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
*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 三省(삼성)*: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기관 #당나라 #시대 #최고 #때 #관원 #여부 #하루 #일 #강 #소가죽 #고려 #시장 #패륜 #가죽 #성 #선 #*규범* #기능 #자신 #정당 #선악 #따위 #죄인 #반성 #
중국 #선조"
* 三省吾身(삼성오신)*: 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 三省吾身(삼성오신)*: 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몸 #하루 #*반성* #자신 #행동"
* 三世了達(삼세요달)*: 여러 *부처*의 지혜로 삼세의 도리를 밝게 통달하는 일.
* 三世了達(삼세요달)*: 여러 부처의 *지혜*로 삼세의 도리를 밝게 통달하는 일.
"* 三世了達(삼세요달)*: 여러 부처의 지혜로 삼세의 도리를 밝게 통*달*하는 일.
#일 #삼세 #미래 #부처 #지혜 #통*달* #과거"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법 #바탕 #은거 #동양화 #때 #나라 #*중국* #도연명 #고사 #산 #사람"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법 #바탕 #*은거* #동양화 #때 #나라 #중국 #도연명 #고사 #산 #사람"
"* 三笑(삼소)*: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법 #바탕 #은거 #동양화 #때 #나라 #중국 #도연명 #*고사* #산 #사람"
"* 三損友(삼손우)*: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 편벽한 *벗*,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을 이른다."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三水甲山(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산골 #조선 #시대 #양지 #나라 #함경도 #우리나라 #우리 #지세 #귀"
"* 三獸渡水(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三獸渡水(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三獸渡水(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三獸渡河(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토끼 #강 #바탕 #행 #말 #보살 #교리 #성문 #비유 #*수행* #깊이 #깨달음 #코끼리"
"* 三獸渡河(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 三獸渡河(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 三旬九食(삼순구식)*: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 三旬九食(삼순구식)*: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 三始(삼시)*: 연(年)ㆍ월(月)ㆍ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일 #*아침* #말 #초하루 #처음 #정월"
"* 三豕金根(삼시금근)*: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 '己亥(기해)'를 三豕로 '金銀(*금*은)'을 金根으로,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誤用誤讀)을 비유하는 말."
"* 三豕金根(삼시금근)*: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 '己亥(기해)'를 三豕로 '金銀(금은)'을 金根으로,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誤用誤讀)을 비유하는 말.
#금 #비유 #글자 #三豕 #오용 #*고사*"
"* 三豕金根(삼시금근)*: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 '己亥(기해)'를 三豕로 '金銀(금은)'을 金根으로,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誤用誤讀)을 비유하는 말.
#금 #비유 #*글자* #三豕 #오용 #고사"
* 三時念佛(삼시염불)*: *새*벽, 한낮, 저녁의 세 때에 하는 염불.
"* 三時念佛(삼시염불)*: 새벽, 한낮, *저녁*의 세 때에 하는 염불.
#염불 #때 #*저녁* #새벽 #낮"
"* 三豕渡河(삼시도하)*: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말 #옛일 #*글자* #三豕 #오용 #유래"
"* 三豕渡河(삼시도하)*: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三豕渡河(삼시도하)*: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말 #옛일 #글자 #三豕 #오용 #*유래*"
* 三神帝王(삼신제왕)*: ‘삼신’을 높여 이르는 말.
"* 三十六計(삼십육계)*: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 三十六計(삼십육계)*: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여섯 #경우 #때 #노름 #서른 #곤란 #기회 #일 #돈 #*꾀* #싸움터 #삼십 #사람 #도망 #계략 #형편 #계책 #형 #배 #사용 #물 #의미"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책 #몸 #말 #최상 #때 #안전 #*계책* #방법 #곤란 #기회"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책 #몸 #말 #최상 #때 #안전 #계책 #*방법* #곤란 #기회"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책 #몸 #말 #최상 #때 #안전 #계책 #방법 #곤란 #*기회*"
"* 三十六宮(삼십육궁)*: *중국* 전한(前漢) 때에 궁정에 있었다고 하는 서른여섯 개의 궁전. 제왕의 궁전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제왕 #여섯 #때 #나라 #*중국* #서른 #궁전"
"* 三十六宮(삼십육궁)*: 중국 전한(前漢) 때에 궁정에 있었다고 하는 서른여섯 개의 궁전. 제*왕*의 궁전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
*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 三十六禽(삼십육금)*: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
*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원숭이 #여섯 #호랑이 #때 #서른 #사슴 #침 #술 #토끼 #표범 #이리 #불 #꿩 #까마귀 #멧돼지 #*뱀* #불가 #제비 #범 #고양이 #쥐 #묘 #점 #짐승 #말 #양 #동물
#용 #닭"
"* 三十成道(삼십성도)*: *석가모니*가 서른 살에 대도(大道)를 이룬 일.
#*석가모니* #일 #서른 #석가"
"* 三十成道(삼십성도)*: 석*가모*니가 서른 살에 대도(大道)를 이룬 일.
#석*가모*니 #일 #서른 #석가"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색 #둘째 #사내 #인생 #장수 #교만 #형제 #*손자* #절도 #가운데 #사람 #셋째 #벗 #선 #교육 #天下 #하늘 #즐거움 #음악 #무고 #첫째 #갈래 #말 #천하 #군자
#부모"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三樂(삼악)*: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색 #둘째 #사내 #인생 #장수 #교만 #형제 #손자 #절도 #가운데 #사람 #셋째 #벗 #선 #교육 #天下 #하늘 #즐거움 #음악 #무고 #첫째 #*갈래* #말 #천하 #군자
#부모"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셋째 #*군사* #임금 #때 #이것 #북 #시작 #스승 #문무 #준비 #의식 #장소 #행동 #사람"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 三嚴(삼엄)*: (1)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ㆍ아버지ㆍ스승을 이르는 말. (2)임금이 거둥할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임금과 문무백관이 근정전(勤政殿)이나 지정된 장소에 나가 모든 의식 준비를 완전히
끝냈다. (3)군사 행동에 들어갈 때 북을 쳐서 알리는 세 번의 엄. 또는 그 셋째 번 엄. 이것이 울리면 행군을 *시작*하였다."
* 三餘(삼여)*: *책*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 三餘(삼여)*: 책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밤 #*독서* #겨울"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 三餘之功(삼여지공)*: 독서(讀書)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ㆍ밤ㆍ음우(陰雨)'를 일컬음.
#밤 #독서 #겨울"
"* 三五之隆(삼오지륭)*: (1)중국에서, 삼황오제(三皇五帝) 때 융성했던 세상. (2)중국 한나라의 삼대 문제(文帝)와 오대
무제(武帝) 때의 융성했던 *시대*."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 三位一體(삼위일체)*: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몸 #일 #존재 #*목적* #지위 #실체 #통합 #봄 #동일"
*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三益之友(삼익지우)*: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의논 #말 #*인간* #보살 #생각 #평범 #지혜 #사람"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의논* #말 #인간 #보살 #생각 #평범 #지혜 #사람"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의논 #말 #인간 #보살 #생각 #평범 #*지혜* #사람"
"* 三人文殊(삼인문수)*: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 三人成市虎(삼인성시호)*: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말."
"* 三人行必有我師(삼인행필유아사)*: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는 뜻으로, 세 사람이 어떤 일을 하면 좋은
것은 본받고, 나쁜 것은 경계(警戒)하게 되므로 선악(善惡) 간(間)에 반드시 *스승*이 될 만한 이가 있다는 말.
#일 #말 #길 #*스승* #경계 #선악 #사람"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선배 #일 #급제 #방문 #친척 #제자 #사흘 #*동안* #과거 #사람"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선배 #일 #급제 #방문 #친척 #*제자* #사흘 #동안 #과거 #사람"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선배 #일 #급제 #방문 #*친척* #제자 #사흘 #동안 #과거 #사람"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 三日點考(삼일점고)*: 수령(守令)이 부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던 일.
#일 #부임 #점 #사흘 #수령"
* 三日點考(삼일점고)*: 수령(守令)이 부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던 *일*.
"* 三日天下(삼일천하)*: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日天下(삼일천하)*: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日天下(삼일천하)*: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者鼎立(삼자정립)*: 세 사람이 마치 솥의 발처럼 마주 늘어선 형상(形狀)이나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 三災八難(삼재팔난)*: 삼재와 팔난이라는 뜻으로, 모든 *재앙*과 곤란을 이르는 말.
"* 三絶(삼절)*: (1) 위편(韋編) 삼절 (2)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事物)(3)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조 선
때의 시(詩), 서화(書畵)에 능(能)했던 안견(安堅), 최 경과 중종(中宗) 때의 강희안(姜希顔)을 가리키는 말."
"* 三絶(삼절)*: (1) 위편(韋編) 삼절 (2)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事物)(3)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조 선
때의 시(詩), 서화(書畵)에 능(能)했던 안견(安堅), 최 경과 중종(中宗) 때의 강희안(姜希顔)을 가리키는 말.
#사물 #*재주* #말 #선 #때 #경과 #사람"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삼종)*: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妹夫(삼종매부)*: 삼종매의 *남편*.
* 三從叔(삼종숙)*: *아버지*의 팔촌 형제.
* 三從叔(삼종숙)*: 아버지의 팔촌 *형제*.
"* 三從叔母(삼종숙모)*: 삼종숙의 *아내*.
#*아내* #부인"
"*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依托(삼종의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祖(삼종조)*: 할*아버지*의 육촌 형제.
#형제 #할*아버지*"
* 三從祖(삼종조)*: 할아버지의 육촌 *형제*.
"*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三從之德(삼종지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여자 #상복 #결혼 #말 #자식 #*남편* #시대 #아들 #어버이 #순종 #의례 #봉건시대 #예전"
"* 三從之道(삼종지도)*: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에 나오는 말이다."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三從之禮(삼종지례)*: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남편 #예전"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법 #남편 #법도 #예전"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법 #*남편* #법도 #예전"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법 #남편 #법도 #예전"
"* 三從之法(삼종지법)*: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여자 #결혼 #자식 #*법* #남편 #*법*도 #예전"
"* 三從之義(삼종지의)*: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義(삼종지의)*: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義(삼종지의)*: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몸 #자식 #마음 #여자 #결혼 #남편 #*의지* #예전 #대상"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몸 #자식 #마음 #여자 #결혼 #*남편* #의지 #예전 #대상"
"* 三從之托(삼종지탁)*: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이름 #무생 #죄악 #참회 #*방법*"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 三鐘懺法(삼종참법)*: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이름 #무생 #죄악 #참회 #방*법*"
*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 三從兄弟(삼종형제)*: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형제* #자녀 #팔촌 #재종숙 #고조"
* 三池四方(삼지사방)*: *여기*저기. 모든 곳.
* 三池四方(삼지사방)*: 여기저기. 모든 곳.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三枝之禮(삼지지례)*: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발라 #지극 #아래 #효성 #예의 #*새끼* #비유 #어미"
"* 三進三退(삼진삼퇴)*: (1)과거에 급제한 선배들이 *새*로 급제한 사람을 부릴 때에 세 번 앞으로 나오고 세 번 뒤로 물러가게
하던 일. (2)승전무, 호남 풍물놀이 따위에서 세 번 앞으로 가고 세 번 뒤로 가는 춤사위."
"* 三尺童子(삼척동자)*: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尺童子(삼척동자)*: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범위 #*세계* #준말 #불교 #종류 #교화 #부처 #세상"
"*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흉내 #때 #가르침 #생활 #거처 #비유 #태도 #영향 #공부 #교육 #어머니 #묘 #물건 #이사 #장사 #고사 #근처 #구실 #환경 #자식 #말 #집 #아들 #글방 #*맹자* #
묘지"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흉내 #때 #가르침 #생활 #거처 #비유 #태도 #영향 #공부 #교육 #어머니 #묘 #물건 #*이사* #장사 #고사 #근처 #구실 #환경 #자식 #말 #집 #아들 #글방 #맹자 #
묘지"
"* 三寸(삼촌)*: (1)아버지의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특히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른다. (2)방계로는
부모와 같은 항렬의 백부모․숙부모 또는 *형제*의 자녀와의 촌수."
"* 三寸不律(삼촌불률)*: 길이가 세 치밖에 안 되는 짧은 *붓*.
#길이 #*붓*"
* 三寸不律(삼촌불률)*: 길이가 세 치밖에 안 되는 짧은 붓.
"* 三秋之思(삼추지사)*: 하루가 삼년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思慕)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
#마음 #삼년 #*생각* #사모 #하루"
* 三秋之思(삼추지사)*: 하루가 삼년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思慕)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
* 三韓甲族(삼한갑족)*: 예로부터 대대로 문벌이 높은 *집안*.
"* 三寒四溫(삼한사온)*: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의 동부, 북부에서 나타나는 겨울 기온의 *변화* 현상.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하다.
#일 #추위 #차고 #날씨 #변경 #기후 #현상 #겨울철 #겨울 #따뜻 #비롯 #계속 #중국 #한국 #기온 #다음 #사흘 #동안 #따뜻함 #*변화*"
"* 三寒四溫(삼한사온)*: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의 동부, 북부에서 나타나는 겨울 기온의 변화 현상.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하다."
"* 三革五刃(삼혁오인)*: 갑옷, 투구, 방패의 세 가지 *가죽* 무장(武裝)과 칼, 큰 칼, 세모창, 가지 달린 창, 화살의 다섯
가지 쇠붙이 무기.
#화살 #칼 #창 #방패 #갑옷 #무장 #쇠붙이 #*가죽*"
"* 三革五刃(삼혁오인)*: 갑옷, 투구, 방패의 세 가지 가죽 *무장*(武裝)과 칼, 큰 칼, 세모창, 가지 달린 창, 화살의 다섯
가지 쇠붙이 무기.
#화살 #칼 #창 #방패 #갑옷 #*무장* #쇠붙이 #가죽"
* 三喜聲(삼희성)*: 마음을 기쁘게 하는 세 가지 *소리*. 다듬이 *소리*, 글 읽는 *소리*, 갓난아이 우는 *소리*를 이른다.
* 三喜聲(삼희성)*: 마음을 기쁘게 하는 세 가지 소리. 다듬이 소리, 글 읽는 소리, 갓난*아이* 우는 소리를 이른다.
"* 喪家之狗(상가지구)*: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 喪家之狗(상가지구)*: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말 #별 #상가 #초라 #비유 #사용 #이곳저곳 #모습 #대접 #사람"
"*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사이"
"*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사이"
"*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사이"
"* 桑間濮上(상간복상)*: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남녀 #뽕나무 #말 #복수 #때문 #밭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사이"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間之音(상간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霜降(상강)*: 이십사절기의 하나.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내려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이다. 10월 23일경이다."
"* 霜降(상강)*: 이십사절기의 하나.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내려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이다. 10월 23일경이다."
"* 霜降(상강)*: 이십사절기의 하나.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들며,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내려가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이다. 10월 23일경이다."
* 相敬如賓(상경여빈)*: *부부*(夫婦)는 가장 가까운 사이이지만, 늘 공경(恭敬)하기를 마치 손님을 대하듯이 한다는 말.
* 相敬如賓(상경여빈)*: 부부(夫婦)는 가장 가까운 사이이지만, 늘 *공경*(恭敬)하기를 마치 손님을 대하듯이 한다는 말.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성 #성인 #특별 #공경 #지위"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성 #성인 #*특별* #공경 #지위"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 上敬之禮(상경지례)*: 모든 성인이나 천사의 지위보다 훨씬 높은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공경*.
#성 #성인 #특별 #*공경* #지위"
* 上計(상계)*: 일을 *풀*어 나가는 데 제일 좋은 방법.
"* 上計(상계)*: 일을 풀어 나가는 데 제일 좋은 *방법*.
#*방법* #일 #계교"
"* 上求菩提(상구보리)*: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일 #*노력* #보리 #깨달음 #지혜"
"* 上求菩提(상구보리)*: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일 #노력 #*보리* #깨달음 #지혜"
"* 傷弓之鳥(상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傷弓之鳥(상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일 #구천 #다짐 #*춘추* #쓸개 #왕 #복수 #시대 #원수 #준말 #나라 #중국 #괴로움 #유래 #오나라 #월나라"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上漏下濕(상루하습)*: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漏下濕(상루하습)*: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林之說(상림지설)*: *중국* 은나라의 탕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 桑林之說(상림지설)*: 중국 은나라의 탕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 桑麻之交(상마지교)*: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귐 #*뽕나무* #은거 #농부 #벗 #권세 #영달 #사람들 #전원 #길 #시골 #사람"
"* 桑麻之交(상마지교)*: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麻之交(상마지교)*: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귐 #뽕나무 #*은거* #농부 #벗 #권세 #영달 #사람들 #전원 #길 #시골 #사람"
"* 桑麻之交(상마지교)*: 뽕나무와 삼나무를 벗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귐 #뽕나무 #은거 #농부 #벗 #권세 #영달 #사람들 #전원 #길 #*시골* #사람"
"* 喪明之痛(상명지통)*: 눈이 멀 *정도*로 슬프다는 뜻으로, 아들이 죽은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날 중국의 자하(子夏)가
아들을 잃고 슬피 운 끝에 눈이 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喪明之痛(상명지통)*: 눈이 멀 정도로 슬프다는 뜻으로, *아들*이 죽은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날 중국의 자하(子夏)가
*아들*을 잃고 슬피 운 끝에 눈이 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명령* #조직 #아래 #표현 #따름 #상하 #관계 #분명 #복종 #사람"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명령 #조직 #아래 #표현 #따름 #*상하* #관계 #분명 #복종 #사람"
* 上命下服(상명하복)*: 위에서 명령하면 아래에서는 복종한다는 뜻으로, 상하 *관계*가 분명함을 이르는 말.
"* 桑碧(상벽)*: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변천"
* 桑碧(상벽)*: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음란 #뽕나무 #남녀 #말 #복수 #때문 #밭 #복 #뽕나무밭 #망국 #*장소* #주변 #음악"
"* 桑蓬之志(상봉지지)*: 남자가 *세상*을 위하여 공을 세우고자 하는 큰 뜻.
#활약 #남자 #*세상* #사방"
*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 上奉下率(상봉하솔)*: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 嘗糞(상분)*: (1)부모의 병세를 살피려고 그 대변을 맛봄. *지극*한 효행을 이르는 말이다. (2)몹시 아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극* #위중 #아첨 #병세 #병 #비유 #부모 #효행 #대변 #사람"
* 嘗糞之徒(상분지도)*: 대변이라도 맛볼 듯이 부끄러움을 *돌*아보지 않고 몹시 아첨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相思不見(상사불견)*: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만나지 못함.
"* 相思不忘(상사불망)*: *서로*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의미 #남녀 #사랑 #생각"
"* 相思不忘(상사불망)*: 서로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의미 #남녀 #사랑 #생각"
"*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말 #활동 #길 #가난 #*선비* #세상"
*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말 #활동 #길 #가난 #선비 #세상"
"* 相思一念(상사일념)*: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마음 #생각"
"* 相思一念(상사일념)*: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마음* #생각"
* 相思一念(상사일념)*: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 相思一念(상사일념)*: 서로 그리워하는 한결같은 마음을 이르는 말.
#마음 #생각"
* 上山求魚(상산구어)*: *산*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山求魚(상산구어)*: 산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산 #일 #말 #불가능"
"* 常山蛇勢(상산사세)*: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1) 선진과 후진, 우익(右翼)과 좌익(左翼)이 서로
연락(連絡)하고 공방하는 陣形(진형) (2) 문장(文章)의 전후(前後)가 대응(對應)하여 처음과 끝이 일관(一貫)됨."
"* 常山蛇勢(상산사세)*: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1) 선진과 후진, 우익(右翼)과 좌익(左翼)이 서로
연락(連絡)하고 공방하는 陣形(진형) (2) 문장(文章)의 전후(前後)가 대응(對應)하여 처음과 끝이 일관(一貫)됨.
#기세 #전후 #진형 #끝 #연락 #문장 #일관 #*뱀* #처음"
"* 常山蛇勢(상산사세)*: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1) 선진과 후진, 우익(右翼)과 좌익(左翼)이 서로
연락(連絡)하고 공방하는 陣形(진형) (2) 문장(文章)의 전후(前後)가 대응(對應)하여 처음과 끝이 일관(一貫)됨.
#*기세* #전후 #진형 #끝 #연락 #문장 #일관 #뱀 #처음"
"* 常山蛇勢(상산사세)*: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1) 선진과 후진, 우익(右翼)과 좌익(左翼)이 *서로*
연락(連絡)하고 공방하는 陣形(진형) (2) 문장(文章)의 전후(前後)가 대응(對應)하여 처음과 끝이 일관(一貫)됨."
* 相生之理(상생지리)*: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의 오행(五行)이 상생하는 *이치*.
"* 上石下臺(상석하대)*: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상대 #아랫돌"
"* 上石下臺(상석하대)*: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상대 #아랫돌"
"* 賞善罰惡(상선벌악)*: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일 #가톨릭 #교리 #기본 #칭찬 #악 #*가운데* #사람"
* 賞善罰惡(상선벌악)*: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 賞善罰惡(상선벌악)*: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일 #가톨릭 #교리 #기본 #칭찬 #악 #가운데 #사람"
"* 上善若水(상선약수)*: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물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말 #*최고* #선 #물 #사상 #만물 #노자 #표본 #세상"
"* 上善若水(상선약수)*: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물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잔치 #말 #술잔 #주인공 #장수 #보통 #때 #100세 #수명 #*나이* #노인 #환갑잔치 #이상 #따위 #사람"
"*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잔치 #말 #술잔 #주인공 #*장수* #보통 #때 #100세 #수명 #나이 #노인 #환갑잔치 #이상 #따위 #사람"
"* 上壽(상수)*: (1)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 또는 그 나이. (2)100세의 나이.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잔치 #말 #술잔 #*주인*공 #장수 #보통 #때 #100세 #수명 #나이 #노인 #환갑잔치 #이상 #따위 #사람"
"* 想勝相負(상승상부)*: 승부(勝負)가 *서로* 같음. 즉 *서로* 비김.
#*서로* #승부"
"* 嘗試之計(상시지계)*: 남의 뜻을 시험하여 보는 *꾀*.
#시험 #*꾀*"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프랑스 #현실 #시인 #탑 #비평 #생활 #태도 #대학 #유래 #사람 #학문 #관념 #어금니 #열중 #주의 #학자들 #코끼리 #세계 #학자 #예술 #*속세* #사용 #의미 #
연구"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프랑스 #현실 #*시인* #탑 #비평 #생활 #태도 #대학 #유래 #사람 #학문 #관념 #어금니 #열중 #주의 #학자들 #코끼리 #세계 #학자 #예술 #속세 #사용 #의미 #
연구"
"* 象牙塔(상아탑)*: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상아 #의식 #부부 #기념"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상아 #*의식* #부부 #기념"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象牙婚式(상아혼식)*: 서양 풍속에서, 결혼 3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상아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결혼 #*선물* #풍속 #상아 #의식 #부부 #기념"
* 相愛相助(상애상조)*: 서로 *사랑*하며 도움.
* 相愛之道(상애지도)*: 서로 *사랑*하는 도리.
"* 相辱相鬪(상욕상투)*: 서로 욕을 하며 *싸움*.
#*싸움* #욕"
"* 上雨傍風(상우방풍)*: 상우방풍(上雨旁風). 위에서는 비가 새고, 옆에서는 *바람*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다 낡은 집을
형용(形容)하는 말."
"* 上雨傍風(상우방풍)*: 상우방풍(上雨旁風). 위에서는 비가 새고, 옆에서는 바람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다 낡은 집을 *형용*(形容)하는
말.
#옆 #새 #말 #바람 #*형용* #집"
* 上雨旁風(상우방풍)*: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이친다는 뜻으로, 비바람이 들*이치*는 낡은 집을 이르는 말.
"* 上援下推(상원하추)*: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아랫사람 #윗사람"
"* 上援下推(상원하추)*: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아랫*사람* #윗*사람*"
"* 上援下推(상원하추)*: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아랫사람 #*윗사람*"
"* 尙有良心(상유양심)*: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일 #사용 #의미 #악 #양심 #사람"
* 尙矣勿論(상의물론)*: 말할 필요도 없음.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백성 #말 #칭송 #정사 #천하 #天下 #공평 #선인 #정치 #*군주* #사람"
"* 傷哉之歎(상재지탄)*: 살림이 군색(窘塞)하고 *가난*함에 대(對)한 한탄(恨歎).
#한탄 #*가난* #살림"
"* 常寂光土(상적광토)*: 사토(四土) *가운데* 하나.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 常寂光土(상적광토)*: 사토(四土) 가운데 하나.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빛 #세계 #마음 #말 #거처 #진리 #광명 #*부처* #깨달음 #가운데"
"* 常寂光土(상적광토)*: 사토(四土) 가운데 하나.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빛 #*세계* #마음 #말 #거처 #진리 #광명 #부처 #깨달음 #가운데"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뽕나무* #밭 #*뽕나무*밭 #의미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뽕나무 #밭 #뽕나무밭 #의미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田滄海(상전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변천"
* 桑田滄海(상전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田滄海(상전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변천"
* 桑田滄海(상전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早莢樹(상조협수)*: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나무*"
* 上早莢樹(상조협수)*: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桑中之喜(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桑中之喜(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桑中之喜(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뽕나무* #음탕 #남녀 #나무 #풍자 #밭 #*뽕나무*밭 #불 #불의 #풍속 #중국 #즐거움 #위나라 #아내 #유래 #퇴폐"
"* 相卽不離(상즉불리)*: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맑지 않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옳지 않으면 아랫사람도 이를 본받아서 행실(行實)이
옳지 못함을 이름."
"* 桑滄之變(상창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극심하게 뒤바뀜을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극심 #세상일"
* 桑滄之變(상창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극심하게 뒤바뀜을 이르는 말.
* 桑滄之變(상창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극심하게 뒤바뀜을 이르는 말.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땅 #*아래* #죽음 #하늘 #세상"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 上天下地(상천하지)*: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땅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땅 #아래 #죽음 #하늘 #세상"
"* 上濁下不淨(상탁하부정)*: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부패하면 아랫사람도 부패하게 됨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래 #아랫물 #의미 #웃사람 #깨끗 #부패 #행실"
"* 上濁下不淨(상탁하부정)*: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부패하면 아랫사람도 부패하게 됨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래 #아랫물 #의미 #웃사람 #깨끗 #부패 #행실"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새 #*뽕나무* #나무 #재앙 #준비 #구멍 #뿌리"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새 #뽕나무 #나무 #재앙 #준비 #구멍 #*뿌리*"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새 #뽕나무 #나무 #재앙 #준비 #*구멍* #뿌리"
"* 桑土綢繆(상토주무)*: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 上通下達(상통하달)*: 위로 통하고 *아래*로 전달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의 뜻이 윗사람에게 잘 통하고 윗사람의 뜻이 아랫사람에게
잘 전해짐을 이르는 말."
"* 上通下達(상통하달)*: 위로 통하고 아래로 전*달*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의 뜻이 윗사람에게 잘 통하고 윗사람의 뜻이 아랫사람에게
잘 전해짐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래 #의사 #의미 #전*달* #사람"
"* 上通下達(상통하달)*: 위로 통하고 아래로 전달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의 뜻이 *윗사람*에게 잘 통하고 *윗사람*의 뜻이
아랫사람에게 잘 전해짐을 이르는 말.
#아랫사람 #*윗사람* #아래 #의사 #의미 #전달 #사람"
"* 傷風敗俗(상풍패속)*: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
#문란 #*풍속* #부패"
*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일 #말 #아래 #*실패* #비유"
"*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일 #말 #아래 #실패 #비유"
"*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웃사람 #아랫사람 #*윗사람* #사람"
*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웃사람 #아랫사람 #윗사람 #사람"
"* 上下脣舌(상하순설)*: 남의 입에 자꾸 오르내림.
#입"
"* 上下之分(상하지분)*: 위와 *아래*의 분별.
#분별 #*아래*"
"* 上下之分(상하지분)*: 위와 아래의 *분별*.
#*분별* #아래"
* 上下之分(상하지분)*: 위와 아래의 분*별*.
"* 上下之分(상하지분)*: 위와 아래의 분별.
#분별 #아래"
"* 上下撑石(상하탱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當)하여
임시변통(臨時變通)으로 이리저리 맞추어 나감을 이르는 말.
#일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아랫돌"
"* 上下撑石(상하탱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當)하여 *임시*변통(臨時變通)으로
이리저리 맞추어 나감을 이르는 말.
#일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아랫돌"
"* 上下撑石(상하탱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當)하여 임시*변통*(臨時變通)으로
이리저리 맞추어 나감을 이르는 말.
#일 #임시*변통* #윗돌 #임시 #*변통* #아랫돌"
"* 上下和睦(상하화목)*: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정답게 지냄.
#*상하* #아랫사람 #웃사람 #화목"
* 上下和睦(상하화목)*: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정답게 지냄.
"* 上下和順(상하화순)*: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부드럽고 온화함.
#*상하* #온화 #아래"
"* 上下和順(상하화순)*: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부드럽고 *온화*함.
#상하 #*온화* #아래"
"* 桑海(상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변천"
* 桑海(상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뽕나무 #밭 #뽕나무밭 #세상일 #정도 #변천 #세상"
* 桑海之變(상해지변)*: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行下效(상행하효)*: *윗사람*이 하는 일을 아랫사람이 본받음.
* 上行下效(상행하효)*: 윗사람이 하는 일을 아랫사람이 본받음.
"* 相形不如論心(상형불여론심)*: 생김새를 보는 것은 마음씨를 논(論)함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의 *용모*(容貌)를 가지고
길흉(吉凶)을 말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마음씨의 선악(善惡)을 논(論)하는 것이 낫다는 말.
#*용모* #마음씨 #말 #생김새 #길흉 #선악 #사람"
"* 桑戶(상호)*: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집 #가난 #*뽕나무*"
"* 桑戶(상호)*: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집 #가난 #뽕나무"
* 桑戶(상호)*: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 桑弧蓬矢(상호봉시)*: 남자가 큰 뜻을 세움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에서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살을
천지 사방에 쏘아 큰 뜻을 이루기를 빌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고대 #*뽕나무* #말 #화살 #나무 #살이 #풍속 #쑥 #사방 #남자 #사용 #중국 #옛날 #활 #쑥대 #유래"
"* 桑弧蓬矢(상호봉시)*: 남자가 큰 뜻을 세움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에서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살을 천지
*사방*에 쏘아 큰 뜻을 이루기를 빌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고대 #뽕나무 #말 #화살 #나무 #살이 #풍속 #쑥 #*사방* #남자 #사용 #중국 #옛날 #활 #쑥대 #유래"
"* 桑弧蓬矢(상호봉시)*: 남자가 큰 뜻을 세움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에서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살을 천지
사방에 쏘아 큰 뜻을 이루기를 빌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고대 #뽕나무 #말 #화살 #나무 #살이 #*풍속* #쑥 #사방 #남자 #사용 #중국 #옛날 #활 #쑥대 #유래"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일 #근본적 #개인 #근본 #사회"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일 #근본적 #개인 #근본 #*사회*"
"* 相互扶助(상호부조)*: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일.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일 #*근본*적 #개인 #*근본* #사회"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 #화목 #*사랑* #아래"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 #화목 #사랑 #*아래*"
"*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공경* #화목 #사랑 #아래"
"* 上厚下薄(상후하박)*: *윗사람*에게는 후하고 아랫사람에게는 박함.
#대우 #아랫사람 #*윗사람* #사람"
* 塞翁得失(새옹득실)*: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 塞翁得失(새옹득실)*: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복 #이익 #화 #때 #화가 #손해 #장래 #한때"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馬(새옹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땅 #말 #*인간* #길흉화복 #유래 #죽음 #아들 #예측 #전쟁 #준마 #중국 #옛날 #다리 #오랑캐 #길흉 #노인 #훌륭 #인생 #변화"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복 #화 #때 #*화가* #장래 #한때"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 塞翁爲福(새옹위복)*: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복 #화 #때 #화가 #장래 #한때"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늙은이"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늙은이"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塞翁之馬(새옹지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재앙 #예측 #옛날 #훌륭 #인생 #비유 #다리 #오랑캐 #길흉 #유래 #세상 #변화 #땅 #*인간* #화 #노인 #길흉화복 #말 #복 #죽음 #아들 #전쟁 #중국 #준마 #
늙은이"
* 塞翁禍福(새옹화복)*: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 塞翁禍福(새옹화복)*: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복 #이익 #화 #때 #화가 #손해 #장래 #한때"
"* 索居閑處(색거한처)*: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세상*"
"* 色難(색난)*: (1)*자식*이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2)*자식*이 부모의 얼굴빛을 보고
그 뜻에 맞게 봉양하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 色難(색난)*: (1)자식이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2)자식이 부모의 *얼굴*빛을 보고
그 뜻에 맞게 봉양하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 色讀(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파악 #표현 #때 #문장 #글자 #의미 #해석 #이해 #*전체*"
"* 色讀(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파악 #표현 #때 #문장 #*글자* #의미 #해석 #이해 #전체"
"* 色讀(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파악 #*표현* #때 #문장 #글자 #의미 #해석 #이해 #전체"
"* 色讀(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파악 #표현 #때 #문장 #글자 #의미 #해석 #*이해* #전체"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생각함 #공손 #생각 #*온화* #얼굴빛 #모습 #얼굴"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생각함 #*공손* #생각 #온화 #얼굴빛 #모습 #얼굴"
* 色衰愛弛(색쇠애이)*: *사랑*을 받던 아름다운 여자도 나이가 들어서 늙으면 그 *사랑*을 잃어버림.
* 色衰愛弛(색쇠애이)*: 사랑을 받던 아름다운 *여자*도 나이가 들어서 늙으면 그 사랑을 잃어버림.
* 色衰愛弛(색쇠애이)*: 사랑을 받던 아름다운 여자도 *나이*가 들어서 늙으면 그 사랑을 잃어버림.
* 色如死灰(색여사회)*: 안색이 꺼진 잿빛과 같다는 뜻으로, *얼굴*에 혈색이 없고 희로애락(喜怒愛樂)의 표정이 없음을 이르는 말.
"* 色如死灰(색여사회)*: 안색이 꺼진 잿빛과 같다는 뜻으로, 얼굴에 혈색이 없고 희로애락(喜怒愛樂)의 표정이 없음을 이르는 말.
#표정 #잿빛 #희로애락 #안색 #얼굴"
* 色容必莊是謂九容(색용필장시위구용)*: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 色容必莊是謂九容(색용필장시위구용)*: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씩씩 #모습 #이것 #얼굴"
"* 生計無策(생계무책)*: 살아 나갈 *방법*이 없음.
#*방법* #방도"
* 生計無策(생계무책)*: 살아 나갈 방*법*이 없음.
"* 生計無策(생계무책)*: 살아 나갈 방법이 없음.
#방법 #방도"
* 生口不網(생구불망)*: 산 입에 거미줄을 치지는 아니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궁하여도 그럭저럭 먹고살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말 #원래 #죽음 #잠깐 #*세상* #동안 #본래 #삶 #사람"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말 #원래 #죽음 #잠깐 #세상 #동안 #본래 #삶 #사람"
"* 生寄死歸(생기사귀)*: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말 #원래 #죽음 #잠깐 #세상 #동안 #본래 #삶 #사람"
* 生道之方(생도지방)*: 살아 나갈 *방*도.
"* 生道之方(생도지방)*: 살아 나갈 방도.
#방책 #방도 #방"
"* 生動生動(생동생동)*: *기운*(氣運)이 꺾이지 않고 본디의 *기운*(氣運)이 아직도 남아 생생한 모양.
#*기운* #본디 #모양"
* 生動生動(생동생동)*: 기운(氣運)이 꺾이지 않고 본디의 기운(氣運)이 아직도 남아 생생한 *모양*.
"* 生老病死(생로병사)*: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고통*.
#불가 #인간 #표현 #불교 #불 #의미 #사도 #*고통* #인생 #사람"
"* 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인간 #고통 #*불교*"
"* 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인간* #고통 #불교"
"* 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 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인간 #*고통* #불교"
"* 生離死別(생리사별)*: 살아 있을 때에는 멀리 떨어져 있고 죽어서는 영원히 헤어짐.
#때"
"* 生面江山(생면강산)*: (1)처음으로 보는 *강산*. (2)처음으로 보고 듣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처음 #*강산*"
"* 生面大責(생면대책)*: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일 #책망 #*상황* #잘못 #관계 #그릇 #사람"
* 生面大責(생면대책)*: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 生面大責(생면대책)*: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일 #*책*망 #상황 #잘못 #관계 #그릇 #사람"
"* 生面不知(생면부지)*: 서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서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 또는 그런 *관계*.
#일 #이전 #선 #*관계* #의미 #낯 #얼굴 #사람"
"*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백성 #근원 #일 #복 #시초"
"*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백성 #근원 #일 #*복* #시초"
"* 生不如死(생불여사)*: 살아 있음이 차라리 죽는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 몹시 어려운 *형편*에 있음을 이르는 말.
#죽음 #*형편* #지경 #곤란 #삶"
"* 生死可判(생사가판)*: 사느냐 죽느냐를 능히 *판단*함.
#*판단*"
"* 生死可判(생사가판)*: 사느냐 죽느냐를 능히 판단함.
#판단"
"* 生死苦樂(생사고락)*: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 #죽음 #*즐거움* #괴로움 #삶"
"* 生死苦樂(생사고락)*: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말 #죽음 #즐거움 #괴로움 #삶"
"* 生死骨肉(생사골육)*: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 #*은혜* #베풂 #사람"
"* 生死骨肉(생사골육)*: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 #은혜 #베풂 #사람"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고비*"
"* 生死關頭(생사관두)*: 살고 죽는 것이 달린 매우 위태로운 고비.
#고비"
* 生死肉骨(생사육골)*: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生死肉骨(생사육골)*: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베풂 #의미 #뼈 #은혜 #사람"
"* 生死存亡(생사존망)*: 살아서 존재하는 것과 죽어서 없어지는 것.
#존재 #*생사*"
"* 生死存沒(생사존몰)*: 살아서 존재하는 것과 죽어서 없어지는 것.
#존재 #*생사*"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일 #주고 #마음 #재물 #목숨 #의미 #사람"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물 #일 #주고 #*마음* #재물 #목숨 #의미 #사람"
"* 生殺與奪(생살여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生三死七(생삼사칠)*: 사람이 태어난 뒤 사흘 *동안*과 죽은 뒤 이레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하다고 꺼리는 기간을 이르는 말.
#부정 #기간 #사흘 #*동안* #사람"
"* 生三死七(생삼사칠)*: 사람이 태어난 뒤 사흘 동안과 죽은 뒤 이레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하다고 꺼리는 기간을 이르는 말.
#*부정* #기간 #사흘 #동안 #사람"
"* 生生發展(생생발전)*: 끊임없이 힘차게 발*전함*.
#발전"
* 生生子不生(생생자불생)*: 삶에 집착(執着)하는 자는 *도리*어 살지 못함.
* 生生者不生(생생자불생)*: 삶에 집착(執着)하는 자는 *도리*어 살지 못함.
"* 生生之理(생생지리)*: 모든 생물이 생기고 퍼져 나가는 *자연*의 이치.
#이치 #*자연* #생물"
"* 生生之理(생생지리)*: 모든 생물이 생기고 퍼져 나가는 자연의 *이치*.
#*이치* #자연 #생물"
* 生世之樂(생세지락)*: *세상*에 태어나서 살아가는 재미.
"* 生榮死哀(생영사애)*: 살아서 *영화*롭고 죽어서 애도하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살아서는 존경을 받고, 죽어서는 애통해함을
받는다는 의미.
#*영화* #의미 #애통 #존경 #훌륭 #애도 #사람"
* 生者必滅(생자필멸)*: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음. 존재의 *무상*(無常)을 이르는 말이다.
* 生財之方(생재지방)*: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 生財之方(생재지방)*: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방도 #방 #재물 #*방법* #생계"
* 生財之方(생재지방)*: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 生財之方(생재지방)*: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방도 #방 #재물 #방법 #생계"
"* 生丁不辰(생정불신)*: 좋지 못한 *시대*에 태어남.
#*시대* #때 #공교"
"* 生卽無生(생즉무생)*: (1)우리가 보통 태어난다고 생각하는 그 생(生)도, 인연에 의한 가생(假生)에 불과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무생(無生)이라는 말. (2)염불을 닦는 이가 극락 *세계*에 왕생하면 그대로가 무생을 얻게 되어 대열반(大涅槃)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 生知安行(생지안행)*: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道)를 행함.
"* 生知安行(생지안행)*: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道)를 행함.
#사물 #그것 #마음 #말 #성 #총명 #행 #성인 #*이치* #생각 #편안 #천성 #실행"
"* 生知安行(생지안행)*: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道)를 행함.
#사물 #그것 #마음 #말 #성 #총명 #행 #성인 #이치 #생각 #*편안* #천성 #실행"
"* 生呑活剝(생탄활박)*: 산채로 삼키고 산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도용(盜用)함을
비유하는 말."
"* 生呑活剝(생탄활박)*: 산채로 삼키고 산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도용(盜用)함을
비유하는 말.
#껍질 #인용 #비유 #산 #*시문* #사람"
"* 鼠肝蟲臂(서간충비)*: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쓸모 #미천 #비유 #*벌레* #쥐 #물건 #사람"
* 鼠肝蟲臂(서간충비)*: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西瓜皮舐(서과피지)*: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 庶幾中庸(서기중용)*: 어떠한 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 됨.
#일 #*쪽* #한*쪽*"
"* 庶幾中庸(서기중용)*: 어떠한 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 됨.
#일 #쪽 #한쪽"
"* 庶幾中庸(서기중용)*: 어떠한 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 됨.
#일 #쪽 #한쪽"
"* 書同文(서동문)*: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거동 #천하 #*글자* #통일 #상태"
* 書同文(서동문)*: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書同文(서동문)*: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거동 #천하 #글자 #통일 #*상태*"
"* 胥動浮言(서동부언)*: 거짓말을 퍼뜨려 *인심*을 소란하게 함.
#민심 #말 #거짓말 #의미 #소란 #*인심*"
"*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기장 #궁궐 #*탄식* #영고성쇠 #망국 #나라 #식물 #쓸쓸 #무상 #멸망 #세상"
"*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 黍離之歎(서리지탄)*: 기장만 무성함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나라가 망하여 그 대궐 터에 기장이 무성함을 보고 *탄식*하였다는
고사에서 세상의 영고성쇠(榮枯盛衰)가 무상함을 *탄식*한다는 말.
#기장 #궁궐 #멸망 #*탄식* #영고성쇠 #무성함 #나라 #대궐 #무상 #영화 #부귀영화 #부귀 #고사 #성함 #세상"
"* 黍離之歎(서리지탄)*: 기장만 무성함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나라가 망하여 그 대궐 터에 기장이 무성함을 보고 탄식하였다는 *고사*에서
세상의 영고성쇠(榮枯盛衰)가 무상함을 탄식한다는 말."
구름
카테고리 없음
한문 사자성어 (15) ⭕️
반응형
반응형
댓글.