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카테고리 없음

한자 속담 (8) ⭕️

by 구름과 하늘 7 2024. 6. 15.
반응형

*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 伯牙破琴(백아파금)*: *백*아절현(伯牙絶絃).
"* 伯牙破琴(백아파금)*: 백아절현(伯牙絶絃).
#백아"
"* 伯樂一顧(백낙일고)*: (1)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백낙일고’이다. (2)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 伯樂一顧(백낙일고)*: (1)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백낙일고’이다. (2)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일 #대접 #재능 #사람 #발휘 #눈 #현상 #능력 #인정 #비유 #*규범* #의미 #명마 #백 #자신 #가치 #백락 #훌륭 #세상"
"* 伯樂一顧(백낙일고)*: (1)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백낙일고’이다. (2)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일 #대접 #재능 #사람 #발휘 #눈 #현상 #능력 #인정 #비유 #규범 #의미 #명마 #백 #자신 #가치 #백락 #훌륭 #세상"
"*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거문고* #숭상 #음악 #말"
"*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거문고 #숭상 #음악 #말"
* 百樂之丈(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 白眼(백안)*: (1)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보는 눈. (2)‘흰자위’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눈 #냉대 #흰자위 #눈알"
* 白眼(백안)*: (1)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보는 눈. (2)‘흰자위’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말 #눈 #청 #무시 #청아 #때 #의미 #손님 #중국 #태도 #죽림칠현 #진나라 #백 #냉대 #봄 #유래 #눈초리 #완적 #사람"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말 #눈 #청 #무시 #청아 #때 #의미 #손님 #중국 #*태도* #죽림칠현 #진나라 #백 #냉대 #봄 #유래 #눈초리 #완적 #사람"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말 #눈 #청 #무시 #청아 #때 #의미 #손님 #중국 #태도 #죽림칠현 #진나라 #백 #냉대 #봄 #유래 #눈초리 #완적 #사람"
"* 白眼視(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白眼靑眼(백안청안)*: 하얀 눈과 푸른 눈이라는 뜻으로, 흘겨보는 눈초리와 정다운 눈초리를 이르는 *말*.
"* 白眼靑眼(백안청안)*: 하얀 눈과 푸른 눈이라는 뜻으로, 흘겨보는 눈초리와 정다운 눈초리를 이르는 말.
#눈 #눈초리"
"* 白額大虎(백액대호)*: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이마 #*눈썹* #범 #호랑이 #털"
"* 白額大虎(백액대호)*: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이마 #눈썹 #범 #*호랑이* #털"
"* 白額大虎(백액대호)*: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이마 #눈썹 #범 #호랑이 #털"
* 百藥無效(백약무효)*: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 百藥無效(백약무효)*: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 百藥之長(백약지장)*: ‘술’을 달리 이르는 말. 온갖 뛰어난 약 *가운데*서 가장 으뜸이라는 뜻으로 ≪한서(漢書)≫ 하편에서 나온
말이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 白魚入舟(백어입주)*: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항복 #강 #주나라 #*빛깔* #은나라 #왕 #배 #말 #무왕 #때 #상징 #나라 #비유 #중국 #백 #조짐 #유래 #주왕"
*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 百億世界(백억세계)*: 부처가 백억 화신이 되어 교화하는 *세계*. 온 세상을 이른다.
#*세계* #교화 #백 #화신 #부처 #세상"
"* 百億化身(백억화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가모니*의 화신.
#화 #백 #석가 #화신 #*석가모니*"
"* 百億化身(백억화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가모*니의 화신.
#화 #백 #석가 #화신 #석*가모*니"
* 百億化身(백억화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가모니의 화신.
* 白玉微瑕(백옥미하)*: 흰 옥의 작은 티라는 뜻으로, 작은 과실이나 조그마한 실수의 의미.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문자 #손님 #구름 #*자리* #절의"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문자 #손님 #*구름* #자리 #절의"
"* 白雲(백운)*: (1)절의 큰방 윗목 벽에 써 붙여서 손님의 자리를 알게 하는 문자.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2)색깔이 흰 구름."
"* 白雲孤飛(백운고비)*: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 白雲孤飛(백운고비)*: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 白雲孤飛(백운고비)*: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 白雲孤飛(백운고비)*: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자식 #타향 #고향 #생각 #사모 #어버이 #부모"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구슬 #달 #가운데 #물 #*구름* #산"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구슬 #달 #*가운데* #물 #구름 #산"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구슬* #달 #가운데 #물 #구름 #산"
*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 伯兪泣杖(백유읍장)*: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 슬퍼함.
"* 伯兪泣杖(백유읍장)*: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 슬퍼함.
#쇠약 #*어머니* #모습"
* 伯兪之孝(백유지효)*: *백*유의 효도.
* 伯兪之孝(백유지효)*: 백유의 *효*도.
"* 伯兪之孝(백유지효)*: 백유의 *효*도.
#*효*도 #백"
"* 伯兪之孝(백유지효)*: 백유의 효도.
#효도 #백"
"* 白衣同胞(백의동포)*: 흰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유래한다."
"* 白衣同胞(백의동포)*: 흰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유래*
한다."
"* 白衣勇士(백의용사)*: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
#몸 #*군사* #군인 #병 #전쟁 #사상 #전투"
* 白衣勇士(백의용사)*: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
* 白衣從軍(백의종군)*: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싸움터로 감.
* 白衣從軍(백의종군)*: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싸움*터로 감.
"* 白衣天使(백의천사)*: ‘간*호사*’를 미화하여 이르는 말.
#말"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伯夷之廉(백이지렴)*: 백이의 청렴함이라는 뜻으로, 주(周)나라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인 백이와 숙제(叔齊)가 충절을 위해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충신의 대명사격으로 백이를 *표현*함.
#충절 #청렴결백 #*표현* #백이 #아들 #나라 #결백 #백 #고사 #충신 #청렴"
"* 白日夢(백일몽)*: 대낮에 *꿈*을 꾼다는 뜻으로, 실현될 수 없는 헛된 공상을 이르는 말.
#대낮 #엉뚱 #공상 #*꿈* #실현 #비유"
"* 白日飛昇(백일비승)*: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일 #대낮 #신선 #선 #육신 #*하늘* #오름 #선인"
"* 白日飛昇(백일비승)*: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일* #대낮 #신선 #선 #육신 #하늘 #오름 #선인"
"* 白日飛昇(백일비승)*: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일 #대낮 #신선 #선 #육신 #하늘 #오름 #선인"
"* 百日天下(백일천하)*: 1815년 3월에 엘바섬을 탈출한 나폴레옹 일세가 파리에 들어가 제정(帝政)을 부활한 후부터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퇴위할 때까지 약 100일간의 *지배*.
#일 #*지배* #기간 #제정 #때 #영화 #천하 #전투 #정권 #파리 #동안 #패배"
"* 百日天下(백일천하)*: 1815년 3월에 엘바섬을 탈출한 나폴레옹 일세가 파리에 들어가 제정(帝政)을 부활한 후부터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퇴위할 때까지 약 100일간의 지배.
#일 #지배 #기간 #제정 #때 #영화 #*천하* #전투 #정권 #파리 #동안 #패배"
* 白日靑天(백일청천)*: 해가 비치고 맑게 갠 푸른 *하늘*.
* 百子千孫(백자천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자손.
"* 百戰老將(백전로장)*: (1)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2)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3)‘백전노장’의 북한어. (4)‘백전노장’의 북한어."
"* 百戰老將(백전로장)*: (1)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 (2)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3)‘백전노장’의 북한어. (4)‘백전노장’의 북한어.
#일 #풍파 #사람 #노련 #*장수* #사용 #의미 #경험 #백 #분야 #전투 #세상일 #싸움 #능란 #세상"
"* 百戰百勝(백전백승)*: 싸울 때마다 다 이김.
#상황 #때 #말 #*백*"
* 百折不屈(백절불굴)*: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 百折不屈(백절불굴)*: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의미 #난관 #어려움 #*백*"
* 百折不撓(백절불요)*: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눈 #*꾀*꼬리 #나비 #금"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눈 #꾀*꼬리* #나비 #금"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눈 #꾀꼬리 #나비 #*금*"
* 白蹀紛紛雪黃鶯片片金(백접분분설황앵편편금)*: 흰 나비는 날리고 날리는 눈과 같고,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과 같음.
"* 伯祖(백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할*아버지*"
"* 伯祖(백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할아버지"
"* 伯組父(백조부)*: 큰할*아버지*.
#할*아버지*"
"* 伯組父(백조부)*: 큰할아버지.
#할아버지"
"* 百足之蟲(백족지충)*: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래* #벗 #겨레 #친척 #벌레 #따위 #사람"
"* 百足之蟲(백족지충)*: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래 #벗 #겨레 #친척 #*벌레* #따위 #사람"
"* 百足之蟲(백족지충)*: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래 #벗 #겨레 #*친척* #벌레 #따위 #사람"
* 伯從祖(백종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 伯從祖(백종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 柏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栢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 柏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 柏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지킴 #배 #*남편* #끝 #백 #잣나무 #아내 #지조"
"* 柏舟之操(백주지조)*: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지킴 #배 #남편 #끝 #백 #잣나무 #*아내* #지조"
* 白酒紅人面黃金黑吏心(백주홍인면황금흑리심)*: 흰 술은 사람의 *얼굴*을 붉게 하고, 황금(黃金)은 아전의 마음을 검게 함.
"* 伯仲(백중)*: (1)맏이와 둘째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재주*나 실력, 기술 따위가 서로 비슷하여 낫고 못함이 없음. 또는
그런 형세."
"* 伯仲(백중)*: (1)맏이와 둘째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재주나 실력, 기술 따위가 서로 비슷하여 낫고 못함이 없음. 또는 그런
*형세*."
"* 伯仲勢(백중세)*: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장남 #차이 #형제 #우열 #*형세*"
* 伯仲叔季(백중숙계)*: 백은 맏이, 중은 둘째, 숙은 셋째, 계는 막내라는 뜻으로, 사*형제*의 차례를 이르는 말.
* 伯仲之間(백중지간)*: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 伯仲之間(백중지간)*: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우열 #비슷 #*형세* #사이"
"* 伯仲之勢(백중지세)*: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위나라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장남 #문제 #말 #맏형 #차이 #둘째 #형제 #위나라 #우열 #*형세* #사이"
"* 白紙狀態(백지상태)*: (1)종이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상태*. (2)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 (3)어떠한
일을 하기 이전의 *상태*. (4)잡념이나 선입관 따위가 없는 *상태*."
"* 白紙狀態(백지상태)*: (1)종이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상태*. (2)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 (3)어떠한
일을 하기 이전의 *상태*. (4)잡념이나 선입관 따위가 없는 *상태*.
#일 #이전 #잡념 #종이 #*상태* #따위 #대상"
"* 百尺竿頭(백척간두)*: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극도 #위태 #장대 #준말 #*지경* #백 #로움"
"* 百尺竿頭進一步(백척간두진일보)*: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아 또 한*걸음*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 이미 할 수 있는 일을
다한 것인 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努力)하여 위로 향한다는 말.
#일 #말 #노력 #장대 #*걸음* #백"
"* 百尺竿頭進一步(백척간두진일보)*: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아 또 한걸음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 이미 할 수 있는 일을
다한 것인 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努力)하여 위로 향한다는 말."
"* 百尺丈高(백척장고)*: *백* 자나 되는 높은 높이.
#높이 #*백*"
"* 百千萬事(백천만사)*: 온갖 일.
#일"
"*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책 #따위 #이름 #강 #냇물 #완성 #학문 #때 #물 #비유 #자세 #중국 #송나라 #시내 #*시문* #사람"
"*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 百態具備(백태구비)*: 온갖 아름다운 자태(姿態)가 다 갖추어져 있음.
"* 百態千光(백태천광)*: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자태 #*아름다움*"
* 百態千光(백태천광)*: 온갖 아름다움을 갖춘 자태(姿態).
"* 百八(백팔)*: (1)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2)1년의 12개월, 24기(氣), 72후(候)를 합하여 이르는 말.
#마음속 #*번뇌* #인간 #1년 #미래 #이것 #108가지 #과거 #사람"
"*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마음속 #*번뇌* #이름 #말 #일체 #인간 #개인 #불교 #미래 #이것 #나라 #의미 #우리 #108가지 #중생 #우리나라 #과거 #사람"
"*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 百害無益(백해무익)*: 해롭기만 하고 *하나*도 이로운 바가 없음.
"*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감응 #지극 #해로움 #정성 #현상 #임금 #조짐 #사용 #의미 #하늘 #무지개 #*태양* #해"
"*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감응 #*지극* #해로움 #정성 #현상 #임금 #조짐 #사용 #의미 #하늘 #무지개 #태양 #해"
"*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 白虹貫日(백홍관일)*: (1)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 (2)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
"* 百花爛漫(백화난만)*: 온갖 *꽃*이 활짝 펴 아름답고 흐드러짐.
#화 #*꽃* #의미 #만발 #화려"
* 百花爛漫(백화난만)*: 온갖 꽃이 활짝 펴 아름답고 흐드러짐.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百花齊放(백화제방)*: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白華之怨(백화지원)*: *사랑*을 잃은 여성(女性)의 슬픔.
"* 百花草葉(백화초엽)*: 온갖 *꽃*과 풀잎.
#풀잎 #*꽃*"
"* 百花草葉(백화초엽)*: 온갖 꽃과 *풀*잎.
#*풀*잎 #꽃"
"* 百花草葉(백화초엽)*: 온갖 꽃과 풀잎.
#풀잎 #꽃"
* 飜身上馬(번신상마)*: *몸*을 날리듯 빠르게 말에 올라탐.
"* 翻雲覆雨(번운복우)*: 손*바닥*을 위로 향(向)하면 구름이 일고, 아래로 향(向)하면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손*바닥*을 뒤집듯이
인정(人情)이 변(變)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일 #아래 #손*바닥* #비유 #인정 #구름"
"* 翻雲覆雨(번운복우)*: 손바닥을 위로 향(向)하면 *구름*이 일고, 아래로 향(向)하면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손바닥을 뒤집듯이
인정(人情)이 변(變)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翻雲覆雨(번운복우)*: 손바닥을 위로 향(向)하면 구름이 일고, *아래*로 향(向)하면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손바닥을 뒤집듯이
인정(人情)이 변(變)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繁華之期(번화지기)*: 번화(繁華)스러운 *시기*(時期).
#번화"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눈앞 #진리 #비유 #중매 #혼인 #자루 #*도끼* #사람"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눈앞 #진리 #비유 #중매 #혼인 #*자루* #도끼 #사람"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눈앞* #진리 #비유 #중매 #혼인 #자루 #도끼 #사람"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 伐性傷恩(벌성상은)*: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을 그르치고, 은애(恩愛)의 정을 손상(損傷)함.
#*인간* #본성 #손상"
"* 伐性之斧(벌성지부)*: 인성(人性)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
#성명 #일 #마음 #사람 #요행 #여색 #천부 #양심 #*도끼*"
"* 伐齊爲名(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伐齊爲名(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름 #시대 #때 #악 #실상 #일 #*장수* #정벌 #전국 #입 #유래 #왕 #소문 #정복 #사실 #제나라 #악의 #나라 #의미 #중국 #의심 #겉 #공격"
"* 犯禁八條(범금팔조)*: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법 #도둑질 #여덟 #시행 #때 #금 #고*조선* #곡물 #도둑 #따위"
"* 犯禁八條(범금팔조)*: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犯禁八條(범금팔조)*: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법 #도둑질 #여덟 #시행 #때 #금 #고조선 #곡물 #도둑 #따위"
* 凡百事物(범백사물)*: 갖가지의 모든 *사물*.
"* 凡百事物(범백사물)*: 갖가지의 모든 *사물*.
#*사물* #갖가지"
* 凡百事物(범백사물)*: 갖가지의 모든 사*물*.
"* 凡百事物(범백사물)*: 갖가지의 모든 사물.
#사물 #갖가지"
"* 凡聖不二(범성불이)*: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 凡聖不二(범성불이)*: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일체 #*범*인 #말 #성 #성인 #용어 #평등 #불교 #본성 #구별 #사람"
"* 凡聖不二(범성불이)*: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 凡聖不二(범성불이)*: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일체 #범인 #말 #성 #성인 #용어 #평등 #*불교* #본성 #구별 #사람"
* 凡聖一如(범성일여)*: *범*부와 성자는 구별이 있으나, 그 본성은 동일하다는 말.
"* 凡聖一如(범성일여)*: *범*부와 성자는 구별이 있으나, 그 본성은 동일하다는 말.
#일체 #*범*인 #말 #성 #성인 #평등 #본성 #구별 #동일"
* 凡樹常草(범수상초)*: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 凡樹常草(범수상초)*: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나무 #*풀* #보통"
"* 凡樹常草(범수상초)*: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나무 #풀 #보통"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일 #이익 #*사랑* #두루 #표현 #의미 #사상 #묵자 #사람"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일 #*이익* #사랑 #두루 #표현 #의미 #사상 #묵자 #사람"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일 #이익 #사랑 #두루 #표현 #의미 #사상 #묵자 #사람"
"* 氾愛兼利(범애겸리)*: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일 #이익 #사랑 #두루 #*표현* #의미 #사상 #묵자 #사람"
* 凡胎肉身(범태육신)*: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평범한 사람의 *몸*. 환골탈태나 화신(化身)이 아닌 *몸*을 이른다.
* 凡胎肉身(범태육신)*: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평*범*한 사람의 몸. 환골탈태나 화신(化身)이 아닌 몸을 이른다.
"* 凡胎肉身(범태육신)*: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평*범*한 사람의 몸. 환골탈태나 화신(化身)이 아닌 몸을 이른다.
#몸 #*범*인 #환골탈태 #화 #화신 #사람"
"* 法家拂士(법가불사)*: *법*도(法度)로써 임금을 바로잡는 세신(世臣)과 이해득실(利害得失)로써 임금을 보필(輔弼)하는 현사(賢士).
#*법* #임금 #*법*도 #보필 #현사 #이해"
"* 法家拂士(법가불사)*: 법도(法度)로써 임금을 바로잡는 세신(世臣)과 *이해*득실(利害得失)로써 임금을 보필(輔弼)하는 현사(賢士).
#법 #임금 #법도 #보필 #현사 #*이해*"
"* 法界悋氣(법계인기)*: 자기(自己)에게 직접(直接) *관계*(關係)없는 일로 남을 질투(嫉妬)하는 일. 특(特)히 남의 사랑을
시샘하여 질투(嫉妬)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
"* 法界悋氣(법계인기)*: 자기(自己)에게 직접(直接) 관계(關係)없는 일로 남을 질투(嫉妬)하는 일. 특(特)히 남의 *사랑*을
시샘하여 질투(嫉妬)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
"* 法界悋氣(법계인기)*: 자기(自己)에게 직접(直接) 관계(關係)없는 일로 남을 질투(嫉妬)하는 일. 특(特)히 남의 사랑을 시샘하여
질투(嫉妬)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
#일 #사랑 #시샘 #두고 #관계 #질투"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그것 #*법* #옛것 #의미 #근본 #토대 #과거 #변화"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그것 #법 #옛것 #의미 #근본 #토대 #과거 #변화"
"* 法古創新(법고창신)*: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그것 #법 #옛것 #*의미* #근본 #토대 #과거 #변화"
"* 法空(법공)*: 모든 *법*인 만유(萬有)는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가짜 존재로서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존재 #말 #*법* #가짜 #실체 #인연"
* 法久弊生(법구폐생)*: 좋은 *법*도 오랜 세월이 지나면 폐단이 생김.
* 琺瑯質瘤(법랑질류)*: *법*랑진주(琺瑯眞珠).
"* 琺瑯質瘤(법랑질류)*: *법*랑진주(琺瑯眞珠).
#진주"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관료 #소유 #귀족 #명칭 #프랑스 #관계 #관직 #입 #신분 #사서 #제도 #절대 #관복 #반대 #구별 #유래 #개혁"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 法服貴族(법복귀족)*: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관료 #소유 #귀족 #명칭 #프랑스 #관계 #관직 #입 #*신분* #사서 #제도 #절대 #관복 #반대 #구별 #유래 #개혁"
"* 法三章(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내용 #*법* #때 #진나라 #민심 #조목 #*법*률 #절도 #유방 #유래 #사람 #고조 #죄 #제정 #함락 #물건 #가혹 #상해 #적용 #말 #도읍 #나라 #중국 #한나라 #
고사"
"* 法三章(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 法三章(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 法約三章(법약삼장)*: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 法約三章(법약삼장)*: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일 #조문 #*법* #나라 #가혹 #고조"
"* 法語之言(법어지언)*: 올바른 말로 사람들을 가르치는 일.
#일 #말 #사람들 #사람"
"* 法遠拳近(법원권근)*: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뜻으로, 일이 급박할 때는 이치보다 완력에 호소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무력 #일 #건강 #말 #*법* #불*법* #때 #상황 #이치 #비유 #상식 #순리 #완력 #호소 #급박 #해결"
"* 法遠拳近(법원권근)*: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뜻으로, 일이 급박할 때는 *이치*보다 완력에 호소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碧溪山間(벽계산간)*: 푸른 시내가 흐르는 *산*골.
* 霹靂閃電(벽력섬전)*: 벼락과 천둥, 번개의 뜻으로, 매우 빠른 *상황*을 비유하는 말.
"* 碧眼紫髥(벽안자염)*: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수염 #눈 #표현 #지칭 #사용 #파란 #모습 #사람"
"* 碧眼紫髥(벽안자염)*: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수염 #눈 #표현 #지칭 #사용 #파란 #모습 #사람"
"* 碧巖幽石(벽암유석)*: 푸른 이끼가 낀 *바위*와 그윽한 돌.
#*바위* #그윽"
"* 壁危花笑立春好鳥啼來(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봄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위태 #새 #봄 #*꽃*"
* 壁危花笑立春好鳥啼來(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봄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 壁有耳(벽유이)*: 벽에 귀가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의 속담.
#새 #*비밀* #의미 #경계 #속담 #귀"
"* 碧昌牛(벽창우)*: (1)평안북도의 벽동(碧潼)ㆍ창성 *지방*에서 나는 크고 억센 소. (2)‘벽창호’의 원말.
#사리 #말 #고집 #창 #미련 #사용 #비유 #*지방* #평안북도 #소란 #분별 #사람"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집 #누각 #집이 #*소나무* #학"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變法自疆(변법자강)*: *법*령(法令)을 개혁(改革)하여 국력(國力)을 튼튼하게 함.
"* 變法自疆(변법자강)*: *법*령(法令)을 개혁(改革)하여 국력(國力)을 튼튼하게 함.
#개혁 #튼튼 #*법*령"
"* 變法自疆(변법자강)*: 법령(法令)을 개혁(改革)하여 국력(國力)을 *튼튼*하게 함.
#개혁 #*튼튼* #법령"
* 變法自疆(변법자강)*: 법령(法令)을 개혁(改革)하여 국력(國力)을 튼튼하게 함.
"* 變易生死(변역생사)*: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몸 #성불 #보살 #삼계 #윤회 #*생사* #경계 #밖 #현세 #상태"
"* 變易生死(변역생사)*: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몸 #성불 #보살 #삼계 #윤회 #생사 #경계 #밖 #현세 #*상태*"
"* 弁轉疑星(변전의성)*: 많은 사람들의 관에서 번쩍이는 *구슬*이 별안간 의심(疑心)할 정도(程度)임.
#*구슬* #정도 #의심 #사람"
* 弁轉疑星(변전의성)*: 많은 사람들의 관에서 번쩍이는 구슬이 *별*안간 의심(疑心)할 정도(程度)임.
* 弁轉疑星(변전의성)*: 많은 사람들의 관에서 번쩍이는 구슬이 별안간 의심(疑心)할 *정도*(程度)임.
"* 邊照光明(변조광명)*: *세계*(世界)에 두루 비치어 이르지 않은 데가 없다는 뜻으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광명'을 일컫는 말.
#광명 #*세계* #아미타불 #말"
"* 變則通(변즉통)*: 변하면 통하다는 뜻으로, 지금가지의 주의(主義)나 *태도*를 바꾸면 막혔던 길이 새로 열린다는 의미.
#길 #의미 #지금 #*태도* #주의"
* 變則通(변즉통)*: 변하면 통하다는 뜻으로, 지금가지의 주의(主義)나 태도를 바꾸면 막혔던 길이 *새*로 열린다는 의미.
* 變態百出(변태백출)*: 가지 각색(各色)으로 *모양*(模樣)을 바꿈.
* 變態百出(변태백출)*: 가지 각색(各色)으로 모양(模樣)을 바*꿈*.
"* 變通(변통)*: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일 #돈 #경우 #융통성 #물건 #*형편* #처리 #따위"
"* 變通(변통)*: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일 #돈 #*경우* #융통성 #물건 #형편 #처리 #따위"
* 變通(변통)*: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 變通(변통)*: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일 #돈 #경우 #융통성 #물건 #형편 #처리 #따위"
"* 變通無路(변통무로)*: *변통*(變通)할 만한 길이 없음.
#길 #*변통*"
"* 變風移俗(변풍이속)*: *풍속*을 변화시켜 옮긴다는 뜻으로, *풍속*(風俗)을 바꾼다는 의미.
#의미 #*풍속* #변화"
"* 變風移俗(변풍이속)*: 풍속을 *변화*시켜 옮긴다는 뜻으로, 풍속(風俗)을 바꾼다는 의미.
#의미 #풍속 #*변화*"
* 變化難測(변화난측)*: *변화*가 심하고 많아 이루 다 헤아리기 어려움.
"* 變化難測(변화난측)*: *변화*가 심하고 많아 이루 다 헤아리기 어려움.
#어려움 #*변화*"
* 變化難測(변화난측)*: 변*화가* 심하고 많아 이루 다 헤아리기 어려움.
"* 變化莫測(변화막측)*: 끊임없이 달라져서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음.
#궁 #*변화*"
"* 變化無窮(변화무궁)*: *변화*가 끝이 없음.
#한정 #끝 #*변화*"
"* 變化無窮(변화무궁)*: 변*화가* 끝이 없음.
#한정 #끝 #변화"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 #*변화*"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 #변화"
"* 變化無常(변화무상)*: 늘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음.
#일정 #변화"
"* 變化無雙(변화무쌍)*: 변하는 *정도*가 비할 데 없이 심함.
#의미 #*정도* #변화 #세상"
"* 變化無雙(변화무쌍)*: 변하는 정도가 비할 데 없이 심함.
#의미 #정도 #*변화* #세상"
* 變化不側(변화불측)*: 끊임없이 달라져서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음.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밖 #경치 #세상"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乾坤(별건곤)*: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밖 #경치 #세상"
* 別無可觀(별무가관)*: *별*로 볼 만한 것이 없음.
* 別無神通(별무신통)*: *별*로 신통할 것이 없음.
"* 別無神通(별무신통)*: *별*로 신통할 것이 없음.
#신통"
* 別無長物(별무장물)*: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 別無長物(별무장물)*: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 別無長物(별무장물)*: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이외 #필요 #검소 #생활"
"* 別世(별세)*: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죽음 #*윗사람* #세상 #사람"
"* 別世(별세)*: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죽음 #윗사람 #세상 #사람"
"* 別世界(별세계)*: (1)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2)*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특별* #경치 #우리 #밖 #세상"
* 別世界(별세계)*: (1)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2)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世界(별세계)*: (1)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2)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특*별* #경치 #우리 #밖 #세상"
"* 別世界(별세계)*: (1)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밖의 다른 세상. (2)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특별 #경치 #우리 #밖 #세상"
"* 別有乾坤(별유건곤)*: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세상. 또는 딴 세상.
#세상"
"* 別有天地(별유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세계 #말 #속계 #*특별* #경치"
* 別有天地(별유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有天地(별유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세계 #말 #속계 #특*별* #경치"
"* 別有風景(별유풍경)*: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풍경.
#풍경 #보통 #특*별*"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의미 #구*별* #상황 #사람"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의미 #구별 #*상황* #사람"
* 別而聽之(별이청지)*: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 別天界(별천계)*: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밖 #세계 #경치 #세상"
* 別天界(별천계)*: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天地(별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속세 #경치 #*특별* #세상"
* 別天地(별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天地(별천지)*: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속세 #경치 #특*별* #세상"
"* 別風淮雨(별풍회우)*: 문자를 잘못 옮긴 것을 뜻함. 문자의 와자(訛字).
#문자"
"* 兵家常事(병가상사)*: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 兵家常事(병가상사)*: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 兵家常事(병가상사)*: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 兵彊則滅(병강즉멸)*: *군사*가 강하면 멸한다는 뜻으로, *군사*가 강하면 결국 전쟁하기를 즐기고, 결국 마침내 국력이 피폐하여
나라가 망한다는 의미.
#*군사* #결국 #전쟁 #나라 #의미"
"* 兵彊則滅(병강즉멸)*: 군사가 강하면 멸한다는 뜻으로, 군사가 강하면 결국 *전쟁*하기를 즐기고, 결국 마침내 국력이 피폐하여
나라가 망한다는 의미.
#군사 #결국 #*전쟁* #나라 #의미"
"* 竝皆佳妙(병개가묘)*: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임.
#묘 #모두"
"* 竝皆佳妙(병개가묘)*: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임.
#묘 #모두"
"* 兵戈(병과)*: (1)*싸움*에 쓰는 창이라는 뜻으로, ‘무기’를 이르는 말. (2)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兵戈(병과)*: (1)싸움에 쓰는 창이라는 뜻으로, ‘무기’를 이르는 말. (2)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兵貴神速(병귀신속)*: *군사*를 지휘함에는 귀신같이 빠름을 귀히 여긴다는 뜻으로, *군사* 행동은 언제나 신속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지휘 #*군사* #말 #신속 #행동 #귀신"
"* 兵貴神速(병귀신속)*: 군사를 지휘함에는 귀신같이 빠름을 귀히 여긴다는 뜻으로, 군사 *행동*은 언제나 신속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지휘 #군사 #말 #신속 #*행동* #귀신"
"* 兵不厭詐(병불염사)*: *군사*(軍事)에서는 적을 속이는 간사한 꾀도 꺼리지 아니함.
#꾀 #*군사* #간사 #전쟁"
"* 兵不厭詐(병불염사)*: 군사(軍事)에서는 적을 속이는 간사한 *꾀*도 꺼리지 아니함.
#*꾀* #군사 #간사 #전쟁"
* 兵不厭詐(병불염사)*: 군사(軍事)에서는 적을 속이는 간사한 꾀도 꺼리지 아니함.
"* 兵不血刃(병불혈인)*: 병사가 칼에 피를 묻히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피를 흘릴 만한 *싸움*도 하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 丙舍傍啓(병사방계)*: 병사(丙舍) 곁에 통로(通路)를 열어 궁전(宮殿) 내(內)를 출입(出入)하는 사람들의 편리(便利)를
도모(圖謀)하였음.
#곁 #병사 #편리 #도모 #궁전 #통 #출입 #사람"
* 病入膏肓(병입고황)*: 병이 고치기 어렵게 몸속 *깊이* 듦.
"* 病入骨髓(병입골수)*: 병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골수 #위중 #병 #정도 #뿌리"
"* 病入骨髓(병입골수)*: 병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골수 #위중 #병 #*정도* #뿌리"
"* 病入骨髓(병입골수)*: 병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골수 #위중 #병 #정도 #*뿌리*"
"* 兵者凶器(병자흉기)*: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기구 #일 #흉악 #*전쟁* #의미 #학 #사람"
"* 病從口入(병종구입)*: 원래 병(病)이란 음식을 조심하지 않는 데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지나친 구복(口腹)의 *욕심*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원래 #*욕심* #병 #음식 #조심"
* 丙坐壬向(병좌임향)*: 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가 병방(丙方)을 등지고 임방(壬方)을 향한 좌향(坐向).
"* 竝州故鄕(병주고향)*: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가도(賈島)가 병주(竝州)에 오래
살다가 떠나면서 한 말에서 유래한다.
#*당나라* #말 #타향 #고향 #병 #제2 #비유 #중국 #유래"
"* 兵塵(병진)*: *싸움*터에서 일어나는 티끌이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하여 어수선하고 어지러운 분위기 또는 그런 전쟁 통을 이르는
말."
"* 兵塵(병진)*: 싸움터에서 일어나는 티끌이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하여 어수선하고 어지러운 분위기 또는 그런 *전쟁* 통을
이르는 말."
"* 兵盡矢窮(병진시궁)*: *싸움*터에서 병사들이 거의 다 희생되고 화살이 다 떨어짐.
#밤 #병사들 #병사 #화살 #희생 #*싸움*터 #촛불 #병 #경치 #낮 #밤중"
"* 兵車之會(병거지회)*: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무력 #일 #병사 #제후 #모임 #때 #*전쟁* #의미 #수레 #병거"
"* 兵車之會(병거지회)*: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무력 #일 #병사 #제후 #모임 #때 #전쟁 #의미 #*수레* #병거"
"* 兵車之會(병거지회)*: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무력 #일 #병사 #*제후* #모임 #때 #전쟁 #의미 #수레 #병거"
* 秉燭夜遊(병촉야유)*: 촛불을 잡고 *밤*중에 노닌다는 뜻으로, 횃불을 밝히고 *밤*이 깊도록 유락한다는 의미.
"* 秉燭夜行(병촉야행)*: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時期)에 늦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밤*길 #촛불 #비유"
"* 秉燭夜行(병촉야행)*: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時期)에 늦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밤길 #촛불 #비유"
* 秉燭夜行(병촉야행)*: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時期)에 늦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바람 #*상하* #살이 #고생 #더위 #비유 #세상"
"* 病風傷暑(병풍상서)*: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 #바람 #상하 #살이 #*고생* #더위 #비유 #세상"
* 病風喪性(병풍상성)*: 병에 시*달*려 본성을 잃어버림.
* 竝行不悖(병행불패)*: 두 *가지* 일을 한꺼번에 치르더라도 사리에 어긋나지 아니함.
* 補過拾遺(보과습유)*: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아 고치게 함.
* 輔國安民(보국안민)*: 나랏일을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 步武堂堂(보무당당)*: *걸음*걸이가 씩씩하고 위엄이 있음.
#씩씩 #위엄 #당당 #군인 #활발 #*걸음*걸이"
"* 步武堂堂(보무당당)*: 걸음걸이가 씩씩하고 *위엄*이 있음.
#씩씩 #*위엄* #당당 #군인 #활발 #걸음걸이"
* 報復之理(보복지리)*: 대갚음이 되는 *자연*의 이치.
* 報復之理(보복지리)*: 대갚음이 되는 자연의 *이치*.
"* 報本反始(보본반시)*: *은혜*를 입으면 보답할 것을 생각하여 그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지와 선조의 은공에 보답함을
이르는 말."
"* 報本反始(보본반시)*: 은혜를 입으면 보답할 것을 생각하여 그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지와 선조의 은공에 보답함을
이르는 말."
"* 報本追遠(보본추원)*: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그 음덕을 추모함.
#보답 #추모 #*은혜* #조상 #음덕"
"* 報生以死(보생이사)*: 죽음으로써 삶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삶의 은인인 군사부(君師父)에 대해서는 죽음으로써 보답한다는
의미."
"* 報生以死(보생이사)*: 죽음으로써 삶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삶의 은인인 *군사*부(君師父)에 대해서는 죽음으로써 보답한다는
의미.
#보답 #죽음 #君師父 #의미 #자신 #삶"
"* 報生以死(보생이사)*: 죽음으로써 삶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삶의 은인인 군사부(君師父)에 대해서는 죽음으로써 보답한다는 의미.
#보답 #죽음 #君師父 #의미 #자신 #삶"
* 保世之主(보세지주)*: *세상*을 잘 다스려 보전하는 임금.
* 保世之主(보세지주)*: 세상을 잘 다스려 보전하는 *임금*.
* 保身之策(보신지책)*: *자신*의 몸을 온전히 지키기 위한 꾀.
* 保身之策(보신지책)*: 자신의 몸을 온전히 지키기 위한 *꾀*.
* 保身之策(보신지책)*: 자신의 몸을 온전히 지키기 위한 꾀.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백성 #봉양 #마음 #*탄식* #전쟁터 #부역 #날개 #어버이 #부모 #유래"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백성 #봉양 #마음 #탄식 #*전쟁*터 #부역 #날개 #어버이 #부모 #유래"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백성 #봉양 #마음 #탄식 #전쟁터 #부역 #날개 #어버이 #부모 #*유래*"
"* 報怨以德(보원이덕)*: *원한*을 덕으로 갚음.
#원망 #말 #복수 #*원한* #은덕 #의미 #갚음 #자신"
"* 報以國士(보이국사)*: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 報以國士(보이국사)*: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감동 #국사 #지기 #대우 #*은혜* #대접"
"* 報以國士(보이국사)*: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감동* #국사 #지기 #대우 #은혜 #대접"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輔車(보거)*: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방 #수레바퀴 #나무 #바퀴 #*관계* #수레 #정도"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방 #*바퀴* #나무 #관계 #의미 #수레 #의지"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 輔車相依(보거상의)*: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 普天率土(보천솔토)*: 온 하늘의 *아래*와 온 땅의 끝이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普天率土(보천솔토)*: 온 하늘의 아래와 온 *땅*의 끝이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普天之下(보천지하)*: 온 *하늘*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이나 넓은 세상을 이르는 말.
"* 普天之下(보천지하)*: 온 하늘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이나 넓은 세상을 이르는 말.
#말 #*아래* #의미 #천하 #하늘 #전체 #세상"
* 普天之下(보천지하)*: 온 하늘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이나 넓은 *세상*을 이르는 말.
* 輔弼之臣(보필지신)*: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 輔弼之臣(보필지신)*: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임금 #보필 #*신하*"
"* 輔弼之臣(보필지신)*: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
#임금 #보필 #신하"
* 輔弼之任(보필지임)*: *임금*을 보좌하는 책임. 또는 그런 직임.
* 輔弼之任(보필지임)*: 임금을 보좌하는 *책*임. 또는 그런 직임.
* 輔弼之才(보필지재)*: 임금을 보좌할 만한 *재능*. 또는 그런 사람.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보배 #*학문* #사용 #의미 #사람"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보배* #학문 #사용 #의미 #사람"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보배 #학문 #사용 #의미 #사람"
"* 寶學之人(보학지인)*: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寶貨難售(보화난수)*: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등용 #*값* #말 #어려움 #비유 #기량 #보물 #훌륭 #귀 #사람"
"* 復啓(복계)*: 답장으로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말 #답장 #공경 #회답 #*첫머리*"
"* 復啓(복계)*: 답장으로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말 #답장 #공경 #회답 #첫*머리*"
"* 復啓(복계)*: 답장으로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말 #답장 #공경 #회답 #첫머리"
* 復古思想(복고사상)*: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 復古思想(복고사상)*: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경향 #사상 #옛날 #생각"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여자 #권력 #배 #*아이* #돈 #교만 #비유 #거만 #부자 #의미 #모양 #모습 #높이 #산 #사람"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여자* #권력 #배 #아이 #돈 #교만 #비유 #거만 #부자 #의미 #모양 #모습 #높이 #산 #사람"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 腹高如山(복고여산)*: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 福過災生(복과재생)*: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 福過災生(복과재생)*: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 福過災生(복과재생)*: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복 #말 #*재앙* #의미 #즐거움 #괴로움 #인생"
"*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행복* #원인 #재앙"
*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福過禍生(복과화생)*: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행복 #원인 #*재앙*"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福德圓滿(복덕원만)*: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복 #이익 #*가득*함 #행복 #정도"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伏龍鳳雛(복룡봉추)*: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이름 #말 #방 #새끼 #왕 #공명 #제갈량 #봉황 #우수 #비유 #인물 #젊은이 #용 #인재 #장래 #세상"
"* 腹裏地面(복리지면)*: 나라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역*.
#해당 #나라 #*지역*"
"* 伏魔殿(복마전)*: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새 #악의 #무리들 #집 #활동 #음모 #의미 #마귀 #악 #무리 #귀"
"* 伏魔殿(복마전)*: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伏魔殿(복마전)*: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復命復唱(복명복창)*: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내용 #일 #다짐 #말 #*명령* #되풀이 #시행 #확인 #상관 #임무 #전달 #지시 #정확"
"* 復命復唱(복명복창)*: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내용 #일 #다짐 #말 #명령 #되*풀*이 #시행 #확인 #상관 #임무 #전달 #지시 #정확"
"* 復命復唱(복명복창)*: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내용 #일 #다짐 #말 #명령 #되풀이 #시행 #확인 #상관 #임무 #전달 #지시 #정확"
"* 復命復唱(복명복창)*: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
*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 伏慕區區(복모구구)*: 삼가 사모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말.
#그지 #사모 #*마음* #말"
"* 伏慕區區(복모구구)*: 삼가 사모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말.
#그지 #사모 #마음 #말"
"* 腹背受敵(복배수적)*: 앞뒤로 적을 만남.
#만남 #앞 #앞뒤"
"* 覆杯之水(복배지수)*: 엎지른 물이라는 뜻으로, 다시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
#일 #*상황* #물 #비유 #물의 #회복 #수습 #곤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