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카테고리 없음

한자 속담 (10) ⭕️

by 구름과 하늘 7 2024. 6. 15.
반응형

"* 覆杯之水(복배지수)*: 엎지른 물이라는 뜻으로, 다시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
#일 #*상황* #물 #비유 #물의 #회복 #수습 #곤란"
"* 服不再降(복불재강)*: 양자 나간 사람이나 출가한 *여자*가 본생가나 친정의 부재모상(父在母喪)에 상복(喪服)을 한 등급 떨어뜨리지
않는 일."
"* 福不重至(복부중지)*: *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
#의미 #*복*"
* 福不重至(복부중지)*: 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
"*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濮上之音(복상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福生於無爲(복생어무위)*: *행복*(幸福)은 무위(無爲)한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말.
#*행복* #마음 #말"
* 福生於無爲(복생어무위)*: 행*복*(幸福)은 무위(無爲)한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말.
"* 福生於無爲(복생어무위)*: 행복(幸福)은 *무위*(無爲)한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말.
#행복 #마음 #말"
* 福生於微(복생어미)*: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 福生於微(복생어미)*: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의미 #일 #*행복* #복"
* 福善禍淫(복선화음)*: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 福善禍淫(복선화음)*: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악 #복 #*재앙* #사람"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覆巢破卵(복소파란)*: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자식 #재난 #화 #사용 #의미 #근본 #부모"
"* 覆水難收(복수난수)*: 엎질러진 물은 다시 퍼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 *기회*를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음을 비유함.
#*기회* #물 #비유"
"* 覆水不收(복수불수)*: (1)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는 뜻 (2)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름(3)
다시 어떻게 수습(收拾)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일 #이름 #물 #*그릇*됨 #*그릇* #수습"
"* 覆水不收(복수불수)*: (1)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는 뜻 (2)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름(3)
다시 어떻게 수습(收拾)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 伏審(복심)*: 편지글에서, 삼가 *공손*히 살핀다는 뜻으로 쓰는 말.
* 伏審(복심)*: 편지글에서, 삼가 공손히 살핀다는 뜻으로 쓰는 말.
* 腹心內爛(복심내란)*: 뱃속이 짓무른다는 뜻으로, 내부(內部)에서의 붕괴(崩壞)를 이르는 말.
* 腹心之臣(복심지신)*: 마음과 뜻을 같이하는 가까운 *신하*.
"* 腹心之臣(복심지신)*: 마음과 뜻을 같이하는 가까운 신하.
#마음 #신하"
"* 腹心之友(복심지우)*: 마음이 맞는 극진(極盡)한 *친구*(親舊).
#*친구* #마음"
* 腹心之友(복심지우)*: 마음이 맞는 극진(極盡)한 친구(親舊).
"* 腹心之疾(복심지질)*: (1)배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병.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질병 #배 #병 #비유 #걱정 #*근심* #가슴"
* 腹心之疾(복심지질)*: (1)배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병.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福緣善慶(복연선경)*: *복*(福)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慶事)가 옴.
"* 覆雨飜雲(복우번운)*: *소인*배(小人輩)의 우정(友情)의 변덕스러움을 이르는 말.
#*소인*배 #우정"
"* 伏願(복원)*: 웃어른에게 엎드려 *공손*히 원함.
#웃어른 #상대방 #*공손*"
* 伏願(복원)*: 웃어른에게 엎드려 공손히 원함.
"* 腹以懷我乳以哺我(복이회아유이포아)*: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먹이* #배 #젖"
"* 腹以懷我乳以哺我(복이회아유이포아)*: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먹이 #배 #젖"
* 福因福果(복인복과)*: *복*덕의 인(因)으로 말미암아 *복*덕의 과보(果報)를 얻음.
* 複雜多端(복잡다단)*: ‘*복*잡다단하다’의 어근.
"* 輻輳竝臻(복주병진)*: ‘폭주병진’의 원말.
#*복*"
* 輻湊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 輻輳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한곳 #바퀴 #*수레*바퀴 #살이 #통"
"* 輻湊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한곳 #*바퀴* #수레*바퀴* #살이 #통"
"* 輻輳幷臻(폭주병진)*: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한곳 #*바퀴* #수레*바퀴* #살이 #통"
"* 卜晝卜夜(복주복야)*: (1) 낮 또는 *밤*의 길흉(吉凶)을 점침 (2) 술 마시고 노는 것이 절도(節度)가 없이 주야(晝夜)로
계속(繼續)됨을 일컫는 말."
"* 卜晝卜夜(복주복야)*: (1) 낮 또는 밤의 길흉(吉凶)을 점침 (2) 술 마시고 노는 것이 절도(節度)가 없이 주야(晝夜)로
계속(繼續)됨을 일컫는 말."
"* 覆舟之下無伯(夷복주지하무백)*: 뒤집힌 배 밑에는 백이(伯夷)와 같은 현인(賢人)은 없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위험(危險)을
가까이 하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覆舟之下無伯(夷복주지하무백)*: 뒤집힌 배 밑에는 백이(伯夷)와 같은 현인(賢人)은 없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위험(危險)을
가까이 하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伏地不動(복지부동)*: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몸 #땅 #안위 #대처 #비유 #일관 #자신 #처리"
* 伏地謝禮(복지사례)*: (1)*땅*에 엎드려 공손히 고마움에 대한 사례를 표함. (2)*땅*에 엎드려 공손히 용서를 빎.
"* 伏地謝禮(복지사례)*: (1)땅에 엎드려 *공손*히 고마움에 대한 사례를 표함. (2)땅에 엎드려 *공손*히 용서를 빎.
#고마움 #사례 #용서 #땅"
* 伏地謝禮(복지사례)*: (1)땅에 엎드려 공손히 고마움에 *대한* 사례를 표함. (2)땅에 엎드려 공손히 용서를 빎.
* 伏地謝禮(복지사례)*: (1)땅에 엎드려 공손히 고마움에 대한 사례를 표함. (2)땅에 엎드려 공손히 용서를 빎.
*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마음 #복 #정신 #때 #영묘 #의미 #*행복*"
"* 福至心靈(복지심령)*: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마음 #복 #*정신* #때 #영묘 #의미 #행복"
"* 覆車之戒(복거지계)*: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 覆車之戒(복거지계)*: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 伏悵(복창)*: 주로 편지글에서,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손*윗사람*에게 쓰는 말.
#*윗사람* #마음 #말 #한문투 #웃어른"
* 伏悵(복창)*: 주로 편지글에서,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손윗사람에게 쓰는 말.
* 覆轍(복철)*: 엎어진 *수레*바퀴라는 뜻으로, 앞서 가던 사람이 실패한 자취를 이르는 말.
"* 覆轍(복철)*: 엎어진 수레*바퀴*라는 뜻으로, 앞서 가던 사람이 실패한 자취를 이르는 말.
#자취 #수레*바퀴* #실패 #비유 #수레 #자리 #사람"
* 覆轍(복철)*: 엎어진 수레바퀴라는 뜻으로, 앞서 가던 사람이 *실패*한 자취를 이르는 말.
* 僕妾之役(복첩지역)*: 남자 종과 *여자* 종이 맡아 해야 할 일.
"* 僕妾之役(복첩지역)*: 남자 종과 여자 종이 맡아 해야 할 일.
#종이 #여자 #일 #남자"
* 伏靑蒲諫(복청포간)*: 청포는 임금의 좌석(座席)에 까는 청록(靑綠)의 부들*자리*로, 청포(靑蒲) 앞에 엎드려 간(諫)한다는 뜻임.
"* 覆敗之患(복패지환)*: 뒤집혀서 패할 *근심*이라는 뜻으로, (1) 배가 전복할 *근심* (2) 싸움에 패할 *근심*(3)
가운(家運)이 기울어질 *근심*."
"* 覆敗之患(복패지환)*: 뒤집혀서 패할 근심이라는 뜻으로, (1) 배가 전복할 근심 (2) *싸움*에 패할 근심(3) 가운(家運)이
기울어질 근심."
* 伏幸(복행)*: 주로 편지글에서, *자신*의 다행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伏幸(복행)*: 주로 편지글에서, 자신의 다행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겸손* #낮춤 #자신"
"* 本來面目(본래면목)*: (1)자기의 본디의 모습. (2)중생이 본디 지니고 있는 순수한 심성.
#해당 #순수 #용어 #양지 #불 #본디 #의미 #심성 #인공 #자신 #중생 #*본래* #모습 #불가 #사람"
"* 本末轉倒(본말전도)*: (1) 일이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2) 일의 *근본*(根本) 줄기는 잊고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에만
사로잡힘.
#일 #부분 #처음 #나중 #*근본* #사소"
"* 本末轉倒(본말전도)*: (1) 일이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2) 일의 근본(根本) 줄기는 잊고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에만
사로잡힘.
#일 #부분 #처음 #나중 #근본 #사소"
"* 本末轉倒(본말전도)*: (1) 일이 처음과 나중이 뒤바뀜 (2) 일의 근본(根本) 줄기는 잊고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에만 사로잡
*힘*."
"* 本末顚倒(본말전도)*: *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가 잘못 바뀌거나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이
구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本末顚倒(본말전도)*: 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가 잘못 바뀌거나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이
구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일 #중요 #근본 #구별 #순서 #사소 #*말*단 #상태"
"* 本末顚倒(본말전도)*: 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가 잘못 바뀌거나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이
구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일 #중요 #근본 #구별 #*순서* #사소 #말단 #상태"
"* 本末顚倒(본말전도)*: 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가 잘못 바뀌거나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이 구별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일 #새 #성 #성불 #아래 #말 #구원 #근본 #석가 #성도 #자신 #부처 #처음 #*석가모니*"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일 #새 #성 #성불 #아래 #말 #구원 #근본 #석가 #성도 #자신 #부처 #처음 #석*가모*니"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일 #새 #성 #성불 #아래 #말 #구원 #근본 #석가 #성도 #자신 #부처 #처음 #석가모니"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 本門開顯(본문개현)*: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 本非我物(본비아물)*: 본디 내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본래 #*물*건 #말 #뜻밖"
"* 本非我物(본비아물)*: 본디 내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본래 #*물건* #말 #뜻밖"
* 本非我土(본비아토)*: 본디 내 땅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 本願往生(본원왕생)*: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일 #극락 #서원 #구제 #*부처* #왕생"
* 本願往生(본원왕생)*: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 本願往生(본원왕생)*: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일.
#일 #극락 #서원 #구제 #부처 #*왕*생"
"* 本有觀念(본유관념)*: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 本第入納(본제입납)*: 본가로 들어가는 편지라는 뜻으로, *자기* 집으로 편지할 때에 편지 겉봉에 *자기*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말."
* 本支百世(본지백세)*: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이 백세를 잇는다는 뜻으로, 한 민족이 번성함을 이르는 말.
"* 本支百世(본지백세)*: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이 백세를 잇는다는 뜻으로, 한 민족이 *번성*함을 이르는 말.
#가문 #번영 #영화 #*번성* #로움 #근본 #집안 #민족 #백세"
"* 鳳去臺空(봉거대공)*: *봉황*은 가고 대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봉황*이 떠난 자리에 *봉황*대만 남아 있다는 것에서, 찾아갔던
사람이 이미 떠나고 없거나, 기녀를 찾아갔으나 이미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의 의미.
#경우 #*봉황* #의미 #자리 #사람"
"* 鳳去臺空(봉거대공)*: 봉황은 가고 대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봉황이 떠난 *자리*에 봉황대만 남아 있다는 것에서, 찾아갔던 사람이
이미 떠나고 없거나, 기녀를 찾아갔으나 이미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의 의미."
"* 鳳去臺空(봉거대공)*: 봉황은 가고 대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봉황이 떠난 자리에 봉황대만 남아 있다는 것에서, 찾아갔던 사람이 이미
떠나고 없거나, 기녀를 찾아갔으나 이미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의 의미."
* 奉檄之喜(봉격지희)*: *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 奉檄之喜(봉격지희)*: 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고을 #기쁨 #임명 #부모 #*동안* #수령 #사람"
"* 烽鼓(봉고)*: 봉화와 북이라는 뜻으로, 병란, *전쟁*(戰爭)을 이름.
#이름 #병란 #병 #*전쟁* #북"
"* 鳳飢不啄粟(봉기불탁속)*: 봉(鳳)은 굶주려도 좁*쌀*을 쪼지 않는다 함이니, 굳은 절개(節槪)를 뜻하는 말.
#절개 #좁*쌀* #말"
* 蓬頭垢面(봉두구면)*: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蓬頭垢面(봉두구면)*: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蓬頭亂髮(봉두난발)*: *머리*털이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마구 흐트러짐. 또는 그 *머리*털.
#*머리*카락 #용모 #쑥 #*머리* #의미 #북 #*머리*털 #쑥대 #대강"
"* 蓬頭亂髮(봉두난발)*: *머리털*이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마구 흐트러짐. 또는 그 *머리털*.
#머리카락 #용모 #쑥 #머리 #의미 #북 #*머리털* #쑥대 #대강"
* 蓬頭歷齒(봉두역치)*: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蓬頭歷齒(봉두역치)*: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모 #노인 #강 #쑥 #비유 #*머리털* #쑥대 #대강"
"* 蓬頭歷齒(봉두역치)*: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모* #노인 #강 #쑥 #비유 #머리털 #쑥대 #대강"
* 蜂屯(봉둔)*: 벌 떼처럼 *무리*를 지어 모임.
"* 蓬萊弱水(봉래약수)*: 봉래산(蓬萊山)은 약수(弱水) 너머에 있다는 뜻으로, 신선이 사는 봉래산은 멀리 약수를 *사이*에 두고
있다는 의미에서, 서로 아득히 떨어져 있다는 의미."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난초 #여자 #재능 #말 #남녀 #형용 #표현 #기린 #*봉황* #비유 #지초 #남자 #아름다움"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난초* #여자 #재능 #말 #남녀 #형용 #표현 #기린 #봉황 #비유 #지초 #남자 #아름다움"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난초 #여자 #재능 #말 #남녀 #형용 #표현 #기린 #봉황 #비유 #지초 #남자 #*아름다움*"
"* 鳳麟芝蘭(봉린지란)*: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아침 #새 #말 #행위 #태평 #확대 #*봉황* #사용 #동쪽 #천하 #의미 #天下 #상서 #칭찬 #조짐 #행동 #산"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아침 #새 #말 #행위 #태평 #확대 #봉황 #사용 #*동쪽* #천하 #의미 #天下 #상서 #칭찬 #조짐 #행동 #산"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鳳鳴朝陽(봉명조양)*: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 鳳毛麟角(봉모인각)*: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기린 #*봉황* #비유 #털 #인물 #물건 #깃털 #뿔"
* 鳳毛麟角(봉모인각)*: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 鳳毛麟角(봉모인각)*: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기린 #봉황 #비유 #털 #인물 #*물건* #깃털 #뿔"
"* 蜂目豺聲(봉목시성)*: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말.
#인상 #말 #눈 #흉악 #사용 #비유 #목*소리*"
"* 蓬門(봉문)*: (1)쑥으로 지붕을 인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 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은거 #집 #쑥 #겸손 #지붕 #*가난* #사람"
"* 蓬門(봉문)*: (1)쑥으로 지붕을 인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 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형용* #집 #건물 #물 #모양"
*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捧腹絶倒(봉복절도)*: 배를 잡고 까무러치듯 넘어진다는 뜻으로,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는다는 의미.
"* 蓬生麻中不扶自直(봉생마중불부자직)*: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짐.
#*가운데* #쑥"
* 蓬生麻中不扶自直(봉생마중불부자직)*: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짐.
* 逢時不幸(봉시불행)*: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 封豕長蛇(봉시장사)*: 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먹기를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고 #악인 #비유 #먹이 #탐욕 #뱀 #악 #왕성 #사람"
"* 封豕長蛇(봉시장사)*: 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먹기를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고 #악인 #비유 #먹이 #탐욕 #뱀 #악 #왕성 #사람"
"* 蓬室(봉실)*: (1)쑥으로 지붕을 인 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집 #*가난* #지붕 #쑥"
* 蓬室(봉실)*: (1)쑥으로 지붕을 인 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 奉養(봉양)*: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신하* #중요 #상하 #임금 #때 #관계 #신분 #의미 #개미 #강조 #뚜렷 #구별 #군신"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신하 #중요 #상하 #임금 #때 #관계 #*신분* #의미 #개미 #강조 #뚜렷 #구별 #군신"
"*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의 구별이 있다는 뜻으로, 신분 *관계*의 질서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신하 #중요 #상하 #임금 #때 #*관계* #신분 #의미 #개미 #강조 #뚜렷 #구별 #군신"
"* 縫衣淺帶(봉의천대)*: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옷 #학자 #유학자 #띠 #*사용* #의미 #문인 #사람"
"* 鳳姿玉骨(봉자옥골)*: *봉황*의 자태와 옥같이 깨끗한 골격이라는 뜻으로, 기품 있는 자태와 고결한 풍채를 이르는 말.
#기품 #풍채 #고결 #*봉황* #거룩 #깨끗 #자태 #골격"
"* 逢場作戱(봉장작희)*: 공터를 만나자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아무데서나 유희(遊戱)를 행하듯이 임기응변(臨機應變)의 조치를 취하거나
미봉*책*(彌縫策)을 쓴다는 의미."
"* 逢場風月(봉장풍월)*: 아무 때나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시(詩)를 지음.
#달 #바람 #지음 #때 #한시 #마당 #풍월 #풍 #*자리* #장소"
"* 逢場風月(봉장풍월)*: 아무 때나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시(詩)를 지음.
#달 #바람 #지음 #때 #한시 #마당 #*풍월* #풍 #자리 #장소"
"* 蓬轉(봉전)*: 쑥이 *뿌리*째 뽑혀 나가 바람에 굴러다닌다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 #정처 #쑥 #비유 #*뿌리*"
"* 蜂蝶隨香(봉접수향)*: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여자 #미인 #비유 #나비 #남자 #아름다움"
"* 蜂蝶隨香(봉접수향)*: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여자* #미인 #비유 #나비 #남자 #아름다움"
"* 蜂蝶隨香(봉접수향)*: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여자 #미인 #비유 #나비 #남자 #*아름다움*"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새 #말 #성 #성군 #성인 #*봉황* #한탄 #의미 #세상"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새 #말 #성 #성군 #성인 #봉황 #한탄 #의미 #*세상*"
"* 鳳鳥不至(봉조부지)*: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 蓬蓽(봉필)*: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집을 이르는 말.
#*가시* #쑥대 #집 #쑥 #지붕 #가난 #사람"
* 蓬蓽(봉필)*: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집을 이르는 말.
"* 蓬蒿滿宅(봉호만택)*: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명리 #가득 #개의 #쑥 #의미 #*집안* #조금 #세상"
"* 蓬蒿滿宅(봉호만택)*: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명리 #*가득* #개의 #쑥 #의미 #집안 #조금 #세상"
* 蓬蒿滿宅(봉호만택)*: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감동 #태평 #*봉황* #상서 #의미 #의례 #조짐 #세상"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감동* #태평 #봉황 #상서 #의미 #의례 #조짐 #세상"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감동 #*태평* #봉황 #상서 #의미 #의례 #조짐 #세상"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 鳳凰于飛(봉황우비)*: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
#타인 #축하 #*봉황* #자웅 #의미 #사용 #혼인 #짝 #부부 #화목 #화목함"
"* 鳳凰于飛(봉황우비)*: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
"* 鳳凰于飛(봉황우비)*: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
#타인 #*축하* #봉황 #자웅 #의미 #사용 #혼인 #짝 #부부 #화목 #화목함"
"* 鳳凰于飛(봉황우비)*: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
"* 峯岠(봉거)*: (1)산봉우리가 험하여 가까이 갈 수 없음. (2)말이나 *행동* 또는 뜻이 맞지 아니하여 친근해질 수 없음.
#말 #산봉우리 #*행동* #산 #친근 #사람"
"* 不可思議(불가사의)*: (1)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하*고 야릇함. (2)나유타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64을 이른다. (3)예전에, 나유타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20을 이른다.
#의논 #배 #현상 #상황 #생각 #상식 #예전 #이상 #사람"
* 不可勝數(불가승수)*: 너무 많아서 셀 수*가* 없음.
* 不敢生心(불감생심)*: *힘*에 부쳐서 감히 할 생각을 내지 못함.
* 不敢生心(불감생심)*: 힘에 부쳐서 감히 할 *생각*을 내지 못함.
* 鳧耕蒼海去鷺割靑山來(부경창해거로할청산래)*: 물오리는 푸른 *바다*를 갈고 가고, 백로는 푸른 산을 갈라 옴.
"* 不繫之舟(불계지주)*: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랑 #일체 #마음 #배 #정처 #무념무상 #*속세* #의미 #무상 #기운 #상태 #초월 #무아 #사람"
"* 不繫之舟(불계지주)*: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랑 #일체 #마음 #배 #정처 #무념*무상* #속세 #의미 #*무상* #기운 #상태 #초월 #무아 #사람"
"* 不繫之舟(불계지주)*: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父公(부공)*: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不愧屋漏(불괴옥루)*: 사람이 보지 아니하는 곳에서도 *행동*을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부끄럽지 아니함. ≪중용(中庸)≫에 나오는
말이다."
* 父交(부교)*: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不俱戴天(불구대천)*: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래 #원수 #임금 #*원한* #사용 #의미 #하늘 #부모 #세상"
* 不拘小節(불구소절)*: 사소한 예의*범*절에 거리끼지 아니함.
"* 富國安民(부국안민)*: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백성 #국민 #안정 #나라 #의미 #*편안* #풍요 #넉넉 #백성들 #부유"
"* 府君(부군)*: (1)죽은 *아버지*나 남자 조상을 높여 이르는 말. (2)부군당에 모신 신령. (3)경기 지역에서, 마을을 지키는
신을 이르는 말.
#신령 #남자 #지역 #조상 #마을"
"* 府君(부군)*: (1)죽은 아버지나 남자 조상을 높여 이르는 말. (2)부군당에 모신 신령. (3)경기 *지역*에서, 마을을 지키는
신을 이르는 말.
#신령 #남자 #*지역* #조상 #마을"
"* 富貴功名(부귀공명)*: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침.
#이름 #재물 #*재산* #지위 #침"
* 富貴功名(부귀공명)*: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침.
"* 富貴功名(부귀공명)*: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침.
#이름 #재물 #재산 #지위 #침"
"* 富貴窮達(부귀궁달)*: *부귀*와 궁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 #달 #영달 #*부귀* #귀"
"* 富貴窮達(부귀궁달)*: 부귀와 궁*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궁 #*달* #영*달* #부귀 #귀"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지위 #아들 #*재산*"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 富貴多男(부귀다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아들이 많음.
#지위 #아들 #재산"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富貴貧賤(부귀빈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재산 #빈천 #*부귀* #지위 #가난 #귀"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 #*재산* #영화 #의미 #부귀 #지위 #자신 #귀 #세상"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 #재산 #*영화* #의미 #부귀 #지위 #자신 #귀 #세상"
"* 富貴榮華(부귀영화)*: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신분 #재산 #영화 #의미 #*부귀* #지위 #자신 #귀 #세상"
* 富貴在天(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富貴在天(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일 #운수 #행 #어찌 #의미 #*부귀* #하늘 #힘 #귀 #사람"
"* 富貴在天(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일 #운수 #행 #어찌 #의미 #부귀 #하늘 #힘 #귀 #사람"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고하 #중요 #남편 #와서 #신분 #*영화* #의미 #현대 #활용 #배우자 #아내 #역할 #귀"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고하 #중요 #남편 #와서 #*신분* #영화 #의미 #현대 #활용 #배우자 #아내 #역할 #귀"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고하* #중요 #남편 #와서 #신분 #영화 #의미 #현대 #활용 #배우자 #아내 #역할 #귀"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고하 #중요 #남편 #와서 #신분 #영화 #의미 #현대 #활용 #배우자 #아내 #역할 #귀"
"* 夫貴妻榮(부귀처영)*: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고하 #중요 #남편 #와서 #신분 #영화 #의미 #현대 #활용 #배우자 #아내 #역할 #귀"
"* 不及馬腹(불급마복)*: 말의 배에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채찍이 길어도 말의 배에 이르지 않는 것처럼 *인생*에는 인력(人力)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을 비유하는 말."
"* 負芨從師(부급종사)*: 책 상자(箱子)를 지고 *스승*을 좇는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유학(留學)감을 이르는 말.
#책 #*스승* #유학"
"* 不欺二字(불기이자)*: '불기' 두 자라는 뜻으로, '속이지 않는다'는 '不欺'라는 두 *글자*는 일생토록 지켜야 할 인생의
신조(信條)라는 의미에서 모든 일은 정성을 다해야 함을 이르는 의미.
#일 #일생 #정성 #*글자* #의미 #인생"
"* 不欺二字(불기이자)*: '불기' 두 자라는 뜻으로, '속이지 않는다'는 '不欺'라는 두 글자는 *일생*토록 지켜야 할 인생의
신조(信條)라는 의미에서 모든 일은 정성을 다해야 함을 이르는 의미.
#일 #*일생* #정성 #글자 #의미 #인생"
"* 不欺二字(불기이자)*: '불기' 두 자라는 뜻으로, '속이지 않는다'는 '不欺'라는 두 글자는 일생토록 지켜야 할 *인생*의
신조(信條)라는 의미에서 모든 일은 정성을 다해야 함을 이르는 의미."
"* 不達時變(부달시변)*: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융통성 #의미 #변통 #통달 #변화 #흐름"
* 不達時變(부달시변)*: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 不達時變(부달시변)*: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융통성 #의미 #*변통* #통달 #변화 #흐름"
"* 不達時變(부달시변)*: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융통성 #의미 #변통 #통*달* #변화 #흐름"
"* 不達時宜(부달시의)*: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변통 #흐름"
* 不達時宜(부달시의)*: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 不達時宜(부달시의)*: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변통* #흐름"
"* 不達時宜(부달시의)*: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변통성 #완고 #시대 #변통 #흐름"
"*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복 #되풀이 #앞*사람* #앞 #선 #실패 #선인 #*사람*"
"*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복 #되풀이 #앞사람 #앞 #선 #*실패* #선인 #사람"
"*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복 #되*풀*이 #앞사람 #앞 #선 #실패 #선인 #사람"
*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복* #되풀이 #앞사람 #앞 #선 #실패 #선인 #사람"
"* 不當之事(부당지사)*: *이치*에 맞지 아니한 일.
#일 #부당 #*이치*"
* 不當之說(부당지설)*: *이치*에 맞지 아니하는 말.
"* 不道之說(부도지설)*: 입에 담지 못할 *소리*.
#입 #*소리*"
"* 不道之說(부도지설)*: 입에 담지 못할 소리.
#입 #소리"
* 不同戴天(부동대천)*: 같이 하늘을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을 같이 살아갈 수 없다는 *부모*의 원수를 이르는 말.
* 不得其所(부득기소)*: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 不得其所(부득기소)*: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훌륭 #소질 #*지위* #실력"
* 不得其位(부득기위)*: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 府羅將相(부라장상)*: 마을 좌우(左右)에 *장수*(將帥)와 정승(政丞)이 벌려 있음.
#좌우 #*장수* #정승 #마을"
"* 浮浪子弟(부랑자제)*: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방탕 #완곡 #말 #*생활*"
"* 浮浪子弟(부랑자제)*: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방탕 #완곡 #말 #생활"
"* 浮浪子弟(부랑자제)*: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방탕 #완곡 #말 #생활"
* 浮浪之徒(부랑지도)*: 부랑자(浮浪者)의 *무리*.
"* 浮浪悖類(부랑패류)*: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떳떳 #일 #무리들 #*일정* #행동 #의미 #직업 #무리 #주소"
* 浮浪悖類(부랑패류)*: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 不勞所得(불로소득)*: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婦老爲姑(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 扶老携幼(부로휴유)*: 노인은 부*축하*고 어린이는 이끈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도와 보호하고 어린이를 보살펴 주는 것을 이르는 말.
#어린아이 #보호 #어린이 #노인 #늙은이"
* 付祿忠義(부록충의)*: 여러 충의 *가운데*서 녹봉(祿俸)을 받는 사람을 이르던 말.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깨달음 #*의지* #마음 #말 #불법 #용어 #불도 #불교 #문자 #해석 #의미 #설명"
* 駙馬(부마)*: *임금*의 사위.
"* 駙馬都尉(부마도위)*: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임금* #사위"
"* 不眠不休(불면불휴)*: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
#일 #일함 #의미 #잠 #조금 #자지"
* 不眠不休(불면불휴)*: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어머니*"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 父母俱沒(부모구몰)*: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 돌아가심.
#어머니"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생존 #어머니 #군자 #맹자 #*부모* #*부모*님 #가운데"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생존 #어머니 #군자 #*맹자* #부모 #부모님 #가운데"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 父母俱存(부모구존)*: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 父母惡之懼而勿怨(부모오지구이물원)*: *부모*(父母)님께서 미워하시더라도 두려워하여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원망 #*부모*"
"* 父母惡之懼而勿怨(부모오지구이물원)*: 부모(父母)님께서 미워하시더라도 두려워하여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원망* #부모"
* 父母惡之懼而勿怨(부모오지구이물원)*: 부모(父母)님께서 미워하시더라도 두려워하여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不侮暗室(불모암실)*: 어두운 방에서도 업신*여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이 보고 있지 않은 어두운 방에서도 몸을 삼간다는 의미.
[ 不侮闇室 (불모암실)]. 愼獨 (신독)의 의미와 통함.
#의미 #몸 #방"
"* 不侮暗室(불모암실)*: 어두운 방에서도 업신여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이 보고 있지 않은 어두운 방에서도 *몸*을 삼간다는 의미.
[ 不侮闇室 (불모암실)]. 愼獨 (신독)의 의미와 통함."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부모* #사랑"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 父母臥命俯首聽之(부모와명부수청지)*: *부모*(父母)님께서 누워서 명하시더라도 고개를 숙이고 들음.
"* 父母臥命俯首聽之(부모와명부수청지)*: *부모*(父母)님께서 누워서 명하시더라도 고개를 숙이고 들음.
#*부모* #고개"
"* 父母有命府首聞之(부모유명부수문지)*: *부모*(父母)님께서 명하심이 있으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야 함.
#*부모* #머리"
"* 父母有病憂而謀療(부모유병우이모료)*: *부모*(父母)님이 병중에 계시면 근신(謹愼)하며 병이 낫게 할 것을 꾀함.
#꾀 #병 #*부모* #근신"
* 父母有病憂而謀療(부모유병우이모료)*: 부모(父母)님이 병중에 계시면 근신(謹愼)하며 병이 낫게 할 것을 *꾀*함.
* 父母有疾捨置他事(부모유질사치타사)*: *부모*(父母)님이 병환(病患)을 앓으시면 다른 일은 버려둠.
"* 父母有疾捨置他事(부모유질사치타사)*: *부모*(父母)님이 병환(病患)을 앓으시면 다른 일은 버려둠.
#일 #병환 #*부모*"
* 父母遺體(부모유체)*: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 父母遺體(부모유체)*: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몸 #말 #자식 #*부모*"
* 父母遺體(부모유체)*: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 父母遺體(부모유체)*: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부모* #의복"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부모 #*의복*"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부모 #의복"
* 父母之邦(부모지방)*: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살던 나라.
"* 父母之邦(부모지방)*: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살던 나라.
#조상 #때 #나라"
* 不毛之地(불모지지)*: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
* 父母責之勿怒勿答(부모책지물노물답)*: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 父母責之勿怒勿答(부모책지물노물답)*: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부모*"
"* 父母責之勿怒勿答(부모책지물노물답)*: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부모"
* 父母妻子(부모처자)*: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父母妻子(부모처자)*: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父母妻子(부모처자)*: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자식 #아내 #어버이"
* 父母出入每必起立(부모출입매필기립)*: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 父母出入每必起立(부모출입매필기립)*: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부모* #양"
"* 父母出入每必起立(부모출입매필기립)*: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부모 #양"
* 父母呼我唯而趨之(부모호아유이추지)*: *부모*(父母)님께서 나를 부르시면 '예'하고 대답(對答)하고 빨리 달려가야 함.
"* 父母呼我唯而趨之(부모호아유이추지)*: *부모*(父母)님께서 나를 부르시면 '예'하고 대답(對答)하고 빨리 달려가야 함.
#대답 #*부모*"
"* 不問可知(불문가지)*: 묻지 아니하여도 알 수 있음.
#의미 #그름 #확인"
* 不美之說(불미지설)*: 아름답지 않은 말이라는 뜻으로, *자신*에게 누가될 아름답지 못한 추잡한 말이나 소문의 의미.
"* 不伐己長(불벌기장)*: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자세의 의미."
"* 不伐己長(불벌기장)*: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자세의 의미.
#말 #자세 #의미 #단점 #겸손 #*자신* #장점 #자랑"
"* 不伐己長(불벌기장)*: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자세의 의미.
#말 #자세 #의미 #단점 #*겸손* #자신 #장점 #자랑"
"* 不辨菽麥(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菽麥.
#내용 #콩 #준말 #*보리* #무식 #비유 #분별 #사람"
"* 不辨菽麥(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菽麥.
#내용 #콩 #준말 #보리 #무식 #비유 #*분별* #사람"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몸 #*구슬* #배 #재물 #의미 #갈라 #소중 #자신"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 剖腹藏珠(부복장주)*: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 府部院廳(부부원청)*: 서울의 각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말.
#관아 #말 #서울"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아내 #내외 #*남편* #직분 #침범 #인륜 #의미 #각각 #구별 #엄격 #부부 #분별 #과거 #사이"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아내 #내외 #남편 #직분 #침범 #인륜 #의미 #각각 #구*별* #엄격 #부부 #분*별* #과거 #사이"
"* 夫婦有別(부부유별)*: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아내 #내외 #남편 #직분 #침범 #인륜 #의미 #각각 #구별 #엄격 #*부부* #분별 #과거 #사이"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남편* #어린이 #아내 #분별 #차례 #어른 #사이"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남편 #어린이 #아내 #*분별* #차례 #어른 #사이"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남편 #어린이 #아내 #분*별* #차례 #어른 #사이"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남편 #어린이 #아내 #분별 #차례 #어른 #사이"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 #왕 #시대 #때 #왕비 #어머니 #아내 #품계"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 #왕 #시대 #때 #왕비 #*어머니* #아내 #품계"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 #왕 #시대 #때 #왕비 #어머니 #*아내* #품계"
"* 府夫人(부부인)*: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조선 #왕 #시대 #때 #왕비 #어머니 #아내 #품계"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내용 #자식 #직분 #때 #충실 #위치 #孔子 #자신 #*사회* #공자"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 父父子子(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내용 #자식 #직분 #때 #충실 #위치 #孔子 #자신 #사회 #공자"
"* 夫婦之間(부부지간)*: *부부* 사이.
#*부부*간 #*부부* #사이"
* 夫婦之間(부부지간)*: 부부 *사이*.
"* 夫婦之道二姓之合(부부지도이성지합)*: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성씨 #결합 #*부부*"
"* 夫婦之道二姓之合(부부지도이성지합)*: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성씨 #결합 #부부"
"* 夫婦之約(부부지약)*: 혼인하기로 한 약속.
#약속 #언약 #혼인"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애정 #부부 #*남편* #아내 #사이"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 夫婦之情(부부지정)*: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애정 #*부부* #남편 #아내 #사이"
"* 不分東西(불분동서)*: *동서* 방향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향 #의미 #*동서* #분간 #정도 #사람"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터득 #이치 #분발 #의미 #*스승* #가르침 #통달 #사람"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터득 #*이치* #분발 #의미 #스승 #가르침 #통달 #사람"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 不憤不啓(불분불계)*: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啓導)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不費之惠(불비지혜)*: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이익 #손해 #의미 #자신 #은혜"
* 不事二君(불사이군)*: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
* 不事二君(불사이군)*: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
"* 不事二君(불사이군)*: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
#의미 #임금 #충신"
"*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자식 #*남편* #표현 #중세 #과거"
"*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자식* #남편 #표현 #중세 #과거"
"*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자식 #남편 #표현 #중세 #과거"
"*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자식 #남편 #표현 #중세 #과거"
"* 夫死從子(부사종자)*: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자식 #남편 #*표현* #중세 #과거"
* 不舍晝夜(불사주야)*: 불사주야) *밤*낮을 쉬지 않는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을 의미함.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전설 #나무 #바닷속 #신령 #상상 #사용 #동해 #*동쪽* #의미 #중국 #나라"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전설 #나무 #바닷속 #신령 #상상 #사용 #동해 #동쪽 #의미 #중국 #나라"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 扶桑(부상)*: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 父生母育(부생모육)*: 부모가 낳고 *기름*.
#자식 #어머니 #부모 #*기름*"
"* 不生不滅(불생불멸)*: (1)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 (2)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음. 모든 존재의 실상을 이른다.
#죽지 #존재 #본체 #우주 #불교 #*목숨* #의미 #실상 #변화"
"* 不生不滅(불생불멸)*: (1)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 (2)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음. 모든 존재의 실상을 이른다."
* 父生我身母育吾身(부생아신모육오신)*: 아버지는 내 몸을 낳으시고 *어머니*는 내 몸을 기르심.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의미 #허무 #꿈 #*인생*"
* 浮生若夢(부생약몽)*: 덧없는 인생이 마치 *꿈*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꿈*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 傅生之論(부생지론)*: 이미 내린 사형 선고에 대하여 다른 의견이 있을 때에 감형을 *주장*하는 변론.
#사형 #때 #선고 #의견 #*주장* #변론"
"* 腐鼠(부서)*: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천 #비유 #쥐 #*물건* #사람"
* 腐鼠(부서)*: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父書(부서)*: 편지글에서, *아버지*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의 맨 끝에 쓰는 말.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사*물* #정성 #*물* #의미 #근본"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사물* #정성 #물 #의미 #근본"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사물 #정성 #물 #의미 #*근본*"
"* 不誠無物(불성무물)*: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 不世之材(불세지재)*: 세상에서 보기 드문 *인재*라는 뜻으로, 좀처럼 나지 않는 재주가 뛰어난 *인재*의 의미.
#의미 #재주 #*인재* #세상"
* 不世之材(불세지재)*: 세상에서 보기 드문 인재라는 뜻으로, 좀처럼 나지 않는 *재주*가 뛰어난 인재의 의미.
"*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말 #때문 #때 #사람들 #세상 #세속 #고상 #한때 #지조 #괴로움 #사람"
*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 俯首廳令(부수청령)*: *윗사람*의 위엄(威嚴)에 눌려 고개를 다소곳하게 숙이고 명령(命令)대로 좇아 함.
#위엄 #*윗사람* #명령 #고개 #사람"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 #윗사람 #*명령* #의미 #고개 #복종"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 #*윗사람* #명령 #의미 #고개 #복종"
"* 俯首聽令(부수청령)*: 고개를 숙이고 명령을 따른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위엄*에 눌려 명령대로 좇아 행함을 이르는 말.
#*위엄* #윗사람 #명령 #의미 #고개 #복종"
"* 俯首廳令(부수청령)*: 윗사람의 *위엄*(威嚴)에 눌려 고개를 다소곳하게 숙이고 명령(命令)대로 좇아 함.
#*위엄* #윗사람 #명령 #고개 #사람"
"* 俯首廳令(부수청령)*: 윗사람의 위엄(威嚴)에 눌려 고개를 다소곳하게 숙이고 *명령*(命令)대로 좇아 함.
#위엄 #윗사람 #*명령* #고개 #사람"
"* 扶植綱常(부식강상)*: 인륜(人倫)의 길을 바로 세움.
#길 #인륜 #의미 #확고"
"* 負薪救火(부신구화)*: 땔나무를 지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재해(災害)를 방지(防止)하려다가, 자기(自己)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損害)를 입음을 이르는 말."
"* 負薪入火(부신입화)*: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화 #불 #의미 #그릇 #*자신*"
"* 負薪入火(부신입화)*: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화 #불 #의미 #*그릇* #자신"
* 負薪入火(부신입화)*: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 負薪之憂(부신지우)*: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 負薪之資(부신지자)*: (1)비천한 태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타고난 자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겸손* #비천 #천하 #자질"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위엄* #소인 #의미 #태도 #방법"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위엄 #*소인* #의미 #태도 #방법"
"* 不惡而嚴(불오이엄)*: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 俯仰廊廟(부앙낭묘)*: 항상(恒常) 낭묘(廊廟)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禮儀)를 지켜야 함.
* 俯仰廊廟(부앙낭묘)*: 항상(恒常) 낭묘(廊廟)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禮儀)를 지켜야 함.
"* 俯仰無傀(부앙무괴)*: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부끄러움 #땅 #양심 #*하늘*"
"* 俯仰無傀(부앙무괴)*: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부끄러움 #*땅* #양심 #하늘"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밤 #형용 #*등불* #말 #대낮 #성 #번화 #거리 #중국 #경치 #유래 #따위"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밤 #형용 #등불 #말 #대낮 #성 #번화 #거리 #중국 #경치 #유래 #따위"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婦言是用(부언시용)*: *여자*의 말이 옳다고 쓴다는 뜻으로, 여성의 말을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 잘 듣는 것을 이르는 말.
* 婦言是用(부언시용)*: 여자의 말이 옳다고 쓴다는 뜻으로, 여성의 말을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 잘 듣는 것을 이르는 말.
* 不言之花(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꽃*이라는 뜻으로, 복숭아*꽃*과 오얏*꽃*을 이르는 말.
"* 不言之化(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의미 #감화 #말 #교화"
* 不言之化(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 不言之化(불언지화)*: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의미 #감화 #말 #교화"
"*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부리* #새 #새끼 #가로 #휘파람 #정도 #여름 #두견 #푸른빛 #소리 #길이 #날개 #소쩍새 #배 #무늬 #집 #흰색 #사용 #의미 #길 #한국"
"*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不如歸(불여귀)*: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부리 #새 #*새끼* #가로 #휘파람 #정도 #여름 #두견 #푸른빛 #소리 #길이 #날개 #소쩍새 #배 #무늬 #집 #흰색 #사용 #의미 #길 #한국"
"* 賦役黃冊(부역황책)*: 중국 명나라 때, 조세 대장을 겸한 호적부. 1381년에 이갑제의 실시와 함께 전국적으로 만들게 하였으며,
리(里)를 단위로 10년에 한 번씩 작성하였는데, 황색 표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 浮艶(부염)*: 겉은 화려(華麗)*하나* 실속(實-)은 없음.
"* 附炎棄寒(부염기한)*: 더울 때는 가까이 붙어 있다가 추울 때는 버리고 떠난다는 뜻으로, *권세*가 성할 때에는 붙좇다가 그 *권세*가
쇠하면 버림을 이르는 말.
#말 #*권세* #때 #인정 #버림 #쇠 #사람"
"* 不虞之變(불우지변)*: 뜻밖에 갑작스럽게 일어난 *재앙*이나 사고.
#사변 #변고 #*재앙* #의미 #사고"
"* 浮雲驚龍(부운경룡)*: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매우 자유분방(自由奔放)함을 비유하는 말.
#필세 #비유 #용 #*구름* #자유분방"
"* 浮雲驚龍(부운경룡)*: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매우 *자유*분방(自由奔放)함을 비유하는 말.
#필세 #비유 #용 #구름 #*자유*분방"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이슬* #아침 #뜬구름 #비유 #인생 #세상"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이슬 #아침 #뜬구름 #비유 #*인생* #세상"
"* 浮雲之志(부운지지)*: 뜬*구름*과 같은 일시적인 부귀공명을 바라는 마음.
#마음 #뜬*구름* #공명 #불의 #불 #일시적 #*구름* #부귀 #하늘"
"* 浮雲之志(부운지지)*: 뜬구름과 같은 일시적인 *부귀*공명을 바라는 마음.
#마음 #뜬구름 #공명 #불의 #불 #일시적 #구름 #*부귀* #하늘"
* 不遠千里(불원천리)*: 천 리 길도 멀다고 *여기*지 않음.
"* 不違農時(불위농시)*: 농사의 때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농사철에는 농사에 전념하도록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을 *부리*는 일을
의미하는 말.
#백성 #일 #농사 #농사철 #전념 #때 #의미"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유교 #남편 #모범 #덕목 #의미 #도덕 #*근본* #부부간 #가치 #아내 #벼리 #기본"
* 夫爲婦綱是謂三綱(부위부강시위삼강)*: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것을 삼강(三綱)이라 함.
* 夫爲婦綱是謂三綱(부위부강시위삼강)*: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것을 삼강(三綱)이라 함.
* 夫爲婦綱是謂三綱(부위부강시위삼강)*: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것을 삼*강*(三綱)이라 함.
"* 父爲子綱(부위자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강* #아들 #인륜 #의미 #도덕 #근본 #벼리 #기본 #대*강*"
"* 父爲子綱(부위자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강 #아들 #인륜 #의미 #도덕 #근본 #벼리 #기본 #대강"
"* 父爲子綱(부위자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강 #*아들* #인륜 #의미 #도덕 #근본 #벼리 #기본 #대강"
"* 父爲子綱(부위자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강 #아들 #인륜 #의미 #도덕 #근본 #벼리 #기본 #대강"
"* 父爲子綱(부위자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강 #아들 #인륜 #의미 #도덕 #*근본* #벼리 #기본 #대강"
* 富有天下(부유천하)*: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 富有天下(부유천하)*: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말 #차지 #*혼자* #천하 #天下 #천자"
* 富有天下(부유천하)*: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 婦人之成(부인지성)*: 남자(男子)로서 *여자*(女子)처럼 편벽(偏僻)되고 좁은 성질(性質).
"* 婦人之仁(부인지인)*: (1)*여자*가 지니는 좁은 소견의 인정. (2)하찮은 인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견 #*여자* #마음 #인정"
"* 父子相傳(부자상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따위 #*아들* #비슷 #성격 #습관 #생활"
"* 父子相傳(부자상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따위 #아들 #비슷 #성격 #습관 #*생활*"
* 父子相傳(부자상전)*: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친애 #자식 #사랑 #인간 #*아들* #공경 #기본 #사이"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 父子有親(부자유친)*: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친애 #자식 #사랑 #인간 #아들 #공경 #기본 #사이"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父子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신하 #임금 #의리 #아들 #사이"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자식 #사랑 #*효*성 #자애 #*효*도 #의미 #어버이 #부모 #자녀"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 父慈子孝(부자자효)*: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