처*가 응답함으로써 *부처*와 중생이 긴밀히 맺어지는 일.
#일 #긴밀 #*부처* #중생 #사람"
* 感應道交(감응도교)*: 불심(佛心)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 자리 잡고 중생이 이와 통하여 서로 합쳐지는 일.
* 感應道交(감응도교)*: 불심(佛心)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 *자리* 잡고 중생이 이와 통하여 서로 합쳐지는 일.
* 甘井先竭(감정선갈)*: 물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甘井先竭(감정선갈)*: 물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주 #재능 #우물 #물 #비유 #쇠 #맛 #사람"
"* 坎井之蛙(감정지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구덩이 #비유 #견문 #식견 #*형편* #우물 #세상"
"* 坎井之蛙(감정지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구덩이 #비유 #견문 #식견 #형편 #우물 #세상"
* 感之德之(감지덕지)*: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 感之德之(감지덕지)*: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기는 *모양*.
"* 甘泉先竭(감천선갈)*: 물맛이 좋은 샘은 먼저 마른다는 뜻으로, *재능*(才能) 있는 사람이 일찍 쇠폐(衰廢)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재능* #물 #비유 #쇠 #맛 #사람"
"*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이르는 말.
#비위 #사리 #그름 #의미 #*판단* #자신 #행동"
"* 酣紅爛紫(감홍난자)*: *가을*에 단풍이 울긋불긋함.
#*가을* #단풍"
"*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일 #마음 #때 #준말 #생각 #회포"
* 甲男乙女(갑남을녀)*: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 甲男乙女(갑남을녀)*: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 甲論乙駁(갑론을박)*: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대하며 말함.
"* 甲論乙駁(갑론을박)*: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대하며 말함.
#말 #상대편 #*주장* #서로 #자신 #반대 #사람"
"* 甲冑生蟣蝨(갑주생기슬)*: 갑옷과 투구에 세캐와 이가 꾄다는 뜻으로, *전쟁*이 지루하게 계속(繼續)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갑옷 #*전쟁* #비유"
* 慷慨之士(강개지사)*: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 慷慨之士(강개지사)*: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일 #*탄식* #의분 #세상 #사람"
"* 慷慨之士(강개지사)*: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일 #탄식 #의분 #세상 #사람"
"* 强固無比(강고무비)*: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굳세고 튼튼함.
#*정도* #비교"
"* 强固無比(강고무비)*: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굳세고 *튼튼*함.
#정도 #비교"
"* 强固無比(강고무비)*: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굳세고 튼튼함.
#정도 #비교"
"* 康衢煙月(강구연월)*: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强近之族(강근지족)*: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도움 #*친척*"
* 强近之族(강근지족)*: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親戚).
"* 强近之親(강근지친)*: 아주 가까운 *친척*의 뜻으로,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친척*의 의미.
#일 #도움 #*친척* #의미 #일가"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강 #법 #*풍속* #나라 #풍습 #엄숙 #기율"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강 #법 #풍속 #나라 #풍습 #엄숙 #기율"
"* 綱紀肅正(강기숙정)*: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강* #법 #풍속 #나라 #풍습 #엄숙 #기율"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탱자 #환경 #강 #사람 #달라짐 #*강남* #장소 #완전 #귤"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탱자 #환경 #강 #사람 #달라짐 #강남 #*장소* #완전 #귤"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 江南別星(강남별성)*: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천연두를 앓게 한다는 여신. 강남에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집집 #사명 #특*별* #강남"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말 #대신 #선물 #나무 #친구 #때 #우정 #돈독 #전함 #*강남* #매화 #사이"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말 #대신 #선물 #나무 #친구 #때 #우정 #돈독 #전함 #강남 #*매화* #사이"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말 #대신 #*선물* #나무 #친구 #때 #우정 #돈독 #전함 #강남 #매화 #사이"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말 #대신 #선물 #나무 #친구 #때 #우정 #돈독 #*전함* #강남 #매화 #사이"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 #결국 #화살 #*마지막* #의미 #힘 #비단 #쇠퇴 #구멍 #활"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 #결국 #화살 #마지막 #의미 #힘 #*비단* #쇠퇴 #구멍 #활"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 #결국 #화살 #마지막 #의미 #힘 #비단 #쇠퇴 #*구멍* #활"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 强弩之末(강노지말)*: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강 #결국 #화살 #마지막 #의미 #힘 #비단 #쇠퇴 #구멍 #활"
* 强大無比(강대무비)*: 비할 데 없이 *강*대(强大)함.
"* 江郞才盡(강랑재진)*: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江郞才盡(강랑재진)*: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江郞才盡(강랑재진)*: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재주 #*재능* #강 #말 #학문 #차차 #분야 #쇠퇴 #이상"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재주 #재능 #말 #스스로 #지혜 #*성품* #행동 #비꼬"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재주 #재능 #말 #스스로 #*지혜* #성품 #행동 #비꼬"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 剛戾自用(강려자용)*: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 剛木水生(강목수생)*: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 剛木水生(강목수생)*: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주인 #강 #백년 #만고 #손님 #백 #산 #사람"
* 江山不老(강산불로)*: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말.
"* 江山不老(강산불로)*: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말.
#불변 #말 #*강산*"
* 江山不老(강산불로)*: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말.
* 江山之助(강산지조)*: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이 사람의 시정(詩情)을 도움.
"* 江山之助(강산지조)*: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이 사람의 시정(詩情)을 도움.
#강 #도움 #아름 #풍경 #작품 #산수 #산 #*강산* #사람"
"* 江山風月(강산풍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달 #강 #말 #바람 #아름 #풍경 #경치 #*자연* #산"
* 江山風月(강산풍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 江山風月(강산풍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달 #*강* #말 #바람 #아름 #풍경 #경치 #자연 #산"
"* 江山風月(강산풍월)*: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달 #강 #말 #바람 #아름 #풍경 #경치 #자연 #산"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江山風月主人(강산풍월주인)*: 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강산 #사람"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주인 #죄인 #행위 #남편 #노비 #부모 #예전 #사람"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주인 #죄인 #행위 #*남편* #노비 #부모 #예전 #사람"
"* 綱常罪人(강상죄인)*: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주인* #죄인 #행위 #남편 #노비 #부모 #예전 #사람"
* 綱常之變(강상지변)*: 삼*강*오상(三綱五常)에 맞지 않는 재앙이나 사고.
"* 綱常之變(강상지변)*: 삼강오상(三綱五常)에 맞지 않는 *재앙*이나 사고.
#변고 #*재앙* #인물 #의미 #패륜 #사고 #사람"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산 #사람"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산 #사람"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주인 #*욕심* #차지 #산수 #풍월 #경치 #산 #사람"
"* 江上風月主人(강상풍월주인)*: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强顔(강안)*: *얼굴* 가죽이 두껍다는 뜻으로, 부끄러움을 모름.
"* 强顔(강안)*: 얼굴 *가죽*이 두껍다는 뜻으로, 부끄러움을 모름.
#부끄러움 #*가죽* #모름 #얼굴"
* 强顔(강안)*: 얼굴 가죽이 두껍다는 뜻으로, 부끄러움을 모름.
"* 剛柔兼全(강유겸전)*: 굳세고 부드러운 *성품*을 아울러 가짐.
#의미 #*성품* #강 #완전"
* 剛柔兼全(강유겸전)*: 굳세고 부드러운 성품을 아울러 가짐.
"* 剛毅木訥(강의목눌)*: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마음 #*강*직 #질박 #순박 #말투 #비유 #의미 #태도 #과단성 #꾸밈 #의지 #소박 #사람"
* 剛腸(강장)*: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剛腸(강장)*: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창자 #말 #비유 #마음"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몸* #씩씩 #의미 #대의 #나이 #왕성"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몸 #씩씩 #의미 #대의 #나이 #*왕성*"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몸 #씩씩 #의미 #대의 #*나이* #왕성"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몸 #씩씩 #*의미* #대의 #나이 #왕성"
"*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몸 #씩씩 #의미 #대의 #나이 #왕성"
"*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장수 #*강* #병졸"
"*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장수* #강 #병졸"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 #칭송 #태평 #천하 #天下"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 #칭송 #*태평* #천하 #天下"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 #칭송 #태평 #천하 #天下"
"* 康哉之歌(강재지가)*: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노래 #칭송 #태평 #천하 #天下"
"* 江左七賢(강좌칠현)*: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명예* #말 #이익 #고려 #때 #나라 #중국 #상대 #일곱 #죽림칠현 #진나라 #선비 #통 #비교 #명리"
"* 江左七賢(강좌칠현)*: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江左七賢(강좌칠현)*: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명예 #말 #이익 #고려 #때 #나라 #중국 #상대 #일곱 #죽림칠현 #진나라 #*선비* #통 #비교 #명리"
"* 强鐵之秋(강철지추)*: *강*철(鋼鐵)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뜻으로,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妨害者)로 인(因)하여
파탄(破綻)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强鐵之秋(강철지추)*: 강철(鋼鐵)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뜻으로,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妨害者)로 인(因)하여
파탄(破綻)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방해 #일 #방 #비유 #봄 #*가을*"
* 鋼鐵婚式(강철혼식)*: 결혼(結婚) 11주년.
* 强暴之辱(강포지욕)*: *강*포한 행위(行爲)로 하는 모욕(侮辱).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 #달 #바람 #의미 #자연 #하늘"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 #달 #*바람* #의미 #자연 #하늘"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 #달 #바람 #의미 #자연 #*하늘*"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풍광 #달 #바람 #의미 #*자연* #하늘"
* 江風明月(강풍명월)*: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 江湖歌道(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창작 #벗 #시대 #속세 #때 #현실 #시인 #자연 #시가 #객 #조선 #경향 #생활"
"* 江湖散人(강호산인)*: (1)*시골*에 살며 세상을 멀리하는 사람. (2)마음 내키는 대로 돌아다니며 사는 사람. (3)‘최만리’의
호.
#사람 #마음 #세상 #*시골*"
* 江湖散人(강호산인)*: (1)시골에 살며 세상을 멀리하는 사람. (2)마음 내키는 대로 돌아다니며 사는 사람. (3)‘최만리’의 호.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江湖煙波(강호연파)*: (1)대자연의 풍경. (2)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강 #안개 #풍경 #의미 #경치 #산수 #자연 #기운 #잔*물결* #대자연"
* 江湖之氣(강호지기)*: 초야(草野)에 묻힌 이의 기풍(氣風).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벗 #자연 #즐거움"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벗 #자연 #*즐거움*"
* 江湖之樂(강호지락)*: 자연을 벗 삼아 누리는 즐거움.
"* 江湖之人(강호지인)*: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벗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강호 #사람 #벗 #자연 #*벼슬* #세상"
"* 江湖之人(강호지인)*: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벗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강호 #사람 #벗 #*자연* #벼슬 #세상"
"* 江湖之人(강호지인)*: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벗*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강호 #사람 #*벗* #자연 #벼슬 #세상"
* 江湖之人(강호지인)*: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벗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 個個服招(개개복초)*: 죄를 낱낱이 자백함.
#죄"
"* 改過不吝(개과불린)*: *허물*을 고침에 인색(吝嗇)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고침 #*허물* #인색"
"* 改過自新(개과자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잘못 #지난날 #*허물*"
"* 改過自新(개과자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잘못 #지난날 #허물"
"* 改過遷善(개과천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허물* #주저 #지난날 #잘못 #길 #의미 #자신"
* 改過遷善(개과천선)*: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蓋棺事定(개관사정)*: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뚜껑 #일 #말 #평가 #결정 #시체 #정당 #사람"
"* 開國功臣(개국공신)*: 나라를 새로 세울 때 큰 공로가 있는 *신하*.
#*신하* #때 #사람들 #나라 #의미 #공로 #사람"
* 開卷有得(개권유득)*: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開卷有得(개권유득)*: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책 #유익 #*의미* #소득 #지식"
* 開卷有益(개권유익)*: 책을 펼쳐 놓는 것만으로도 *이익*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는 것을 권장하는 말.
"* 改頭換面(개두환면)*: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 改頭換面(개두환면)*: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 改頭換面(개두환면)*: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내용 #일 #고침 #실제 #상황 #머리 #얼굴 #변함 #*근본* #겉 #예전 #변화 #사람"
* 開門納賊(개문납적)*: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開門迎入(개문영입)*: 문을 열어 손님 따위를 반가이 맞*아들*임.
* 開門揖盜(개문읍도)*: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開門而揖盜(개문이읍도)*: 문을 열고 절까지 해가며 도둑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재화(災禍)를 자초하는 *행동*(行動)이나
태도(態度)를 말함."
"* 開門而揖盜(개문이읍도)*: 문을 열고 절까지 해가며 도둑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재화(災禍)를 자초하는 행동(行動)이나
*태도*(態度)를 말함."
* 開物成務(개물성무)*: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開物成務(개물성무)*: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일 #성취 #이룸 #천하 #사무 #天下 #만*물* #사람"
* 開物成務(개물성무)*: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開山始祖(개산시조)*: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 開山始祖(개산시조)*: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처음 #종파 #*승려*"
* 開山始祖(개산시조)*: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 開山祖師(개산조사)*: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처음 #종파 #*승려* #사람"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말 #장군 #의기양양 #비유 #*싸움* #성공 #사람"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말 #*장군* #의기양양 #비유 #싸움 #성공 #사람"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말 #장군 #의기양양 #비유 #싸움 #*성공* #사람"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凱旋將軍(개선장군)*: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재능* #위력 #영웅 #기상 #따위 #세상"
*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재능 #위력 #*영웅* #기상 #따위 #세상"
* 蓋世之才(개세지재)*: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재주*. 또는 그 *재주*를 가진 사람.
"* 蓋世之風(개세지풍)*: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풍채와 용모.
#용모 #풍채 #*세상*"
* 蓋世之風(개세지풍)*: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풍채와 *용*모.
"* 蓋世之風(개세지풍)*: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풍채와 *용모*.
#*용모* #풍채 #세상"
"* 開示悟入(개시오입)*: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일이다.
#일 #출현 #법 #불교 #이치 #진리 #길 #*부처* #중생 #세상"
* 開示悟入(개시오입)*: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