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카테고리 없음

한문 사자성어 (3) ⭕️

by 구름과 하늘 7 2024. 6. 15.
반응형

* 鷄口(계구)*: *닭*의 주둥이라는 뜻으로,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말 #신하 #제후 #희생 #임금 #때 #*신분* #대부 #구분 #옛날 #닭 #맹세"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말 #신하 #*제후* #희생 #임금 #때 #신분 #대부 #구분 #옛날 #닭 #맹세"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닭*의 피를 마셨다."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책 #말 #조직 #단체 #소진 #의미 #*닭* #꼬리 #우두머리 #경구 #말단 #부리"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책 #말 #조직 #단체 #소진 #의미 #닭 #*꼬리* #우두머리 #경구 #말단 #부리"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책 #말 #조직 #단체 #소진 #의미 #닭 #꼬리 #우두*머리* #경구 #말단 #부리"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 鷄口牛後(계구우후)*: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책 #말 #조직 #단체 #소진 #의미 #닭 #꼬리 #우두머리 #경구 #말단 #부리"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말 #비유 #인물 #*마리* #닭 #무리 #가운데 #학 #사람"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孤鶴(계군고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사람들 #인물 #*마리* #닭 #평범 #무리 #가운데 #학 #사람"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 鷄群一鶴(계군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사람들 #*인물* #마리 #닭 #평범 #무리 #가운데 #학 #사람"
* 計窮力盡(계궁역진)*: *꾀*가 다하고 힘을 모두 써 버렸다는 뜻으로, 더 이상 어찌할 도리가 없게 됨을 이르는 말.
* 計窮力盡(계궁역진)*: 꾀가 다하고 힘을 모두 써 버렸다는 뜻으로, 더 이상 어찌할 *도리*가 없게 됨을 이르는 말.
"* 戒急乘緩(계급승완)*: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법 #간절 #부처 #지혜 #교법"
"* 戒急乘緩(계급승완)*: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법 #간절 #부처 #*지혜* #교법"
* 桂棹蘭槳(계도난장)*: 계수*나무*(桂樹--)로 만든 노와 난초(蘭草)의 삿대란 뜻으로, 노와 삿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 桂棹蘭槳(계도난장)*: 계수나무(桂樹--)로 만든 노와 *난초*(蘭草)의 삿대란 뜻으로, 노와 삿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나무 #*난초* #계수나무"
* 鷄豚同社(계돈동사)*: 같은 고향 사람끼리 계(契)를 모아 친목을 *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卵有骨(계란유골)*: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방해 #달걀 #일 #말 #운수 #복 #안됨 #때 #사용 #공교 #나라 #계란 #뼈 #우리 #속담 #*기회* #사람"
"* 鷄肋(계륵)*: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肋(계륵)*: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몸 #말 #상황 #의미 #닭 #연약 #소용 #형편 #맛 #가치 #사람"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 #말 #나무 #*만족* #출중 #선 #계수나무 #비유 #겸손 #나라 #나뭇가지 #비범 #중국 #천거 #유래 #사람됨 #청빈"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 #말 #나무 #만족 #출중 #선 #계수나무 #비유 #겸손 #나라 #나뭇가지 #비범 #중국 #천거 #유래 #사람됨 #청빈"
"* 桂林一枝(계림일지)*: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출세 #말 #나무 #만족 #출중 #선 #계수나무 #비유 #*겸손* #나라 #나뭇가지 #비범 #중국 #천거 #유래 #사람됨 #청빈"
* 計網(계망)*: 계략의 그물이란 뜻으로, 적이 속아 걸려들 *정도*로 빈틈없는 꾀를 이르는 말.
* 計網(계망)*: 계략의 그물이란 뜻으로, 적이 속아 걸려들 정도로 빈틈없는 *꾀*를 이르는 말.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좀도둑 #재주 #요긴 #가장 #흉내 #도움 #때 #선비 #자랑 #꾀 #비굴 #비유 #자랑함 #유래 #가운데 #울음소리 #사람 #쓸모 #왕 #소리 #물건 #제나라 #말 #개의 #
나라 #의미 #중국 #*닭* #울음"
"* 鷄鳴狗盜(계명구도)*: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狗吠(계명구폐)*: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개가 #인가 #*닭*"
* 鷄鳴狗吠相聞(계명구폐상문)*: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鳴之客(계명지객)*: *닭*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
* 鷄鳴之客(계명지객)*: 닭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아침 #도움 #왕 #예전 #정사 #나라 #왕비 #내조 #새벽 #*닭* #울음 #아내 #유래 #현명"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之助(계명지조)*: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鳴丑時(계명축시)*: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무렵 #말 #*닭* #새벽 #사이"
* 鷄鳴丑時(계명축시)*: 첫닭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 繼母(계모)*: *아버지*가 새로 결혼해서 생긴 어머니.
* 繼母(계모)*: 아버지가 새로 결혼해서 생긴 *어머니*.
"*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다툼 #집오리 #먹이 #비유 #*닭* #서로 #사람"
"*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다툼 #집오리 #*먹이* #비유 #닭 #서로 #사람"
"*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鷄鶩爭食(계목쟁식)*: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다툼* #집오리 #먹이 #비유 #닭 #서로 #사람"
"* 計無所施(계무소시)*: *꾀*는 있으나 쓸 만한 곳이 없음.
#*꾀*"
* 戒門往生(계문왕생)*: 계율을 잘 지킨 공덕으로 극락에서 태어남.
* 繼父(계부)*: *어머니*가 개가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繫臂之寵(계비지총)*: 군주의 특별한 총애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무제(武帝)가 예쁜 궁녀를 골라 그 팔꿈치에 붉은
*비단*을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무제 #총애 #특별 #나라 #중국 #팔꿈치 #*비단* #주의 #유래 #군주"
* 階卑職高(계비직고)*: 품계는 낮고 *벼슬*은 높음.
"* 稽顙再拜(계상재배)*: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굽혀 두 번 절함. 흔히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편지 첫머리에 쓴다."
"* 稽顙再拜(계상재배)*: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굽혀 두 번 절함. 흔히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편지 *첫머리*에 쓴다.
#상투어 #몸 #땅 #경의 #이름 #이마 #한문투 #상제 #상대편 #머리 #의미 #다음 #자신 #*첫머리* #선조"
"*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죄인 #죄 #집 #봉황 #비유 #*닭* #충신 #삶"
"*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죄인 #죄 #집 #*봉황* #비유 #닭 #충신 #삶"
"*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界首主人(계수주인)*: *조선* 시대에, 서울에 있으면서 각 도 감영(監營)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일 #서울 #시대 #감영 #*조선* #사람"
* 界首主人(계수주인)*: 조선 *시대*에, 서울에 있으면서 각 도 감영(監營)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 界首主人(계수주인)*: 조선 시대에, 서울에 있으면서 각 도 감영(監營)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일 #서울 #시대 #감영 #조선 #사람"
"* 鷄尸牛從(계시우종)*: *닭*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말 #대가리 #비유 #*닭* #쇠 #꼬리 #꽁무니"
"* 鷄尸牛從(계시우종)*: 닭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말 #대가리 #비유 #닭 #쇠 #*꼬리* #꽁무니"
"* 戒身(계신)*: (1)몸가짐을 삼가며 조심함. (2)오분법신(五分法身)의 하나. 소승 *불교*에서, 부처의 몸의 한 부분을 이르는
것으로,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법 가운데 ‘계’를 부처의 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몸 #부분 #법 #죄 #*불교* #죄과 #입 #비유 #몸가짐 #부처 #조심 #가운데 #해탈"
"* 戒身(계신)*: (1)몸가짐을 삼가며 조심함. (2)오분법신(五分法身)의 하나. 소승 불교에서, *부처*의 몸의 한 부분을 이르는
것으로,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법 가운데 ‘계’를 *부처*의 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戒身(계신)*: (1)몸가짐을 삼가며 조심함. (2)오분법신(五分法身)의 하나. 소승 불교에서, 부처의 몸의 한 부분을 이르는
것으로,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법 *가운데* ‘계’를 부처의 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桂玉(계옥)*: 땔나무의 *값*은 계수나무만큼 비싸고 쌀*값*은 옥*값*과 맞먹는다는 뜻으로, 장작과 식량이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땔나무 #*값* #장작 #식량 #나무 #물가 #계수나무 #물 #비쌈 #쌀 #귀"
"* 桂玉(계옥)*: 땔나무의 값은 계수나무만큼 비싸고 *쌀*값은 옥값과 맞먹는다는 뜻으로, 장작과 식량이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땔나무 #값 #장작 #식량 #나무 #물가 #계수나무 #물 #비쌈 #*쌀* #귀"
"* 桂玉之艱(계옥지간)*: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桂玉之艱(계옥지간)*: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고학 #장작 #나무 #물가 #도시 #때 #어려움 #계수나무 #땔감 #나라 #물 #음식 #*쌀* #괴로움 #생활"
"* 桂玉之艱(계옥지간)*: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고학 #장작 #나무 #물가 #도시 #때 #어려움 #계수나무 #땔감 #나라 #물 #음식 #쌀 #괴로움 #*생활*"
"* 桂玉之愁(계옥지수)*: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땔나무 #*쌀* #장작 #두고 #빈곤 #나무 #계수나무 #땔감 #나라 #양식 #근심 #괴로움 #귀 #생활"
"* 桂玉之愁(계옥지수)*: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桂玉之愁(계옥지수)*: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桂玉之地(계옥지지)*: 장작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고 *쌀*이 옥보다 귀한 곳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물가 #나무 #장작 #계수나무 #물 #*쌀* #귀"
* 繼絶存亡(계절존망)*: 대가 끊이게 된 *집안*에 양자(養子)를 들이어 대를 이음.
* 戒足(계족)*: ‘계’를 달리 이르는 말. 사람 *몸*의 발과 같이 계가 불자를 열반에 이르게 한다는 뜻이다.
"* 鷄窓(계창)*: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窓(계창)*: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鷄窓(계창)*: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말 #방 #*학식* #창 #나라 #독서 #중국 #닭 #서재 #이해 #유래 #사람"
"* 繼體之君(계체지군)*: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황태자 #말 #*임금* #자리 #조상"
"* 繼體之君(계체지군)*: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황태자 #말 #임금 #*자리* #조상"
* 繼體之君(계체지군)*: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季布一諾(계포일낙)*: 절대로 틀림없는 승낙. 중국 초나라 *장수*인 계포(季布)의 한 번 승낙은 백금을 얻기보다 더 소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季布一諾(계포일낙)*: 절대로 틀림없는 승낙. 중국 초나라 장수인 계포(季布)의 한 번 승낙은 백금을 얻기보다 더 소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터럭 #피부 #머리 #털 #의미 #*닭* #살갗 #머리털 #학 #가죽 #늙은이 #사람"
*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터럭 #피부 #머리 #털 #의미 #닭 #살갗 #*머리털* #학 #가죽 #늙은이 #사람"
*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 溪壑(계학)*: (1)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2)끝이 없는 욕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끝 #물 #비유 #계곡"
"* 溪壑(계학)*: (1)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2)끝이 없는 *욕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끝 #물 #비유 #계곡"
* 溪壑(계학)*: (1)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2)끝이 없는 욕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비유"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냇물 #*욕심* #비유"
"* 谿壑之慾(계학지욕)*: 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뜻으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慾心)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呱呱之聲(고고지성)*: 고고(呱呱)의 *소리*.
"* 姑公(고공)*: (1)결혼한 *여자*의 시부모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2)대고모부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여자* #결혼 #왕 #할아버지 #시아버지 #시어머니 #시부모"
* 姑公(고공)*: (1)결혼한 여자의 시*부모*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2)대고모부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 高拱(고공)*: (1)팔짱을 높이 낀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관계*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을 이르는 말. (2)도가(道家)에서,
대법사를 이르는 말.
#일 #*관계* #비유 #팔짱"
"* 高拱(고공)*: (1)팔짱을 높이 낀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관계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을 이르는 말. (2)도가(道家)에서, 대*법*사를
이르는 말."
"* 高官大爵(고관대작)*: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직위 #사용 #관리 #의미 #현대 #벼슬자리 #위치 #자리 #*지위* #벼슬 #훌륭 #귀 #사람"
"* 高官大爵(고관대작)*: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직위 #사용 #관리 #의미 #현대 #*벼슬*자리 #위치 #자리 #지위 #*벼슬* #훌륭 #귀 #사람"
* 高官大爵(고관대작)*: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 高冠陪輦(고관배련)*: 높은 관을 쓰고 연을 모시니 *제후*(諸侯)의 예로 대접(待接)함.
#대접 #*제후* #연"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 #신하 #임금 #신임 #다리"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 #신하 #*임금* #신임 #다리"
"* 股肱(고굉)*: (1)다리와 팔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
#온몸 #*신하* #임금 #신임 #다리"
"* 股肱之臣(고굉지신)*: 다리와 팔같이 중요한 *신하*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를 이르는 말.
#넓적다리 #신뢰 #*신하* #중요 #표현 #임금 #팔뚝 #보필 #신임 #의미 #다리 #입장 #충신"
* 股肱之臣(고굉지신)*: 다리와 팔같이 중요한 신하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를 이르는 말.
"* 股肱之臣(고굉지신)*: 다리와 팔같이 중요한 신하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를 이르는 말.
#넓적다리 #신뢰 #신하 #중요 #표현 #임금 #팔뚝 #보필 #신임 #의미 #다리 #입장 #충신"
* 姑舅(고구)*: ‘시*부모*’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 孤軍奮鬪(고군분투)*: (1)운동경기나 *싸움*에서 혼자서 많은 수의 적들을 상대하여 힘들게 *싸움*. (2)남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 힘에 벅찬 일을 잘해 나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孤軍奮鬪(고군분투)*: (1)운동경기나 싸움에서 *혼자*서 많은 수의 적들을 상대하여 힘들게 싸움. (2)남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
힘에 벅찬 일을 잘해 나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도움 #군사 #운동 #*혼자* #고립 #분발 #후원 #적군 #상대 #여럿 #사용 #의미 #힘 #싸움 #군대"
"* 孤軍弱卒(고군약졸)*: (1)따로 떨어져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 군대의 약한 *군사*. (2)힘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움 #*군사* #고립 #힘 #군대 #사람"
* 孤軍弱卒(고군약졸)*: (1)따로 떨어져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 군대의 약한 군사. (2)*힘*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固窮讀書(고궁독서)*: 어려운 *처지*에도 기꺼이 글을 읽음.
"* 固窮讀書(고궁독서)*: 어려운 처지에도 기꺼이 글을 읽음.
#곤궁 #가난 #달 #학문"
"* 孤根弱植(고근약식)*: 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뜻으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비유 #친척 #일가 #*뿌리*"
"* 孤根弱植(고근약식)*: 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뜻으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비유 #*친척* #일가 #뿌리"
* 古今獨步(고금독보)*: 고*금*을 통틀어도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을 만큼 뛰어남.
"* 古今東西(고금동서)*: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 #때 #옛날 #지금 #지역 #동양"
"* 古今東西(고금동서)*: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 #때 #옛날 #지금 #지역 #동양"
"* 古今同然(고금동연)*: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습이나 형편이 같음.
#예전 #의미 #형편 #지*금* #모습 #마찬가지임"
"* 古今同然(고금동연)*: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습이나 *형편*이 같음.
#예전 #의미 #*형편* #지금 #모습 #마찬가지임"
"* 古今不同(고금부동)*: 모습이나 *형편* 따위가 예전과 지금이 서로 같지 않음.
#시대 #*형편* #지금 #서로 #모습 #예전 #따위"
* 古今不同(고금부동)*: 모습이나 형편 따위가 예전과 지*금*이 서로 같지 않음.
* 古今天地(고금천지)*: 예전부터 지*금*까지의 온 세상.
* 敲金戛石(고금알석)*: 쇠를 두드리고 돌을 울린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文章)의 어울림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 敲金戛石(고금알석)*: 쇠를 두드리고 돌을 울린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文章)의 어울림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쇠 #문장"
* 孤女(고녀)*: *아버지*의 상중에 있는 여자가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孤女(고녀)*: 아버지의 상중에 있는 *여자*가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高談雄辯(고담웅변)*: 도도하게 거리낌 없이 *의논*함.
#거리낌 #*의논* #물"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속세* #생각 #현실 #사상 #태도 #주의 #고상 #초연"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 高踏主義(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 苦待苦待(고대고대)*: 몹시 애타게 기다리는 *모양*.
"* 高大姑母(고대고모)*: 고조할*아버지*의 누이.
#누이 #할*아버지* #고조"
* 孤獨單身(고독단신)*: 도와주는 사람 없이 외로운 *처지*에 있는 몸.
"* 古來之風(고래지풍)*: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속*.
#*풍속*"
"* 膏粱(고량)*: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곡식 #가문 #음식 #부귀 #고량진미"
"* 膏粱(고량)*: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곡식* #가문 #음식 #부귀 #고량진미"
"* 膏粱(고량)*: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곡식 #가문 #음식 #*부귀* #고량진미"
* 膏粱子弟(고량자제)*: *부귀*한 집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 膏粱子弟(고량자제)*: 부귀한 집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 膏粱子弟(고량자제)*: 부귀한 집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 膏粱子弟(고량자제)*: 부귀한 집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자제* #말 #고량진미 #집 #고생 #젊은이 #부귀 #사람"
"* 膏粱珍味(고량진미)*: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맛 #곡식 #음식 #*기름*"
"* 膏粱珍味(고량진미)*: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맛 #*곡식* #음식 #기름"
"*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
#일 #말 #법령 #고려 #때 #비유 #시작 #정책 #변동 #계속 #정권 #사흘 #*고사* #공적"
"* 考例施賞(고례시상)*: 전례를 참*고하*여 상을 줌.
#참고 #전례"
"* 孤陋寡聞(고루과문)*: 하등(下等)의 식견(識見)도 *재능*(才能)도 없음.
#*재능* #식견"
* 孤立無依(고립무의)*: 고립되어 *의지*할 데가 없음.
* 孤立之勢(고립지세)*: 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형세.
"* 孤立之勢(고립지세)*: 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형세*.
#의지 #*형세*"
* 瞽馬聞鈴(고마문령)*: 눈먼 망아지가 워낭 *소리*를 듣고 따라간다는 뜻으로, 맹목적으로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이르는 말.
* 瞽馬聞鈴(고마문령)*: 눈먼 망아지가 워낭 소리를 듣고 따라간다는 뜻으로, 맹*목적*으로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이르는 말.
"* 藁網捉虎(고망착호)*: 썩은 *새끼*로 범을 잡는다는 뜻으로, 서툰 솜씨로 큰일을 하려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솜씨 #*새끼* #범 #성취 #뜻밖 #큰일 #계책 #속담"
"* 高眠(고면)*: *베개*를 높이 베고 잔다는 뜻으로, 마음 편히 잠을 이르는 말.
#잠 #마음 #*베개*"
* 高眠(고면)*: 베개를 높이 베고 잔다는 뜻으로, *마음* 편히 잠을 이르는 말.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일 #*명예* #생각함 #의리 #생각 #자신"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일 #명예 #생각함 #*의리* #생각 #자신"
"* 顧名思義(고명사의)*: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
함."
"* 顧命之臣(고명지신)*: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대신 #신하 #유언 #*임금* #나라 #부탁"
"* 顧命之臣(고명지신)*: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대신 #신하 #유언 #임금 #*나라* #부탁"
"* 顧命之臣(고명지신)*: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대신 #신하 #유언 #임금 #나라 #부탁"
"* 姑母(고모)*: (1)*아버지*의 누이. (2)*아버지*의 누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누이"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發榮(고목발영)*: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死灰(고목사회)*: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다는 뜻으로, 생기와 의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욕 #마음 #마른나무 #나무 #겉모습 #고목 #외형 #사람"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신기 #마른나무 #말 #곤궁 #나무 #아들 #요행 #꽃 #의미 #지경 #말라 #행운 #사람"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신기 #마른나무 #말 #곤궁 #나무 #아들 #요행 #꽃 #의미 #*지경* #말라 #행운 #사람"
"* 枯木生花(고목생화)*: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신기 #마른나무 #말 #곤궁 #나무 #*아들* #요행 #꽃 #의미 #지경 #말라 #행운 #사람"
"* 枯木寒巖(고목한암)*: 말라 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 枯木寒巖(고목한암)*: 말라 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이름 #마음 #나무 #생각 #말라 #사람"
"* 鼓舞激勵(고무격려)*: 격려(激勵)하여 *기세*(氣勢)를 북돋우어 줌.
#*기세* #격려"
* 高文大冊(고문대책)*: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 高文大冊(고문대책)*: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내용 #저술 #책 #귀중 #*명령* #웅대 #임금 #국가 #문장 #웅장"
* 高文大冊(고문대책)*: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 高文典冊(고문전책)*: 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저술 #귀중 #*명령* #임금 #국가"
* 高文典冊(고문전책)*: 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 鼓腹(고복)*: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 鼓腹(고복)*: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 鼓腹擊壤(고복격양)*: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중국 요 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성대를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顧復之恩(고복지은)*: 늘 돌보시는 *은혜*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자식을 걱정하는 부모의 *은혜*를 이르는 말.
* 顧復之恩(고복지은)*: 늘 돌보시는 은혜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자식*을 걱정하는 부모의 은혜를 이르는 말.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땅*을 가르고 감.
* 姑婦之禮(고부지례)*: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 지켜야 할 예절.
* 姑婦之禮(고부지례)*: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 지켜야 할 예절.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아내 #동이 #말 #조문 #노래 #죽음 #물 #*장자* #중국 #다리 #술 #고사 #유래"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아내 #동이 #말 #조문 #*노래* #죽음 #물 #장자 #중국 #다리 #술 #고사 #유래"
"*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叩盆之嘆(고분지탄)*: *아내*가 죽은 한탄(恨歎)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叩盆之痛(고분지통)*: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한문투 #*아내*"
* 鼓盆之痛(고분지통)*: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考妣(고비)*: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
"* 考妣(고비)*: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
#어머니"
"* 高飛遠走(고비원주)*: 높이 날고 멀리 달린다는 뜻으로, 자취를 감추려고 남이 모르게 멀리 달아남을 이르는 말.
#종적 #자취"
"* 敲氷求火(고빙구화)*: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求)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불가능(不可能)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불 #비유 #*얼음* #불가능"
* 叩謝(고사)*: (1)*머리*를 조아려서 고마운 마음을 나타냄. (2)*머리*를 조아려서 죄를 빎.
"* 叩謝(고사)*: (1)머리를 조아려서 고마운 마음을 나타냄. (2)머리를 조아려서 죄를 빎.
#사례 #마음 #죄 #사죄 #머리"
* 故事來歷(고사내력)*: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래와 경위.
"* 故事來歷(고사내력)*: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래와 경위.
#사물 #역사 #이유 #사건 #유래 #결과"
"*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의지 #형용 #도움 #성 #처량 #정상 #비유 #목숨 #길 #불안 #세력 #*성과* #얼마"
*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눈가림 #처리 #오줌 #*임시*변통 #꾀 #안정 #때 #비유 #주선 #변통 #속담 #계책 #당장 #*임시* #방법 #한때"
"* 姑息之計(고식지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눈가림 #처리 #오줌 #임시변통 #꾀 #안정 #때 #비유 #주선 #변통 #속담 #*계책* #당장 #임시 #방법 #한때"
* 苦心焦思(고심초사)*: 마음을 태우며 애써 *생각*함.
* 苦樂竝行(고락병행)*: 괴로움에는 *즐거움*이 따르고 *즐거움*에는 괴로움이 따름.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구름* #벼슬 #선비 #무리 #학 #한가"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구름 #벼슬 #선비 #*무리* #학 #한가"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구름 #벼슬 #선비 #무리 #학 #한가"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 孤雲野鶴(고운야학)*: 외로이 떠 있는 구름과 무리에서 벗어나 들에 있는 학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한가롭게 숨어
지내는 *선비*를 이르는 말.
#구름 #벼슬 #*선비* #무리 #학 #한가"
"* 苦肉之計(고육지계)*: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 苦肉之計(고육지계)*: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상해 #몸 #희생 #의미 #고통 #*계책* #상태 #각오 #자신 #상대방"
"* 苦肉之計(고육지계)*: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 苦肉之計(고육지계)*: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 孤掌難鳴(고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孤掌難鳴(고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일 #손바닥 #어려움 #*혼자* #소리 #의미 #외손뼉 #힘 #싸움 #사람"
"* 孤掌難鳴(고장난명)*: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일 #손바닥 #어려움 #혼자 #소리 #의미 #외손뼉 #힘 #*싸움* #사람"
"*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역경 #*고생* #끝 #의미 #고통 #즐거움"
"*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역경 #고생 #끝 #의미 #고통 #*즐거움*"
"* 孤雛腐鼠(고추부서)*: 외로운 병아리와 썩은 쥐라는 뜻으로, 미천한 사람이나 천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병아리 #미천 #때 #사용 #쥐 #*물건* #지금 #헌신짝 #사람"
"* 孤枕單衾(고침단금)*: 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홀로 쓸쓸히 자는 잠자리를 이르는 말.
#여자 #이불 #개의 #잠자리 #혼자 #*베개* #잠"
* 孤枕單衾(고침단금)*: 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홀로 쓸쓸히 자는 잠자리를 이르는 말.
* 孤枕單衾(고침단금)*: 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홀로 쓸쓸히 자는 잠자리를 이르는 말.
* 孤枕單衾(고침단금)*: 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홀로 쓸쓸히 자는 잠*자리*를 이르는 말.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비유 #*베개* #근심 #안심 #높이 #상태"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비유 #베개 #근심 #안심 #높이 #상태"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 高枕而臥(고침이와)*: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일 #마음 #성패 #상벌 #의미 #진퇴 #낮 #권리 #높이"
"* 高下在心(고하재심)*: 놀고 낮음이 마음에 있다는 뜻으로, 높이 하거나 낮게 하는 것은 다 마음 쓰기에 달렸다는 의미인데, 1
마음먹기에 따라 일의 성패가 판가름나는 일을 의미하거나, 2. 진퇴상벌의 권리를 마음대로 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함.
#일 #마음 #성패 #상벌 #의미 #진퇴 #낮 #권리 #높이"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 #*값* #일정 #물건*값* #의미 #변동 #비쌈 #물건 #낮 #내림"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 #값 #*일정* #물건값 #의미 #변동 #비쌈 #물건 #낮 #내림"
"* 高歇無常(고헐무상)*: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쌈 #값 #일정 #물건값 #의미 #변동 #비쌈 #물건 #낮 #내림"
"* 膏火自煎(고화자전)*: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화(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재주 #등불 #화 #비유 #*기름* #자신 #사람"
"* 膏火自煎(고화자전)*: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화(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재주 #*등불* #화 #비유 #기름 #자신 #사람"
"* 膏火自煎(고화자전)*: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화(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 膏火自煎(고화자전)*: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화(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 古稀(고희)*: 고래(古來)로 드문 *나이*란 뜻으로, 일흔 살을 이르는 말. 두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만족 #의미 #*베개* #즐거움 #잠 #가난 #정도 #삶 #청빈"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만족* #의미 #베개 #즐거움 #잠 #가난 #정도 #삶 #청빈"
*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미인 #*눈썹* #살이 #뺨 #동양 #풍 #모양 #얼굴"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미인 #눈썹 #살이 #뺨 #동양 #풍 #*모양* #얼굴"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미인* #눈썹 #살이 #뺨 #동양 #풍 #모양 #얼굴"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미인 #눈썹 #살이 #뺨 #동양 #풍 #모양 #*얼굴*"
"*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穀腹絲身(곡복사신)*: 배를 채우는 *곡식*과 몸을 가리는 실이라는 뜻으로, 먹는 것과 입는 것을 이르는 말.
#몸 #일 #배 #옷 #*곡식* #밥 #의미"
* 穀腹絲身(곡복사신)*: 배를 채우는 곡식과 *몸*을 가리는 실이라는 뜻으로, 먹는 것과 입는 것을 이르는 말.
* 穀腹絲身(곡복사신)*: 배를 채우는 곡식과 몸을 가리는 실이라는 뜻으로, 먹는 것과 입는 것을 이르는 말.
* 曲學阿世(곡학아세)*: 바른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 曲學阿世(곡학아세)*: 바른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 曲學阿世(곡학아세)*: 바른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 骨肉相殘(골육상잔)*: 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해치고 죽임.
"* 公卿大夫(공경대부)*: 삼공과 구경, 대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대부 #의미 #삼공 #벼슬 #구경 #사람"
"* 空念佛(공염불)*: (1)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용 #말 #실제 #선전 #염불 #비유 #입 #*주장* #신심 #효과 #실천"
* 空山明月(공산명월)*: (1)사람 없는 빈산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 (2)‘대*머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뜻으로, 재물에 *욕심*을 부릴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
"*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개인 #의미 #私事 #로움 #공평 #*감정* #치우 #쪽 #고름 #사람"
*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 公平無私(공평무사)*: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개인 #의미 #私事 #로움 #공평 #감정 #치우 #쪽 #고름 #사람"
"* 恭賀新年(공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복 #인사말 #*축하* #공손 #의미 #새해 #인사"
"* 過恭非禮(과공비례)*: 지나치게 *공손*하면 오히려 예의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공손*함도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방에게 무례를
저지르는 것임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타인 #예의 #*공손* #의미 #상대방 #정도 #무례"
"* 誇大妄想(과대망상)*: *사실*보다 지나치게 부풀려서 생각하고 그것을 *사실*로 믿어버리는 일.
#일 #그것 #엉뚱 #과장 #턱 #망령 #생각 #의미 #*사실*"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경우 #왕 #표현 #지칭 #나라 #사용 #*겸손* #의미 #자신 #과거 #사람"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경우 #왕 #*표현* #지칭 #나라 #사용 #겸손 #의미 #자신 #과거 #사람"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 寡德之人(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 蝌蚪時代(과두시대)*: 개구리가 올챙이였던 때라는 뜻으로, 현재가 과거보다 발전한 *경우* 그 발전하기 이전의 과거를 이르는 말.
"* 蝌蚪時代(과두시대)*: 개구리가 올챙이였던 때라는 뜻으로, 현재가 과거보다 발전한 경우 그 발전하기 이전의 과거를 이르는 말.
#일 #이름 #경우 #팔자 #고생 #때 #이전 #발전 #과거 #사람"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말 #사용 #술 #냄새 #사람"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말 #사용 #술 #냄*새* #사람"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말 #*사용* #술 #냄새 #사람"
"* 過目成誦(과목성송)*: 어떤 책이든 한번 보기만 하면 곧 왼다는 뜻으로, *기억*력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책 #한번 #눈 #비유"
* 寡不敵衆(과부적중)*: (1)‘과부적중’의 북한어. (2)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 過猶不及(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중요 #부족 #의미 #공자 #*정도* #중용"
"* 過猶不及(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받기 쉬운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문선(文選)≫의 ‘군자행(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받기 쉬운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문선(文選)≫의 ‘*군자*행(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잘못을 했을 때, 이를 즉시 고침.
#고침 #허*물* #때 #잘못 #의미"
"* 過火熟食(과화숙식)*: 지나가는 불에 음식이 익는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을 위하여 한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에게 *은혜*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사물 #마음 #성인 #학문 #거리낌 #의미 #사심 #군자 #공평 #*태도*"
"* 觀過知仁(관과지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 觀過知仁(관과지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후한* #허물 #소인 #과정 #의미 #과오 #군자 #사람"
"* 管鮑之交(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의 사귐이란 뜻으로,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
#교제 #사람 #춘추 #포숙 #*친구* #시대 #관중 #관계 #우정 #나라 #돈독 #의미 #중국 #친밀 #이해 #서로 #유래 #사이"
"* 管鮑之交(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의 사귐이란 뜻으로,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
#교제 #사람 #춘추 #포숙 #친구 #시대 #관중 #*관계* #우정 #나라 #돈독 #의미 #중국 #친밀 #이해 #서로 #유래 #사이"
"* 刮垢磨光(괄구마광)*: 때를 *벗*기고 빛나게 닦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을 때를 *벗*기고 빛이 나도록 닦음을 이르거나
인재(人材)를 길러냄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 刮垢磨光(괄구마광)*: 때를 벗기고 빛나게 닦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을 때를 벗기고 빛이 나도록 닦음을 이르거나 *인재*(人材)를
길러냄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재주 #눈 #상대편 #*학식* #주의 #본래 #결과"
"*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재주* #눈 #상대편 #학식 #주의 #본래 #결과"
"* 曠世英雄(광세영웅)*: 세상에 보기 드문 *영웅*.
#재능 #용맹 #*영웅* #담력 #지력 #세상 #훌륭 #사람"
"* 矯角殺牛(교각살우)*: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矯角殺牛(교각살우)*: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巧言令色(교언영색)*: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 巧言令色(교언영색)*: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빛 #말 #아첨 #낯 #거리 #*태도* #진실 #교묘 #얼굴"
"* 矯枉過直(교왕과직)*: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도*에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쳐서
오히려 나쁘게 됨을 이르는 말."
"* 矯枉過直(교왕과직)*: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도에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쳐서
오히려 나쁘게 됨을 이르는 말.
#일 #*왕* #과정 #잘못 #의미 #정도 #중용"
* 敎外別傳(교외별전)*: 선종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바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진리를 깨닫게 하는 법.
"* 敎外別傳(교외별전)*: 선종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바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진리를 깨닫게 하는 법.
#마음 #법 #말 #가섭 #진리 #제자 #밖 #*별*도 #전함 #경전 #석가 #일화 #부처 #가르침 #언어"
"*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상여 #인상 #기러기발 #말 #아교풀 #풀 #융통성 #고지식 #조금 #변통 #규칙 #*거문고* #연주"
"*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상여 #인상 #기러기발 #말 #아교풀 #풀 #융통성 #고*지식* #조금 #변통 #규칙 #거문고 #연주"
"* 膠柱鼓瑟(교주고슬)*: 아교풀로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붙여 놓으면 음조를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고지식하여 조금도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상여 #인상 #기러기발 #말 #아교풀 #풀 #융통성 #고지식 #조금 #변통 #규칙 #거문고 #연주"
"* 膠漆之交(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가 친구
원미지(元微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교분 #친구 #중국 #시인 #*친밀* #유래 #사이"
"* 膠漆之交(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가 친구
원미지(元微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교분 #친구 #중국 #시인 #친밀 #유래 #사이"
"* 膠漆之交(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가 친구
원미지(元微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교분 #친구 #중국 #*시인* #친밀 #유래 #사이"
"* 膠漆之交(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가 *친구*
원미지(元微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한다."
"* 狡兎三窟(교토삼굴)*: 교활한 *토끼*의 세 개 굴이라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토끼* #고비 #교활 #위험 #계책 #안전 #자신 #구멍"
"* 狡兎三窟(교토삼굴)*: 교활한 토끼의 세 개 굴이라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토끼 #*고비* #교활 #위험 #계책 #안전 #자신 #구멍"
"* 狡兎三窟(교토삼굴)*: 교활한 토끼의 세 개 굴이라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토끼 #고비 #교활 #위험 #계책 #안전 #자신 #*구멍*"
"* 狡兎三窟(교토삼굴)*: 교활한 토끼의 세 개 굴이라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
#토끼 #고비 #교활 #위험 #*계책* #안전 #자신 #구멍"
"* 舊官名官(구관명관)*: 옛 *관리*가 명 *관리*라는 뜻으로, 먼저 있었던 *관리*가 더 훌륭하다는 의미에서, 아무래도 오랜 경험을
쌓은 사람이 낫다는 의미로 활용됨.
#*관리* #의미 #경험 #훌륭 #활용 #사람"
"* 狗馬之心(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
#*주인* #충성 #마음 #말 #진심 #자신"
"* 狗馬之心(구마지심)*: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
#주인 #*충성* #마음 #말 #진심 #자신"
"* 狗尾續貂(구미속초)*: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족 #개의 #비유 #의미 #모자라 #*꼬리* #벼슬 #모자 #본래 #고사 #훌륭"
"* 狗尾續貂(구미속초)*: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족 #개의 #비유 #의미 #*모자*라 #꼬리 #벼슬 #*모자* #본래 #고사 #훌륭"
"* 狗尾續貂(구미속초)*: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狗飯橡實(구반상실)*: 개밥에 도토리 열매라는 뜻으로, 개가 도토리를 먹지 않아 개 밥*그릇*에 도토리만 남게 되는 것처럼, 외톨이
신세가 될 때 쓰이는 말.
#도토리 #신세 #개가 #때 #밥*그릇* #열매"
* 龜背刮毛(귀배괄모)*: 거북의 등에서 털을 깎는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무리*하게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
"* 九死一生(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의미 #*고비* #아홉 #차례"
"* 九死一生(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의미 #고비 #아홉 #차례"
* 口尙乳臭(구상유취)*: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유치함을 이르는 말.
* 鳩首會議(구수회의)*: 비둘기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듯이 여럿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머리를 맞대고 의논함. 또는 그런 회의.
"* 鳩首會議(구수회의)*: 비둘기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듯이 여럿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머리를 맞대고 *의논*함. 또는 그런 회의.
#*의논* #모아 #머리 #의미 #여럿 #비둘기들 #논의 #사람"
* 九十春光(구십춘광)*: (1)봄의 석 달 *동안*. (2)석 달 *동안*의 화창한 봄 날씨.
"* 九牛一毛(구우일모)*: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
#터럭 #다수 #아홉 #비유 #털 #*마리* #가운데"
* 九牛一毛(구우일모)*: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학문 #천박 #입 #의미 #*생각* #자신 #귀"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학*문 #천박 #입 #의미 #생각 #자신 #귀"
"* 口耳之學(구이지학)*: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학문* #천박 #입 #의미 #생각 #자신 #귀"
* 求田問舍(구전문사)*: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求田問舍(구전문사)*: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求田問舍(구전문사)*: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마음 #집 #밭 #비유 #논밭 #걱정 #원대"
"* 口中荊棘(구중형극)*: 입 안의 *가시*라는 뜻으로, 남을 중상(中傷)하는 언론(言論)의 음험(陰險)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가시* #비유 #입 #음험 #언론"
* 國士無雙(국사무쌍)*: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로 빼어난 선비.
"* 國士無雙(국사무쌍)*: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로 빼어난 *선비*.
#나라 #인물 #정도 #*선비* #비교 #사람"
* 國恥民辱(국치민욕)*: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백성 #방 #*태평* #입춘 #나라 #사용 #입 #편안 #절의"
"* 國泰民安(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백성 #방 #태평 #입춘 #나라 #사용 #입 #*편안* #절의"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말 #인물 #*마리* #닭 #무리 #가운데 #학 #사람"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群鷄一鶴(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에 나오는 말이다."
"* 群盲撫象(군맹무상)*: 맹인(盲人)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사물을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잘못 *판단*함을 이르는 말.
열반경에 나오는 말이다.
#사물 #부분 #맹인 #말 #파악 #주관 #잘못 #여럿 #*판단* #소견 #장님 #코끼리"
"* 群盲撫象(군맹무상)*: 맹인(盲人)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사물을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잘못 판단함을 이르는 말.
열반경에 나오는 말이다.
#사물 #부분 #맹인 #말 #파악 #주관 #잘못 #여럿 #판단 #소견 #장님 #코끼리"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몸 #임금 #은혜 #君師父 #*스승* #의미 #모두"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몸 #임금 #*은혜* #君師父 #스승 #의미 #모두"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몸 #임금 #은혜 #君師父 #스승 #의미 #모두"
* 君臣有義(군신유의)*: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 君臣有義(군신유의)*: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 君臣有義(군신유의)*: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신하 #임금 #*의리* #사이"
"* 群雄割據(군웅할거)*: 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
#차지 #위세 #*영웅* #지방 #의미 #서로 #세력 #자리"
"* 群雄割據(군웅할거)*: 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
#차지 #위세 #영웅 #*지방* #의미 #서로 #세력 #자리"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의미 #형제 #경계 #천하 #하늘 #즐거움 #*군자* #부모 #무고 #사람"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의미 #형제 #경계 #천하 #하늘 #*즐거움* #군자 #부모 #무고 #사람"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 窮寇勿追(궁구물추)*: 피할 곳 없는 도적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한 *지경*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도적 #극단 #비유 #궁지 #경계 #*지경* #곤란 #해 #사람"
"* 窮寇勿追(궁구물추)*: 피할 곳 없는 도적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곤란한 지경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
"* 窮餘之策(궁여지책)*: 별수가 없어서 겨우 짜낸 해결*책*.
#의미 #궁 #계*책* #상황"
"* 窮餘之策(궁여지책)*: 별수가 없어서 겨우 짜낸 해결책.
#의미 #궁 #계책 #상황"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책 #일 #달성 #모략 #의미 #그때 #방법 #술 #수단 #*목적*"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책 #일 #달성 #모략 #의미 #그때 #방법 #술 #*수단* #목적"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책 #일 #달성 #모략 #의미 #그때 #*방법* #술 #수단 #목적"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權門勢家(권문세가)*: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 權門勢家(권문세가)*: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권력 #*권세* #가문 #세도 #집안 #벼슬"
* 權門勢家(권문세가)*: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 權不十年(권불십년)*: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권력 #강 #*권세* #의미 #세력"
* 權不十年(권불십년)*: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捲土重來(권토중래)*: (1)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항우 #일 #당나라 #땅 #말 #기세 #*탄식* #자결 #실패 #비유 #의미 #결전 #중국 #회복 #힘 #유방 #근처 #흙 #전력 #유래"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의미 #겸손 #*땅* #인사말"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의미 #*겸손* #땅 #인사말"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 歸去來兮(귀거래혜)*: ‘*돌*아갈거나!’라는 뜻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田園:고향)으로 *돌*아갈 결의를 나타내는 의미.
"* 歸去來兮(귀거래혜)*: ‘돌아갈거나!’라는 뜻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田園:고향)으로 돌아갈 결의를 나타내는 의미.
#고향 #전원 #의미 #결의 #*벼슬*"
"* 貴鵠賤鷄(귀곡천계)*: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貴鵠賤鷄(귀곡천계)*: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貴鵠賤鷄(귀곡천계)*: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歸馬放牛(귀마방우)*: *전쟁*에 썼던 말과 소를 놓아준다는 뜻으로,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말 #왕 #무왕 #*전쟁* #사용 #비유 #나라 #평화 #고사 #이상 #세상"
* 歸馬放牛(귀마방우)*: 전쟁에 썼던 말과 소를 놓아준다는 뜻으로,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規矩準繩(규구준승)*: (1)목수가 쓰는 *걸음*쇠, 곱자, 수준기, 다림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
#사물 #일상 #법 #먹줄 #도구 #법도 #곱자 #의미 #일상생활 #*걸음* #척도 #쇠 #가치 #그림 #생활 #사람"
* 規矩準繩(규구준승)*: (1)목수가 쓰는 걸음쇠, 곱자, 수준기, 다림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
"* 珪璋特達(규장특달)*: 규홀과 장홀만 이른다는 뜻으로, 혼약(婚約)의 예물로 다른 폐물(幣物)은 보내지 않고 다만 규장(珪璋)만을
보내는 것으로, 덕(德)이 출중(出衆)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물 #예물 #비유"
"* 規行矩步(규행구보)*: *걸음*걸이가 법도와 규칙에 맞는다는 뜻으로, 품행(品行)이 방정(方正)함을 비유하여 이르거나, 옛 법식을
묵수(墨守)하는 일을 이르기도 함.
#일 #품행 #법 #법도 #비유 #법식 #규칙 #*걸음*걸이 #방정"
"* 極口辨明(극구변명)*: 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
#말 #잘못 #분명 #변명 #*분별*"
* 極口辨明(극구변명)*: 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
* 極口辨明(극구변명)*: 말을 다하여 분명하게 분별한다는 뜻으로, 온갖 말을 다하여 *자기*의 잘못이 없음을 변명함.
"*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욕망 #예의범절 #극복 #*욕심* #예의 #따름 #의미 #자신"
*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 克己復禮(극기복례)*: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 克伐怨慾(극벌원욕)*: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악덕 #*원망* #행위 #화 #탐욕 #물욕 #자랑 #사람"
"* 極樂往生(극락왕생)*: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아미타불 #극락 #용어 #불교 #목숨 #의미"
* 謹賀新年(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謹賀新年(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상투어 #복 #*축하* #신년 #정중 #상투 #사용 #새해 #인사"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 #꽃 #의미 #왕안석 #*비단* #유래 #아름다움"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 #*꽃* #의미 #왕안석 #비단 #유래 #아름다움"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 #꽃 #의미 #왕안석 #비단 #*유래* #아름다움"
"*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일 #꽃 #의미 #왕안석 #비단 #유래 #아름다움"
* 今昔之感(금석지감)*: 지*금*과 옛날의 차이가 너무 심하여 생기는 느낌.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산 #아름 #나라 #의미 #산천 #우리 #비단 #우리나라"
* 琴瑟之樂(금슬지락)*: ‘*금*실지락’의 원말.
"* 今始初聞(금시초문)*: 이제서야 비로소 처음 들었다는 뜻으로, 듣어보지 못한 *상황*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의미.
#의미 #처음 #*상황*"
* 今始初聞(금시초문)*: 이제서야 비로소 처음 들었다는 뜻으로, 듣어보지 못한 상황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의미.
"* 錦心繡口(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재주 #마음 #말 #마음씨 #글재주 #아름 #생각 #*비단* #칭찬 #말씨 #사람"
"* 錦心繡口(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錦心繡口(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재주* #마음 #말 #마음씨 #글*재주* #아름 #생각 #비단 #칭찬 #말씨 #사람"
"* 錦心繡口(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錦衣夜行(금의야행)*: (1)*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닌다는 뜻으로,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
#일 #출세 #*비단*옷 #밤길 #의미 #생색 #밤중 #행동 #자랑 #보람"
"* 錦衣夜行(금의야행)*: (1)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닌다는 뜻으로,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
"* 錦衣玉食(금의옥식)*: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호사 #옷 #*비단*옷 #사치 #밥 #호화 #음식 #의식 #생활"
"* 錦衣玉食(금의옥식)*: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호사 #옷 #비단옷 #사치 #밥 #호화 #음식 #의식 #생활"
* 錦衣玉食(금의옥식)*: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 錦衣還鄕(금의환향)*: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출세 #옷 #*비단*옷 #고향 #의미"
* 錦衣還鄕(금의환향)*: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急難之風(급난지풍)*: 남이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구해 주는 의로운 *태도*.
#일 #어려움 #때 #상황 #기풍 #의미 #구원 #*태도* #위급"
"* 急轉直下(급전직하)*: 사정이나 *형세*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급작스럽게 전개됨.
#전개 #의미 #결정 #급작 #사정 #*형세*"
* 氣高萬丈(기고만장)*: (1)펄펄 뛸 만큼 대단히 성이 남. (2)일이 뜻대로 잘될 때, 우쭐하여 뽐내는 *기세*가 대단함.
"* 麒麟兒(기린아)*: *지혜*와 재주가 썩 뛰어난 사람.
#재주 #사람 #성인 #동물 #기린 #상상 #비유 #*지혜* #신성"
"* 麒麟兒(기린아)*: 지혜와 *재주*가 썩 뛰어난 사람.
#*재주* #사람 #성인 #동물 #기린 #상상 #비유 #지혜 #신성"
* 奇謀秘計(기모비계)*: 기이하고 신비한 謀略(모략)의 뜻으로, 유*별*나서 신묘하고 신비스러운 계략의 의미.
* 奇謀秘計(기모비계)*: 기이하고 신비한 謀略(모략)의 뜻으로, 유별나서 신묘하고 신비스러운 계략의 *의미*.
* 記問之學(기문지학)*: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익혀 두는 *학*문. 참된 깨달음이 없는 *학*문을 이른다.
"* 記問之學(기문지학)*: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익혀 두는 *학문*. 참된 깨달음이 없는 *학문*을 이른다.
#물음 #*학문* #대답 #의미 #기억 #깨달음 #정도 #활용 #질문"
* 起死回生(기사회생)*: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 起死回生(기사회생)*: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의미 #중병 #죽음"
* 奇想天外(기상천외)*: 착상이나 *생각* 따위가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하고 엉뚱함.
* 奇想天外(기상천외)*: 착상이나 생각 따위가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하고 엉뚱함.
"* 氣塞昏絶(기색혼절)*: 기가 막혀 *정신*이 끊어진다는 뜻으로, 숨이 막혀 까무러친다는 의미.
#의미 #*정신*"
"* 旣成事實(기성사실)*: 이미 이루어진 *사실*.
#일 #기존 #실제 #의미 #*사실*"
"* 欺世盜名(기세도명)*: 세상 사람을 속이고 헛된 *명예*를 탐함.
#*명예* #이름 #도둑질 #사람들 #의미 #세상 #거짓 #도둑 #사람"
"* 欺世盜名(기세도명)*: 세상 사람을 속이고 헛된 명예를 탐함.
#명예 #이름 #도둑질 #사람들 #의미 #세상 #거짓 #도둑 #사람"
"* 其勢兩難(기세양난)*: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어 그 *형세*가 딱함.
#의미 #*형세* #형"
"* 其勢兩難(기세양난)*: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어 그 형세가 딱함.
#의미 #형세 #형"
"* 起承轉結(기승전결)*: (1)한시에서, 시구를 구성하는 *방법*. 기는 시를 시작하는 부분, 승은 그것을 이어받아 전개하는 부분,
전은 시의를 한 번 돌리어 전환하는 부분, 결은 전체 시의(詩意)를 끝맺는 부분이다. 절구에서는 제1구가 기, 제2구가 승, 제3구가
전, 제4구가 결이고, 율시에서는 제1ㆍ2 구가 기, 제3ㆍ4 구가 승, 제5ㆍ6 구가 전, 제7ㆍ8 구가 결이 된다. (2)논설문
따위의 글을 짜임새 있게 짓는 형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